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목표시스템

2. 세부 내용

1) 기본 추진방향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구축사업은 계획편에서 제안하는 도시, 국토, 글로벌 단위에서의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공유 및 협업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하며, 전 세계에 존재하는 공간정보 및 다양한 주제의 (디지털) 속성정보들을 그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위치 및 공간정보가 중심이 되는 통합 인프라를 구축하여 공간정보 공유체계의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진에서는 해당 과업을「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기반구축」

이라는 과업명으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수행지침을 두어 과업의 명확성을 확보하였다.

① 구축 시스템은 국내․외에서 생산되는 디지털 공간정보의 공유 및 협업을 위한 기초 틀을 지향한다. 다양한 국제적 이슈를 분석할 수 있는 주제 별 정보의 조회 및 가시화가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기술과 서비스 측면에서의 확장 및 발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② 국내․외에서 확보한 공간정보는 직접적인 데이터 다운로드를 통한 DB(데이터베이스) 구성과 API(OpenAPI, REST API)를 통한 간접 Mash-up 방식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③ 사업자는 OpenAPI가 제공되는 혹은 제공 예정인 국내․외 기관들(국토 해양부, 통계청, 국토지리정보원, USGS, UN 등)의 공간정보체계와의 매쉬업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구축하여야 하며, 디지털공간정보의 공유 및 협업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추가로 국토연구원이 보유한 정보들의 공유도 가능하여야 한다.

④ 실험 환경은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Ⅱ)」용역 사업으 및 활용은 최소한 3개 이상의 웹브라우저(Internet Explorer, Firefox, Safari, Google Chrome 등)를 지원해야 한다.

2)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목표시스템

(1) 목표시스템 개요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실험사업에서는 글로벌 환경의 공간정보 매쉬업 (Mash-up) 기획 모델을 제시하고 기존의 웹GIS 엔진을 이용, OpenAPI 서비스 환 경이 조성될 수 있는 기술적인 기반을 시도하였다. 또한 국토연구원이 기 보유하 고 있는 국토정보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OpenAPI 가 제공되는 국내외 타 공간 정보체계와 연계가 가능하고, 사용자 정보의 매쉬업을 통해 새로운 융합서비스 를 창출할 수 있는 융합 틀을 구축하는 것이 본 실험사업의 핵심이다.

<그림 2-1> 글로벌 디지털통합공간 목표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총괄목표시스템은 디지털 공간정보의 활용 단계를 공유(Sharing) → 가시화(Visualization) → 분석(Analysis) → 배포 (Publishing) 흐름으로 구분․제시하며, Open API 등 공간정보를 공유(Sharing)하 는 시스템, 3D/2D 지도 엔진을 기반으로 정보를 가시화(Visualization)하는 시스템 등 <그림 2-2>와 같은 다양한 기술적 시도들로 구성되었다.

<그림 2-2> 디지털공간정보 협업 및 공유체계 총괄목표시스템

총괄목표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Global 수준에서 생산․배포되는 공간정보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 이는 단순히 공간적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으로 세계를 포함하면서도 국내 부분에서는 다른 공간정보 서비스와 견줄만한 보다 세부적 정보서비스 들을 담는 형태를 추구한다.

둘째, OpenAPI가 제공되는 국내․외 공간정보시스템과의 연계를 수행하여 다양한 공간정보의 Mesh-up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외에는 상호 융․복합되어 새로운 정보 형태로 가공될 수 있는 공간 관련 정보가 무수히 존재하고 있으나, 이를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허브 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어

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적인 공간정보 허브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3차원 기반(2차원 포함)에서 Mesh-up 공간정보를 가시화하여, 보다 유용한 공간정보를 재생산․제공한다. 이는 2차원 정보에 머물고 있는 국내 포털사들의 대한 선행적 모델도 제공함과 동시에, 구글어스(Google Earth) 등 외산 공간정보 서비스 및 플랫폼에 대한 대항마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 된다.

