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 주요 산출물

1) 융합형 과학기술인재양성기반구축 사업 자체평가(2020) - 자체평가 결과 요약

평가유형 자체평가등급 자체평가점수

일반사업 우수 100.3점

- 평가지표별 결과

부문 평가지표 배점 평가 지표

점수

부문별 소계

평가 점수 성과목표

달성도 계획된 성과목표는 달성하였는가? 40 39.3 39.3

100.3 성과

우수성1

종합적

연구성과 성과분야별 사업의 성과 및 대표성과는 우수한가?

30 30

60

대표성과 30 30

성과 우수성2 종합적 성과분석의 결과, 사업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는가?

해당

없음

-가점1 사업추진으로 인한 대표적인 우수성과물 2 0

1

가점2 일자리 지표 설정 비중 1 0

가점3 과제평가 표준지침 이행도 2 1

감점1 과거 평가결과의 활용 △3 0

감점2 부처 간 역할분담 및 추진체계의 구축 0 (다부처 사업)

해당

없음

-감점3 과제 성과지표에 논문 건수 활용 해당

없음

-03. 2020 융합인재교육(STEAM) 정책연구 학교급별 학생 STEAM 태도 하위 영역의 사후 교정 평균 비교

④ 연도별 학생의 STEAM 수업의 만족도

- 학생의 STEAM 수업 만족도는 모든 하위 영역에 대하여 보통(3점) 이상의 높은 점수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음. 하위 요소의 점수 분포는 연도별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협력적 태도’가 대체로 가장 점수가 높았고, ‘도전 의식’의 점수도 높게 나타남.

- 한편,‘이공계분야의 진로관심’에 대한 만족도는 하위 영역 중 가장 낮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흥미도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음.

연도별 학생 STEAM 수업 만족도 비교

⑤ 교사 STEAM 프로그램(수업)의 만족도

- 교사의 STEAM 프로그램(수업) 만족도를 학교급별로 분석한 결과, 매년 초등학교 교사의 평균이 가장 높고, 2018학년도는 p<.05 수준에서, 2019학년도와 2020학년도는 p<0.001 수준에서 학교급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됨.

- 전체적으로 초등학교 교사가 중학교 교사보다, 중학교 교사가 고등학교 교사보다 학교급별 학생 STEAM 태도 사전-사후 총점

연도 학교급 사전평균 사후평균

2017

3.02 3.12

2.76 2.88

2.73 2.88

2018

3.04 3.09

2.80 2.92

2.75 2.85

2019

2.95 3.12

2.82 2.97

2.94 3.09

2020

2.75 3.01

2.90 3.15

2.84 2.97

② 학생 STEAM 태도 효과의 연도 간 차이

- 학생 STEAM 태도의 각 하위 영역의 사후 검사의 교정 평균값을 연도별로 비교한 결과 유용성, 배려, 소통의 점수는 비교적 높은 반면에, 자아 개념과 수학 흥미 점수는 전반적으로 점수가 낮은 경향이 지속적으로 나타남.

연도별 학생 STEAM 태도 하위 영역의 사후 교정 평균 비교

③ 학생 STEAM 태도 효과의 연도 간 차이

- 학생 STEAM 태도의 각 하위 영역별 학교급에 따른 사후 평균 점수와 교정 평균, 학교급에 따른 차이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수학흥미, 과학흥미, 배려, 소통, 유용성, 자아개념, 자아효능감, 이공계 진로 등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수준 0.001 이하 수준에서 학교급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

03. 2020 융합인재교육(STEAM) 정책연구 교사의 STEAM 프로그램(수업) 만족도의 학교급별 차이

연도 학교급 N 평균 표준편차 F

2018

632 4.13 .78

3.351*

(중,고<초)

232 3.99 .75

155 4.01 .79

2019

553 4.26 .67

17.361***

(중,고<초)

179 4.08 .64

214 3.96 .71

2020

426 4.58 .52

26.934***

(고<중<초)

128 4.40 .52

191 4.24 .58

전체

1611 4.29 .71

(중,고<초)

