•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세기 초 독일의 동성애자 탄압은 남성중심의 국민국가 형성과정에서 이 루어졌다. 독일에서의 동성애자는 나약한 유대인의 ‘여성적인’ 이미지로 표상되 었다. 또한 동성애자는 바이마르 시대의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증가한 술집 및 포르노그라피 등의 타락한 유흥문화도 연결되었다. 이런 요소들은 나치 민 족 갱생 신화의 핵심축인 건강한 남성들의 형성을 저해하는 것이었다. ‘룀의 숙청’을 전후로 하여 전개된 나치시대 남성성의 형성과정과 동성애자 탄압 실 상은 그것을 잘 보여준다.

나치시대의 남성성은 빌헬름 시대부터 면면히 이어진 남성동맹의 이념을 근간으로 하고 있었다. 빌헬름 시대 남성들의 동료애를 중시했던 사조는 제1차 세계대전의 패전상황을 거치며 ‘군사적인 남성성’으로 발전되었다. ‘군사적인 남성성’은 자아 중심적 열정을 버리고 ‘공동체의 이익에 헌신할 것을 강조한 것이자,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전우들 및 지도자의 동맹관계를 최상의 가치로 삼는 것이었다. 남성동맹 내부에서 용기, 명예, 순종, 전우애 등은 남성들이 필 수적으로 갖추어야만 하는 조건과도 같은 것이었다.

그 대표적인 남성동맹 단체가 바로 룀의 돌격대였다. 룀의 돌격대는 군대경 험이 전혀 없던 청년들을 중심으로 남성훈육을 실시하며 남성동맹의 미덕을 교육하였다. 청년들에게는 공적영역에서 남성들이 군림하는 남성동맹의 이상실 현을 위해 형제애를 배양하도록 강요하였다. 남성형제들을 위협하는 것은 모두 가 적이요, 남성형제들을 돕는 것은 모두가 동지가 되었다. 이에 기반하여 돌 격대는 남성 형제들을 위협하는 민주주의, 볼셰비즘, 부르주아 문화에 대한 가 차 없는 폭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극단적인 남성성의 추구는 남성 형제들 사이에서 동성에로티시즘적 경향이 조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남성 형제들은 가족생활보다 형제들의 병영에서 더 큰 안락함을 느꼈다. 또한 이들은 여성성에 대한 혐오감과 적대감을 느끼고

있었다. 즉 이들은 바이마르 시대에 상대적으로 개선된 여성들의 자유에 극단 적인 반감을 드러내었다. 요컨대 이상적인 남성성에 대한 환상은 돌격대의 가 장 강력한 돌격의 무기였던 것이다.

나치 돌격대의 동성애 성향은 돌격대 총수 룀을 통해 상징적으로 드러났다.

나치 제일의 정적인 사민당은 룀의 동성애 성향을 집요하게 파고들었고, 결국 룀 스스로가 자신을 동성애자로 밝히는 편지들을 출판함으로써 그것을 공론화 하였다. 이후 제국의회 제1당이 된 나치당이 룀을 숙청하였다. 그 목적은 비대 해진 돌격대 조직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나치에 대한 정치적 반대여론이 조성되는 빌미가 된 나치즘과 관련된 동성애적 이미지를 제거하고 자 한 것이었다.

나치국가체제의 성립과 함께 나치는 ‘문화적인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남성 성의 재건을 이루어야만 했다. 즉 나치즘의 정치적 목표가 정치투쟁에서 정권 유지로 바뀐 것이었다. 이로써 나치독일은 동성애자들을 테러가 아닌 법과 경 찰력으로써 체계적으로 탄압하였다. 나치독일은 동성애 금지법인 제175조를 개정하여 남성 동성애자의 처벌을 ‘노동봉사’에서 ‘감옥형’으로 확대하였다. 동 시에 나치 비밀경찰 조직을 통해 독일 전역에 걸쳐 동성애자들을 색출하였다.

매년 약 8천명에 이르는 남성 동성애자들의 법적 처벌이 이루어졌다.

나치독일은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동성에로티시즘을 제거하기 위한 정책을 실시하였다. 나치경찰들은 동성애가 범람하는 매춘굴과 동성애 술집에 대한 통 제를 단행하였다. 또한 남성의 누드사진을 게재한 포르노그라피 출판물도 철저 히 규제하였다. 성적 열정이 내재된 관능적인 미술, 문학 작품들에 대한 금지 도 이와 함께 이루어졌다. 이러한 동성애에 대한 정치, 문화적인 탄압은 대중 들로 하여금 남성의 ‘정상성’ 기준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나치체제의 강제 적인 측면을 용인케 하는 기회를 제공했던 것이었다.