넷째, 사용자 간 디지털 공간정보를 공유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대중에게 표출하는 등 협업 기능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단순한 정보의 수집 및 제공에서 그치는 단방향 시스템이 아니라,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각종 공간 관련 정보의 게시․공개․공유․협업체계를 제공하여 관련 연구 활동 등 각종 활용에 도움을 줄 것이다.

당해 연도 목표 시스템모델을 다시 정의하면 공간정보는 글로벌 대상의 공간 정보와 국내 대상의 공간정보로 구분되며, 대상 데이터는 원내 보유 데이터, 원외 타 기관 데이터, 개인사용자 보유 데이터 3가지로 분류된다. 이를 도식화 하면 다음 <그림 2-3>과 같다.

<그림 2-3> 3차년도 목표 실험모델

(2) 목표시스템 구성요소 가. Sharing 시스템

디지털 공간정보 Sharing은 공간정보의 가시화 및 분석을 위한 정보를 OpenAPI 및 SNS 정보를 융합하여 연계하거나, 사용자의 정보를 시스템에 업 로드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타 시스템과의 연계 및 로컬 시스템에 업 로드된 공간정보 및 위치정보가 결합된 속성정보는 다음 단계에서 Visualization 및 Analysis 시스템에서 가시화와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그림 2-4> 디지털 공간정보 Sharing 시스템 구성도

Sharing 시스템의 보다 세부적인 활용은 다음과 같다.

⑥ 매쉬업 실행 환경 5) 자원기술구조,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7) http://www.facebook.com

8) http://www.twitter.com

□ 사용자 정보 융합

나. Visualization 및 Analysis 시스템

디지털 공간정보 Visualization 및 Analysis 시스템은 디지털 공간정보를 처리 하여 지도상에 가시화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각종 공간정보를 클라이언트에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서버 컴포넌트와, 이를 웹과 스마트 폰 상에서 처리하기 위한 개발 툴 킷을 제공하는 Web Map API, 그리고 스마트폰 Map SDK로 구분한다. 또한 각종 공간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해 수집하고 이를 가공 처리하는 정보 수집․가공 컴포넌트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구성 설명은 아래와 같다.

<그림 2-5> Visualization 및 Analysis 시스템 구성도

해당 시스템의 보다 세부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② Spatial Processor

공간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실제 처리하는 부분을 담당한다. Map

□ Web Map API

□ 스마트폰 Map SDK

② 2D 공간정보 타일링

현재 웹브라우저 상에서 벡터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 기술이 대용량 의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다. 따라서 현재 웹 GIS의 거의 모든 사이트가 2D 공간정보를 영상정보와 같이 이미 이미지 지도 로 타일링하여 생성하고 이를 레벨별로 상세화 정도를 구분한 레벨링을 실시 하여 지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웹상에서 보다 빠른 속도로 지 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③ 속성 및 공간정보 통합

속성정보를 지도 상에 표현하기 위해서는 위치 정보를 가져야 한다. 이는 속성 정보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는 정보이거나 변환 할 수 있는 정보를 가져야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지도상에 Mapping 할 수 있는 정보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정보는 주소 정보로 이는 Geocoding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행정동, 법정동, 우편번 호, 시군구, 시도명 등 다양한 정보가 공간정보와 통합될 수 있으며 이는 서비 스되기 전 전처리 과정을 거쳐 공간정보와 통합되는 단계를 거쳐 지도에 표 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정보가 된다.

