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2021년 연구추진 방향

03. 2020 융합인재교육(STEAM) 정책연구

교원 융합교육 역량 모델 및

모듈형 연수체계

개발 연구

03. 2020 융합인재교육(STEAM) 정책연구

라.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융합교육 역량 모델 및 모듈형 연수체계는 교원의 메타인지에 근거하여 다양한 모듈 구성이 가능하게 하여 유연한 연수체계를 구현함

- ‘역량’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원이 습득해야 할 내용을 ‘연수 주제’로 구성하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되 2개 이상의 역량을 아우르는 연수 주제의 구성이 가능함

- 동일한 수준 내에서도 1부터 n까지(Top Down) 연수 주제의 단계가 심화되어 연수 주제 구성이 가능하며 교원의 연수 주제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을 통해, 최우선(●), 차선(○)을 구분하여 연수를 설계할 수 있음

- 따라서 교원이 자기주도적으로 스스로 필요로 하는‘역량’과 ‘수준’을 선택하여 맞춤화된 연수 주제를 선택하여 연수를 설계·이수할 수 있음

- 융합교육에 대한 조작적 정의, 필요 역량과 수준 설정, 연수 주제 도출을 통해 융합교육 역량 모델 초안 구성

2) 융합교육 역량 모델 및 모듈형 연수체계 구성

- 교수, 공공기관 연구원, 초·중등 교원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융합교육 역량 모델(안)에 대한 의견 수렴 및 협의회를 통해 융합교육 역량 모델 도출

- 전문가 대상 융합교육 역량 모델 검증 및 모듈형 연수체계에 대한 타당도 검토

- 초·중등 교원 대상 융합교육 역량 모델의 타당도 및 연수 주제의 교육 요구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모듈형 연수 체계 개발

다. 연구 결과 시사점

- 융합교육 역량은 ‘2개 이상의 학문 분야나 교과(목)의 지식, 개념 등을 연계하여 특정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함 - 융합교육 역량 모델은 교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과 각 역량에 따라 행할 수 있는 정도를

기반으로 수준을 구성함. 즉, ‘역량’과 ‘수준’의 매칭을 통해 역량의 발현 정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

- 융합교육을 위한 역량은 세 가지로 교육과정(지식 연결, 맥락적 재구성), 교수학습(실천적 시나리오, ICT 융합, 교구 활용, 융합 콘텐츠), 평가(학습 평가, 수업 평가) 내에 세부역량을 구성함

- 수준은 접근-설계-실천의 세 단계로 구성함. 수준 내에서도 여러 단계를 두어 연수에서의 우선순위를 고려함

융합교육 역량 모델 역량

수준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

지식 연결 맥락적 재구성

실천적

시나리오 ICT 융합 교구 활용 융합 콘텐츠 학습 평가 수업 평가

접근

설계

실천

- 연수 주제는 ‘해당 역량을 특정 수준으로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개발함에 따라 ‘역량’과 ‘수준’이 만나는 지점에 관련 연수 주제가 배치됨

- 최종적으로 교원의 역량, 수준을 고려하여 연수를 구성할 수 있는 개별 맞춤화된 모듈형 연수체계를 개발함. 즉, 교원이 자율적, 능동적으로 연수 모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함

가. 2020년 연구결과에 따른 보완 필요사항

- 개별 교원의 융합수업 역량과 수준을 스스로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 필요한 연수를 설계할 수 있는 검사 도구 개발 필요

- 교원의 ‘해당 역량’을 ‘특정 수준’까지 제고하기 위해 융합교육 연수 주제에 대한 양질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강사의 전문성 강화 지원 필요

나. 2021년 연구추진 방향

- 교원의 융합교육 검사 도구 개발을 통해 스스로 역량과 수준을 진단하고, 모듈형 연수 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수를 이수할 수 있도록 체계적 가이드라인 개발 및 보급 필요

- 모듈형 연수체제 도입 및 운영을 위해 각 모듈별 세부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연수 시범 운영으로 역량과 수준을 고려한 모듈형 연수 프로그램 고도화

- 융합교육 연수 강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 지원

2 2020년 연구결과에 따른 2021년 연구추진 방향

03. 2020 융합인재교육(STEAM) 정책연구

초·중등 융합교육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가. 연구개요

-(배경)

1) 4차 산업혁명으로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 속, COVID-19로 인한 미래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교육 혁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

2) 미래교육 대응의 방안으로 다양한 지식 영역을 넘나드는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과 실천력을 기르는 교육이 강조됨

3) 융합교육 종합계획이 효과적으로 현장에 착근·확산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됨 -(목적) 국내 융합교육 운영 현황 및 실천 사례 분석을 통한 융합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융합교육과 관련된 해외 선진 사례를 조사·분석함으로서 융합교육 활성화 방안과 학교 융합교육 및 학교 밖 융합교육 센터 모델 제안 등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내용)

1) 국내 융합교육 운영 현황 실태 조사 및 실천 사례 분석

· 융합교육 실태 조사

· 융합교육 실행 진단 및 활성화 방안

2) 융합교육과 관련된 해외 선진 사례 조사·분석

· 주요 선진국(미국, 영국, 핀란드, 호주, 캐나다)의 최신 동향 분석

· 융합교육 목표, 교육과정 추진 방향, 학교 사례 분석

· 첨단 기술 활용(융합교육 체험센터) 주요국 동향 조사 및 분석 3) 융합교육 활성화 방안 및 선도학교 모델 제안

· 융합교육 활성화 방안 및 선도학교 모델 제안

· 교육센터 기관에 관한 모델 제안

· 융합교육 활성화 및 현장 안착을 위한 융합교육 운영 방안 제안 -(연구방법) 심층면접 및 설문조사, 문헌 조사 및 분석

-(수행기관) 공주대학교(연구책임자 권혁수 교수) -(연구기간) 2020. 12.~ 2021. 4.

