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장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기기 산업구조분석

제1절 PEST 분석

<표 4-1>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기기 PEST 분석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기기 산업은 매우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BT와 IT 및 ICT가

3. 사회-문화적 요인

제2절 산업구조 분석

<그림 4-1> 2016년 기업규모별 산업 점유율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2016년 기준 국내 헬스케어 의료기기 디바이스 산업은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으로 구성되 어있다고 확인되었다. 중기업이 68.7%를 차지해 독보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중견기업 과 소기업이 각각 16.22%와 소기업이 15.05%로 나머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대기업의 참여율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헬스케어 의료기기 디바이스 산업의 HHI7)는 724로 계산되었으며, CR38)은 35로 확인되 어 시장의 집중도는 높지 않은 시장으로 보인다. 앞서 말한 중소·중견기업의 매출 비중이 100%를 차지하는 시장으로, 대기업의 점유율이 사실상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림 4-2> 시장집중도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그림 4-3> 산업군 대표 제품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그림 4-4> 전후방 산업구조 분석 (거래액 기준)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제조업

유통업, 개인 소비자, 해외

서비스업 등 기타 크기 : 해당산업에 참여한 기업 수

화살표 방향 : 산업간 거래 방향 화살표 굵기: 연간 거래액 규모

헬스케어 의료기기 디바이스 산업을 거래액 기준으로 전후방 산업구조 분석결과 도매 및 상품중개업으로의 유통이 가장 많았고, 의료용품 및 식료품 등의 제조업 그리고 일반 소매업에도 유통이 발생하였다.

같은 산업을 기업 수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는 도매 및 상품중개업과 기타 의료용 기기 제조업 두 분야와 상호 활발한 유통이 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위의 두 결과를 토대로 거래액과 기업 수 기준으로 산업 전후방구조가 조금 상이하기는 하나, 공통적으로 기타 의료용 기기 제조업과 도매 및 상품중개업 두 분야와의 관계가 뚜렷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5> 전후방 산업구조 분석 (기업 수 기준)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그림 4-6> 신규진입현황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헬스케어 의료기기 디바이스 산업으로의 신규 진입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전기식 진단 및 요법 기기’와 ‘그외 기타 의료용 기기’ 두 가지를 비교한 결과, 그 차이가 극명히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 의료용 기기는 창업 3년 이내의 기업 수 비중과 매출 비중이 크게 나타난 반면, ‘전기식 진단 및 요법 기기’는 상대적으로 기업 수의 비중이 낮게 나타났고 매출비중도 작었다.

<그림 4-7> 성장기회성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매출액 증가율은 2012년 15.3%를 기준으로 점차 떨어져 2015년 6%를 간신히 넘기는 수준을 기록하였으나 2016년 15.6%로 증가율을 다시 회복하며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더 욱이 이는 증가율에 대한 비율로, 매출액 자체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지난 해 그 성장이 급격히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업이익율은 2014년 7.5%에서 꾸준히 증가세에 있으며 2016년 기준 8.92%를 기록하였다. 매출액 증가율과 영업이익율을 바탕으 로 헬스케어 의료기기 디바이스 산업의 시장의 규모가 증가추세에 있어 향후 지속해서 성 장할 수 있는 산업으로 전망된다.

<그림 4-8> 업종평균 매출액 증가율(%)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그림 4-9> 업종평균 영업이익율(%)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그림 4-10> 업종평균 유동비율(%)

주 : KISTI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Tool 이용하였음.

<그림 4-11> 업종평균 총자산회전율

해당 산업의 업종평균 유동비율9)은 2014년 138.34%에서 2016년 212.99%까지 증가하 였으며, 업종 평균 재무 유동성이 점차 좋아지는 산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총자산회 전율10)은 2011년 0.8이던 것이 점차 감소하여 2016년 0.66까지 떨어졌다. 이는 해당 산업 에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그러나 총자산회전율이 지나치게 낮아질 경우 과잉투자로 인한 비효율적 투자에 의한 리스크가 발생하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9) 유동비율. 유동자산÷유동부채×100(%). 기업이 보유하는 지급능력 또는 신용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비율. 높 을수록 기업의 재무 유동성이 크다고 볼 수 있음.

10) 총자산회전율. 총 자본회전율이라고도 하며 매출액을 총 자산으로 나눈 비율이다. 기업이 소유한 자산이 얼 마나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활동성비율 중 하나로 높으면 유동자산·고정자산등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과잉투자 등 비효율적인 투자가 진행될 경우 총자산회전율은 낮아지는 경향 을 보인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