□ 가시화 대상 공간정보

③ 3D 모델 데이터 : 건물이나 시설물 등을 3차원 지도상에 디스플레이 하기

□ OpenAPI 제공

ം↮⤦ӣϲ ᓢVisualization ᏽAnalysis ᫊᪒⥊ὢ⢮᫊᪒⥊ӪҞⵗⵆ؞

ỲⵢᤊંVisualization ᏽAnalysis ᫊᪒⥊ὢAPIᅪ ӣⵢᵪⵊ૒. ӣϲ ᓢᅪ  ӣⵆંέᾓᶾᤊⱊ⃮`ὦὦ⤞⮆ὢ᪒ᅪ ӎⵆ؞Ỳⵢᤊᤊᑲ⛢⯚ࣺ⪦ં

WMS, WFS, WCS, WPS, TMS ೟ⱊ⃮`ὦὦ⤞⮆ὢ᪒׊җἲ⃮ẗⵆᷚ ӣ ⵢᵪⵊ૒. ෾ⵊ ӣఆᶢ↮ંϯ⁳ ᓢḮᢚẗ὾ ᓢᅪ↮ல᢯ᶾⱊⷲⵆ؞

ỲⵆᷚWeb Map API ࢆ᪒ᆶ⪦⯞Map SDK ೟὆ ӣὢⴲᨆ`ὢ૒.

<그림 2-6> REST API 구조

ം↮⤦ӣϲ ᓢVisualization ᏽAnalysis ᫊᪒⥊ᶾᤊϯ⁳ӣϲ ᓢ ӣ ὢࢆӣϲ ᓢᷞᢞἲ⦣ⵊᕲᤋఊ ᓢᅪ ӣⵆ؞ỲⵆᷚⴲẂⵊAPIϮ

REST APIὢ૒. ӣϲ ᓢẂ⒛὾ંHTTP὆GET/POST/PUT/DELETE Ⳳ၊⦎❊၊

ӣϲ ᓢ ӣ὾ᶾѺ ᓢᅪẂ⒛ⵆቢXMLὢࢆ↮லὢᏦ↮⸃⣊၊ ᓢᅪ

 ӣⵊ૒. ӣϲ ᓢᅪREST API၊ ӣⵆંⱊ⃮APIંᴲ྆ḮЇ૒.

WMS(Web Map Service)

WMSંGIS ୞ὢ⤞ᒎὢ᪒὆୞ὢ⤞ᅪᢚẗⵆં↮லᤊᑲ၊ᕮ⤞ᣋ᤟ఆ ᶢ↲↮Ḓ࿶⭪࿞᫟ఊ↮லὢᏦ↮ᅪᤊᘲ᪒ⵆ؞Ỳⵊⱊ⃮Ⳳ၊⦎❊ὢ૒. ᪒

⮇Ἦ1999लᶾḒ⳶GIS ⛖᥺᫊ᶲᶾᤊ⒆ἺЊᐊఆᶢӣЊఆᶶ૒.

WFS(Web Feature Service)

WFSં⳺ྙ⯪ᶾளᆫ`ὦ⸦▊ἲὢẗⵆᷚủᶾᤊ↮ᆚ୞ὢ⤞ᶾ૮ⵊ⴪

Ⓘ(feature)ᅪẂ⒛ⵎᨆὶંὦ⤞⮆ὢ᪒ᅪ ӣⵊ૒. WMSϮ૖ᨊ⽶↮லὢ Ꮶ↮ᆺἲᤊᘲ᪒ⵆં୞ᐆⵢWFSંӣϲᕲᤋ೟ӪЇἮᷞᢞἲỲⵢⴲẂ ⵊ୞ὢ⤞ᅪᤊᘲ᪒ⵊ૒. Ϯᾓ؞ᓦ`ὦWFS ᤊᑲંᐆೊ᫊ӣϲ෾ંᘲӣ ϲ⁞Ѣᶾ؞ᐆⵊ⴪Ⓘ὆⟪ᆚ؞ઓἲ↮Ếⵢᵪⵆ቞, ⪦ྊ​᥆WFS(WFS-T)

ં⴪Ⓘ὆ᣋ᤟Ӫᢛ צᆚӎᶳ୞ὢ⪦ᅪ ӣⵊ૒.