-(예산비목) 정책사업)융합형 과학기술 인재양성 기반구축

1 개요

모듈형 연수체계(안)

03. 2020 융합인재교육(STEAM) 정책연구 - 학교 융합교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결과

양적 설문조사 결과 설문에 참여한 262개 학교 중 84개(51.5%)가 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으며, 79개(48.5%)가 융합교육을 실행하지 않고 있음.

융합교육 실행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 이유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자발적 노력’이 가장 높았으며, 융합교육 적용 시간으로는 정규교과 시간이 높게 나타남. 융합교육 실행 학교의 경우 대부분 융합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함. 이들은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 ‘융합교육에 대한 정의’, ‘융합교육 정책의 청사진 및 방향’ 등을 학교와 교사가 명확히 알게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응답했으며 ‘예산의 지원’, ‘융합교육 정책의 지속성’이 필요하다 요구함.

융합교육 미실시 학교의 경우 융합교육 실시 계획이 없는 이유로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 구성원들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꼽았으며, 융합교육 실행을 위한 선결 문제로

‘융합교육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을 꼽았음.

2) 융합교육과 관련된 해외 선진 사례 조사·분석 결과

- 미국: 2018년 12월에 공표된 STEM 교육 전략계획(Charting a Course for Success:

America’s Strategy for STEM Education)을 바탕으로 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 모든 국민이 평생 동안 양질의 STEM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STEM 소양·혁신·고용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 국가가 되는 것을 비전으로 하여 STEM 교육 정책 방향의 초점이 맞추어짐. 국가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융합교육 목표는 STEM 소양을 위한 강력한 기반 구축, 다양성과 형평성, 포용성의 향상, 미래를 위한 STEM인력 양성을 설정하고 추진함.

- 캐나다: 2017년 ‘Canada 2067’을 발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모형으로 6가지 pillars(토대, 기둥)을 구성함.

6가지 pillars는 궁극적으로 캐나다 학생들에게 STEM 교육을 잘 실행시키고 그 중요성을 확산하는 데 초점을 둠.

<6가지 pillars>

· How we teach(교사 교육, 교사의 전문성 개발 관련)

· How we learn(교육학, 교육과정과 평가)

· What we learn(기능과 역량)

· Who’s Involved(이해 당사자, 파트너십, 리더십 및 조정)

· Where Education Leads (진로 정보와 교육 지도)

· Cross-cutting Issues (Equity and inclusivity): 공평성과 포괄성 (모든 학생들을 위한 학습 기회 관련)

- 영국: 영국은 STEM 교육의 필요성과 의미 및 중요성 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융합교육을 확산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음. 2014년부터 정보 교과가 필수교과로 도입됨에 따라 최근에는 STEM 교육의 형평성을 보장하여 모든 학생들이 차별받지 않고 STEM 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전략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나. 연구 추진 전략 및 방법

1) 국내 융합교육 관련 문헌 수집 및 분석

- 국내 융합교육 관련 선행 연구 문헌 수집 및 분석 2) 해외 융합교육 관련 문헌 수집 및 분석

- 융합교육과 관련된 주요 선진국 5개국(미국, 영국, 캐나다, 핀란드, 호주)에서 실행하고 있는 국가수준의 융합교육에 대한 최신 정책 동향, 기관 및 센터의 운영에 대하여 문헌 및 서면 설문, 인터뷰 실시

3) 심층면접을 통한 융합교육 실태조사

- 학교 현장 교사 5인, 학교 밖 융합교육 실행자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실시 4) 설문조사를 통한 융합교육 실태조사

- 전국 시·도교육청에 소속된 교사 871명을 대상으로 국내 융합교육 실태를 묻는 온라인 설문 실시

- 전국 시·도교육청에 소속된 163개의 초·중등학교 관리자 및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학교 융합교육 현황을 묻는 온라인 설문 실시

다. 연구 결과 시사점

1) 국내 융합교육 운영 현황 실태 조사 및 실천 사례 분석 결과 - 심층 면접을 통한 융합교육 실태 조사 결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결과 ‘학생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융합수업 구상’을 위하여 교사들은 학생과 밀접한 실생활 문제에서 주제를 찾음을 알 수 있었음. 하지만, 수업 진도·입시·평가라는 장애물에 의하여 융합교육 적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학습공동체 활동·교과연구회 활동 등으로 융합교육의 비전을 공유하면서 수업을 성찰하며 극복하고 있었음.

학교 밖 융합교육 실행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결과 ‘소속 기관의 특성을 반영’하여 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었음. 또한, 학령기 학생 이외에 성인 및 유아를 대상으로 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융합교육을 확장하고 있었음. 다만, 정규 교육기관과의 연계가 활발하지 않으며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알고 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음.

- 교사의 융합교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결과

양적 설문조사 결과 설문에 참여한 교사 871명 중 422(48.5%)가 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으며, 449명(51.5%)가 융합교육을 실행하지 않고 있음.

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자발적 노력’이 높았으며, 교과내 수업(1개 교과 수업에서 다른 교과의 내용을 융합하여 1인의 교사가 수업을 진행)형태 실시가 가장 높게 나타남.

융합교육을 실행하지 않는 교사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과중한 업무로 인한 수업 준비의 부담’, ‘교사 연수 부족 혹은 연구회 활동 지원 부족’, ‘다양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부족’이 높게 나타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