결국 나치즘의 새로운 남성성은 아리안의 강인함과 순백미마저 묻어나는 남성의 신체로 표상되었다. 특히 남성 누드 조각상은 동성에로티시즘이 완전히 제거된 것으로써 참된 남성의 아름다움과 역동적인 근대의 패러다임을 함께

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남성의 이미지는 민족적 감성을 고취시켜 ‘독 일의 파라다이스’를 되찾게끔 하는 원동력 그 자체였다. 나치독일이 남성 동성 애자의 탄압을 통해 추구하고자 한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치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병력으로 활용 가능한’ 모든 동성애자들을 군대로 동원하였다. 이로써 나치 비밀경찰의 동성 애자 탄압활동은 줄어들었다. 반면 군대 내부에서의 동성애자 체포는 현격히 늘어났다. 1940년 7월 12일 히믈러는 “남성을 유혹하는 모든 동성애자들은 감옥형을 선고하고 그 형량이 끝나는 즉시 강제수용소로 재차 징집한다”는 명 령서를 발표하였다.98) 이는 강제수용소의 ‘노동을 통한 박멸(Extermination Through Work)’ 프로그램에 의해 사실상 동성애자들에 대한 사형선고에 다름 아니었다. 즉 나치즘의 동성애 정책은 결과론적으로 보건대 “사회로부터의 완 전한 격리”를 목표로 했던 것이었다.

나치독일의 동성애자 탄압은 12년 동안 약 5만 명에게 감옥형을 선고하고 5천 명 이상을 강제수용소로 이송하며 약 800명을 거세하는 것으로 끝이 났 다.99) 그러나 나치가 묘사했던 “풍기문란자”, “호색한”, “변태” 등의 동성애자 이미지는 사회저변에 견고하게 남아있었다. 대중들에게 있어서 동성애자들은 여전히 사회를 혼탁하게 만드는 사람들이었다. 이에 1959년 서독 연방정부가 1959년 강제수용소 수용기간을 월별로 계산하여 매달 150DM를 제공한다 했 음에도 단 32명의 동성애 피해자들만이 이를 신청했을 뿐이었다.100) 피해 동 성애자들은 나치가 가한 육체적, 심리적인 외상으로 인해 침묵할 수밖에 없었 다. 이 또한 나치가 의도했던 것이라 하겠다.

이상과 같은 연구 작업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의 한계가 있었다.

98) Hans-Georg Stümke, "From the 'Pepple's Consciousness of Right and Wrong to 'the Healthy Instincts of the Nation' : The Persecution of Homosexuals in Nazi Homosexuals in Nazi Germany" in Michael Bureligh ed., Confronting the Nazi Past, (St. Martin Press, 1996), p. 162.

99) Günter Grau, "Persecution, 'Re-education' or 'Eradication' of Male Homosexuals between 1933and 1945" in Günter Grau, ed., Hidden Holocaust?, (Cassell, 1995), pp.

1-7.

100) Hans-Georg Stümke, op. cit.,, p. 165.

우선 남성동맹의 성격을 규명함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동성에로티시즘과 동성애의 연결접점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한 점이 바로 그것이다. 그것이 선 행되어야지만 나치즘의 남성성이 지니는 특징이 뚜렷하게 부각될 수 있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지적할 사항은 나치시대의 ‘새로운 남성성’이 갖는 특징에 대 한 설명이 너무도 소략하다는 점이다. 이런 미진한 부분들은 일차사료가 아닌 이차사료에 주로 의존함으로 인해 필자의 의도대로 서술하지 못했던 것임을 밝힌다. 끝내 아쉽지만 이런 부분들은 필자의 후속연구 과제로 남겨두고자 할 것임을 밝혀 둔다.

◇ 참 고 문 헌

1. 1차 문헌

〈정기간행물〉

Der SA-Mann Müchener Post Das Schwarze Korps

〈동시대의 저작 및 자료집〉

Bennecke, Heinrich. Hitler und die SA, Müchen: Günte Olzog Verlag, 1962.

Blasius, Mark and Phelan Shane. eds., We Are Everywhere: A Historical Sourcebook of Gay and Lesbian Politics, New York: Routledge, 1997.

Heiden, Konard. Der Führer: Hitler's Rise to Power, London: 1944.

Kaes, Anton. Jay, Martin. and Dimendberg, Edward. eds., Weimar Republic Sourcebook,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Klotz, Helmut. Der Fall Röhm, Berlin-Tempellof, 1932.

_____________, The Berlin Diaries: May 30, 1932-Jaunary 30, 1933,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mpany, 1934.

Lochner, Louis. ed., The Gobbels Diaries, 1942,-1943, Garden City, NJ, 1948.

Lüdecke, Kurt. I Know Hitler: The Story of a Nazi. The Escaped the Blood Purge, London: Jarrolds Publisher, 1938.