WCS(Web Coverasge Service)

WCSંCoverage ୞ὢ⤞ᅪᢚẗⵆં↮லᤊᑲ၊ᕮ⤞ᣋ᤟ఆᶢ↲↮Ḓ࿶

⭪࿞᫟ఊЋ⒢෾ં↮லὢᏦ↮ᅪᤊᘲ᪒ⵆ؞Ỳⵊⱊ⃮Ⳳ၊⦎❊ὢ૒.  ӣ ఆંⵖᨆ၊ંCoverage ୞ὢ⤞(DTED, GeoTIFF, HDF-EOS, NITF.೟)὆Ѯᢷ, ᒮ⹆೟ὢ↮Ếఊ૒.

WPS(Web Processing Service)

WMTS(Web Map Tile Service)὆׊җἲ ὆ⵆᷮ૒. Ỳ᤟ᷯ᢯ὢࢆⵛӣᢚ↲

ἲὪ ⡚؞὆⢮Ὢ⹂ఊὢᏦ↮↮ல၊՚᤟ⵆӎὢᅪ⹊ẗⵆᷚủ᢯ᶾᤊ

ϯ⁳ᢚẗ὾ ᓢ὆ἣⵗἲỲⵊAPIὢ૒. ؞ᓦ`Ἢ၊Point, Marker, Line, Polygon, MultiGeometry ೟὆Geometryᅪ⯚ⵖⵊЋ⒢Ḯ᢯ᤦⵊ᥻᤟ ᓢᅪ

 ӣⵆ؞ Ỳⵊ HTMLᅪ ⒆ᆚⵎ ᨆ ὶં  ᓢ␫ல  ӣⵢᵪ ⵊ૒. ෾ⵊ

KML(Keyhoe Markup Language) ೟ӪЇἮⱊ⃮⯚ᇥᶾ૮ⵊOverlayᅪ↮Ế ⵢᵪⵊ૒.

Service API

Map ControlӪOverlay APIϮWeb Map API὆؞ᓦAPIὢཪቢService API

ં ϯ APIᶾᤊ ⪧⇃`Ἢ၊  ӣⵆં APIὢ૒. Ỳ♆Ḯ ⃪᥺ ᒮ⹆ APIὦ

Geocoder, Reverse Geocoder ೟ѮᢷAPIϮ૮ⱊ`ὦService APIὢ૒. ෾ⵊϯ

⁳POIѮᢷἲỲⵊAPI, ҫ၊ᴶࢢᅪỲⵊDirection API ೟ὢ՚᤟ఎᨆὶ૒.

3♆Ế↮லᤊᘲ᪒Ὢҫẞ⁞ታպᕲᤋ, Ὢ⁞պᕲᤋ, ҫӮᕲᤋ೟὆APIϮ

૒. Publishing ᫊᪒⥊

ം↮⤦ӣϲ ᓢPublishing ᫊᪒⥊ἮOpenAPI၊ᷞҲఆўࢆᢚẗ὾Ϯ↯῿

ᶳ၊ೊⵊӣϲ ᓢẾᓦὢࢆᓦ᫊᪒⥊ࢢᶾᤊϮӣᏽᕲᤋ⒆ᆚఊᢶ၊Ả

ӣϲᏽ᥻᤟ ᓢᅪᓢӎᤊ὿᤟ἲỲⵢshp, kml ೟὆ӣϲ ᓢ⯚ᇥ, ↮ல

ὢᏦ↮, ⱊ⸃⣊὆ᶿ᤮೟ᷚ࿚Ϯ↮⯚ᇥἪ၊૒Ảᐉўࢆᢶ၊ᣋ᤟ఊ

 ᓢᅪ⢮ᢚẗ὾ᶾѺӣἎⵆ؞Ỳⵊ᫊᪒⥊ὢ૒.