539 4.12 .68

560 4.07 .70

*p<.05, **p<.01, ***p<.001

3) 융합교육 종합계획(2020~2024) 구체화 방안

융합교육 활성화 방안의 상세화

추진 전략 중점 추진 과제 상세화

학생의 자기주도적 융합교육 참여

확대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융합교육 기회 제공

· 학생 맞춤형 교육, 교과 간 연계, 진로 연계를 위한 탄력적 교육과정 운영

· 학생 성장 기록 시스템 구축

· 온-오프라인 지원 플랫폼 활성화

학생 참여 및 주제 중심 융합 프로젝트형 학습

활동 지원

· 개인과 사회에서 직면하는 실제 문제 설정 및 해결 교수학습

· 교과 및 비교과 프로젝트형 융합 수업을 위한

‘융합교육 포트폴리오 온라인 플랫폼’ 개발

· 융합교육 캡스톤 디자인 페스티벌 등과 같은 학생 참여 대회 개최

교사의 융합교육 전문성 강화

현직 교원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 지원

· 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설정 및 융합교육 연수 표준(Standards) 개발: 내용 표준, 교수학습 표준, 평가 표준, 연수 표준, 교구 표준 등

· 실습형, 융합체험 설계형 교수연수 강화

· 교사의 상호협력적 Reverse 멘토링 관계 맺기를 위한 제도 마련

융합 교육 역량을 갖춘 예비교원 양성

· 예비교원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표준 (Standards) 개발

· 교원양성기관 역량 진단 평가에 융합교육 관련 평가 지표 포함

· 예비교원 대상 융합교육 모의 수업 경연대회 등 개최

· ‘융합교육 협력교사제’ 상호 멘토링

· 임용시험에서 융합교육 관련 내용 포함

추진 전략 중점 추진 과제 상세화

융합교육이 실현되는 공간과 환경

구축

융합형 공간 혁신 활성화

· 혁신적 기술로 지원된 유연하고 포용적인 학습 공간

· 지역사회, 공공기관, 산업체 참여 공동 교육(활동) 공간 확대

· ‘융합교육 공간 구축 지원단’ 설치 및 운영

학교 밖과 연계한 융합교육 환경 조성

· 학교 밖의 교육자원의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자생적

‘융합교육 생태계’ 조성

· 학교와 학교 밖 다양한 기관의 파트너쉽 지원 및 상호협력적 체제 구축

· 범교과 학습과 시민교육의 관계 맺기를 위한 학습 환경 공동 구축

첨단 기술을 통한 융합교육의

다양화

첨단 기술을 활용한 융합교육 기반 강화

· 테크놀로지, 전문가, 지역사회 등 자원의 활용성 극대화

· ‘다양한 교육 도구의 정리 및 재배열’

학교 현장의 다양한 교구 개발 활용 유도

· 교원의 첨단 기술 활용 도구 지원 ‘융합교육 전문가 집단’조직 및 운영

융합교육을 실현하는 학교시스템

지원

정규 교육과정 내 융합교육 활성화 유도

· 고교 학점제를 위한 다양한 융합교육 교과목 개발

· 개정 교육과정에 융합 과목 또는 단원 개발 구성

· 융합교육 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정

· (학교 교육과정)

· 단위학교 중심 융합교육 연수 및 실천 활성화

· 학교 관리자의 지원 역할 강화

· 학교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자율성 확보

융합교육 선도 모델 개발

· 현장 기반 선도 모델 개발 상시 프로그램 운영

· A부터 Z까지 포함된 ‘융합교육 모델 개발 위원회’

조직 및 운영 융합교육의 도약을 위한

교육 체제 강화

· 융합교육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공유 플랫폼 구축

· 융합교육 거점 공간을 위한 융합교육센터 설립

학교와 지역이 함께 하는

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

학교-지역 사회가 함께 하는 인프라 구축

· 학생 맞춤형 교육, 교과 간 연계, 진로 연계를 위한 탄력적 교육과정 운영

· 학교, 대학교, 연구소, 산업체 등 연계 교육, 지역사회 연구 프로젝트를 통한 상호협력

· 위탁 교육 활동(stewardship) 프로그램 제공 다양한 물적, 인적

네트워크 구축

· 융합 수업 설계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 기반 클러스터 조성

융합교육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체계화 · 융합교육체험센터 운영 매뉴얼’개발

공감하고 배려하는 융합교육 문화

확산

소외계층을 포용하는 융합교육

· 사회적 약자의 참여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 다함께 프로젝트

· 경제적 약자와 성차별에 대한 형평성 확보

· ‘소외계층 포용 융합교육 실시 지침’ 마련

융합교육을 위한 국민 공감대 형성

· 문화적으로 호응하는 교육(culturally responsive)

· 과학센터, 페스티벌 등의 행사를 통해 융합교육 문화 형성

· ‘융합교육 참여 문화 조성 및 확산’

· ‘STEAM 교육 국제화 방안’연구와 실천

03. 2020 융합인재교육(STEAM) 정책연구

교원 융합교육 역량 모델 및

모듈형 연수체계

개발 연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