Mosse, L. George. ed., Nazi Culture: A Documentary History, New York:

Schocken Books, 1966.

Oosterhuis, Harry. Kennedy, Hubert. eds., Homosexuality and Male

Bonding in Pre-Nazi Germany: the Youth Movement, the Gay Movement and Male Bonding before Hitler's Rise Original Transcripts form Der Eigene, the first gay journal in the world, New York:

Harrington Park Press, 1991.

Röhm, Ernst. Die Geschichte eines Hochverräters Müchen: franz Eher, 1928.

Turner A. Henry. Hein, Ruth. tran., Hitler: Memoirs of a Confidan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85.

2. 2차 문헌

〈단행본: 독일어〉

Gritschneder, Otto. "Der Führer hat Sie zum Tode veruteilt..." Hitlers

"Röhm-Putsch"-Morde vor Gericht, München: C. H. Beck, 1993.

Jellonnek, Burkhard Homosexuelle unter dem Hakenkreuz: Die Verfolgung von Homosexuellen im Dritten Reich, Paderborn: Schöningh, 1990

Longerich, Peter. Die braunen Bataillone: Geschichte der SA Müchen: C.

H. Beck, 1989.

Völger, Gisela and Welck, V. Karin. eds., Männerbande Männerbünde:

Zum Rolle des Mannes im Kulturvergleich, Köln:

Rautenstarauch-Joset-Museum Köln, 1990.

Stümke, Hans-Georg. and Finkler, Rudi. Rosa Winkel, Rosa Listen, Homosexuelle und 'Gesundes Volksempfinden' von Auschwitz bis heute, München: Reinbek, 1981.

____________________, Homosexuelle in Deutschland, München, C.H. Beck, 1989.

〈단행본: 영어 및 번역서〉

Back, Gad. An Underground life: Memoir of a Gay Jew in Nazi Berline, Wisconsi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0.

Bessel, Richard. Political Violence and the Rise of Nazism,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99.

Bleuel P. Hans. Sex and Society in Nazi Germay, New York: J. B.

Lippincott Company, 1973.

Burleigh, Michael and Wippermann, Wolfgang. The Racial State: Germany, 1933-1945,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Cambell, Bruce. The SA Generals and the Rise of Nazism, Lexington, Kentucky: Kentucky University Press, 1998.

Connell, W. Robert. Gender and Power: Society, the Person and Sexual Politics, Stanford, CA: Stanford Univ Press, 1987.

____________________. Masculinities: Knowledge, Power, Social Change, Cambridge: Polity Press, 1995.

Diehl, James. Paramilitary Politics in Weimar Germany, Indiana: Indiana University Press, 1978.

Gallo, Max. The Night of long Knives: June 29-30, 1934, New York: Da Capo Press, 1997.

Gellately, Robert. and Stoltzfus, Nathan. eds., Social Outsider in Nazi German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Grau, Günter. Hidden Holocaust? Gay and Lesbian Persecution in Germany 1933-45, London: Cassell, 1995.

Greenberg, F. David. The Construction of Homosexualit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Grunberger, Richard. The 12-Year Reich, New York: Da Capo Press, 1995.

Haffner, Sebastian. Failure of a Revolution: Germany 1918-1919, London,

1973.

Hekma, Gert. Oosterhuis, Harry. and Steakley James. eds., Gay Men and the Sexual History of the Political Left, New York, Harrington Park Press, 1995.

Hearns, Jeff and D. H. Morgan eds., Men Masculinites and Social Theory, London: Unwin Hyman, 1990.

Hewitt, Andrew, Political Inversion: Homosexuality, Fascism, and the Modernist Imaginary, Stanford, CA,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96.

Higonnet, R. Margaret Jane Jenson eds., Behind the Line: Gender and the Two World War,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87.

Lemke, Jürgen. Gay Vocies from East Germany, Indiana: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Heger, Heinz. The Men with the Pink Triangle, LA: Alyson books, 1994.

Kershaw, Ian, Hitler 1889-1936: Hubris, New York: W.W Norton &

Company, 1999.

Kogon, Eugen, The Theory and Practice of Hell: The German Concentration Camps and the System Behind, New York: Berkley Publishing Group, 1960.

Koonz, Claudia, Mothers in the Fatherland,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6.

Longerich, Peter, Die Braunen Bataillone: Geschichte der SA, Müchen:

C.H. Beck, 1989.

Lauritsen, John and Thorstad, David. The Early Homosexual Rights Movement (1848-1935), New York: Times Changes Press, 1974.

Lifton J. Robert, The Nazi Doctors: Medical Killing and the Psychology of Genocide, New York, Basic Books, 1986.

Leed, J. Eric, No Man's Land : Combat and Identity in World War Ⅰ,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