<그림 2-7> Publishing 시스템 구성도

ⵢ૧᫊᪒⥊὆ᓢ૒ᤦᕮ`ὦᤒታἮ૒ἺӪЇ૒.

□ 정보 제공 파일 생성

᫊᪒⥊᢯ᶾᤊVisualization ఆўࢆAnalysis ఊӣϲ ᓢᅪᢶ၊Ả⸃⣊὆

⯚ᇥἪ၊ᒮ⹆ⵆᷚᣋ᤟ⵆўࢆ ᓢᅪᓣẾⵎᨆὶંURLἲᣋ᤟ⵆં⛢⯚

SHP, KML(Keyhole Markup Langueage), GeoRSS ೟

③ ᪒Ⳳ࿶ೊ᫊⪦

೟ἲ⦣ⵆᷚ ᓢᅪPublishing ⵎᨆὶ૒. ෾ⵊᣋ᤟ఊ⫺Ὢἲ૒Ảᐉ؞Ỳⵆᷚ

⫺Ὢ૒Ả၊ೊ⛢⯚ࣺ⪦Ϯ՚᤟ఆᶢᵪⵊ૒.

SNS ᷞҲ

ᣋ᤟ఊ⫺ὪὢࢆᓣẾURLἲ⮆ὢ᪒ᕯᏽ⪦Ỳ⤞APIἲὢẗⵆᷚᓦ᫊᪒

⥊ᶾᤊ↯῿೟။ⵊ૒.

② Ѻ᫊⫾ᏽᘂ၊צ

Ѻ᫊⫾ᏽᘂ၊צંᣋ᤟ఊം↮⤦ӣϲ ᓢᶾ૮ⵊӣἎ὆ᾓἪ၊⹊ẗ

Ϯઓⵆ૒.

③ ቂὪᏽSMS/MMS

⪧ ὦᶾѺᣋ᤟ఊം↮⤦ӣϲ ᓢᶾ૮ⵊᓣẾURLἲ ӣⵆ؞Ỳⵊᨆ

૖ὢ૒.

④ ૒Ả၊ೊ⛢⯚ࣺ⪦

ᤊᑲᶾ΅ᾓఊKML, SHP, ὢᏦ↮↮ல, ᶿ᤮⫺Ὢ೟ἲ૒Ả၊ೊⵆ؞Ỳ ⵊ⛢⯚ࣺ⪦ὢ૒.

(3) 주요 구현 기능

본 실험사업이 지향하는 총괄목표시스템의 주된 기능을 디지털 공간정보 공유 및 협업 체계의 4가지 단계 기능으로 크게 구분하고, 금번 실험사업을 통해 구체 적인 실험 대상 정의 및 총괄목표시스템 구축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향후 총괄목표시스템에 내포될 주요 기능으로는, 아래 그림과 같이 디지털 공 간정보의 Sharing, Visualization, Analysis, Publishing 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2-8> 디지털공간정보 공유 및 협업 체계 주요 기능

□ 디지털 공간정보 Sharing

① 외부 시스템 연동을 통한 데이터 Collection

OpenAPI로 연동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은 매쉬업 엔진에 의해 블록으로 저 장되고 이를 활용하여 편리하게 디지털 공간정보 협업체계의 데이터로 Sharing될 수 있다. 아래 그림은 각종 OpenAPI을 블록으로 저작하고 이의 연 결에 의해 외부 정보가 쉽게 매쉬업 되는 것을 표현한 개념도이다. 또한 Facebook이나 Twitter 로 표현되는 SNS 정보 또한 OpenAPI을 제공하므로 이

또한 매쉬업 엔진에 의하여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국내외 통 계, 환경, 기상, 재난, 도시, 경제, 산업, 문화 등 다양한 데이터의 실시간 연계

또한 매쉬업 엔진에 의하여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국내외 통 계, 환경, 기상, 재난, 도시, 경제, 산업, 문화 등 다양한 데이터의 실시간 연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