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회천 마을

문서에서 제주농촌마을의 기제사의례 변화 (페이지 26-29)

Ⅲ. 조사대상 개관

1. 동회천 마을

1) 자연․지리적 개관

동회천 마을은 제주시로부터 동쪽으로 12.3km 가량 떨어져 있는 중산간에 위치한 봉개동의 6통에 해당되는 법정동이다. 시내버스가 1시간에 한 대꼴로 운행되고 있을 정도로 교통이 매우 불편한 지역으로 지금은 대부분의 가구가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마을의 토양은 주로 용암류 대지에 분포하는 화산재를 모재로 한 토양으 로 미사질 양토로 토양배수가 잘 되고 토심도 깊은 편이어서 농사짓기에 적합 했다. 표토는 농암회갈색의 자갈이 있는 미사질식 양토이며, 깊은 땅속 심토 는 암황갈색의 자갈이 있는 미사질 양토였다. 이 토양의 자연비옥도는 보통이 며, 유기물 함량이 매우 많고 토양반응이 매우 강한 산성이라 마을 주민의 85%가 농사를 지으며 보리, 콩, 유채, 무우, 감자 등의 밭작물 농사와 과수 원을 주업으로 하고 있었다(국어교육학회, 1994: 210). 몇 해 전까지만 하 더라도 당근, 수박, 배추 등의 특용작물과 약초재배 및 축산업을 많이 했으나 지금은 매우 많이 감소하여 대부분이 귤농사를 주업으로 하고 있다. 조사 당 시 작목반은 감귤 영농작목반 1개가 있었으며 30여 가구가 참여하고 있었다.

주요 현안문제는 크게 두 가지였는데, 하나는 마을인구의 유출이고, 다른 하나는 재산권 행사의 문제였다. 이 두 개의 문제점은 제주지역의 산업구조 변화와 회천마을이 그린벨트로 묶여 있는 점과 관련이 깊었다. 마을인구의 유 출은 마을이 그린벨트로 묶이면서 농사확장이 안되고 집을 지을 땅이 확보가 되지 않아 젊은 사람들이 마을을 많이 빠져나가면서 생기기 시작하였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제주지역의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한 농촌마을의 인구유출은 회천마을 외에도 제주농촌마을에서 전반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문제이나 회 천마을의 경우 행정상 제주시 근교라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그린벨트지구라는

점 때문에 마을인구의 유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었다. 이 마을 인구의 유출 은 1996년도에 이르러서는 삼양초등학교 회천분교가 폐교되는 결과를 가져 오도록 했으며 현재 마을에 있는 초등학생들은 삼양초등학교를 다니고 있었 다.21)

둘째, 재산권 행사의 문제는 그린벨트로 묶이면서 제주시 본 동들과 별 차 이 없던 땅값이 그린벨트로 묶인 후부터 땅값의 하락 및 동결을 가져와 본 동 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지세상승에 훨씬 미치지 못해 매매에 불이익을 주고 있어 주민들이 재산권 행사에 대해 불만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제주도개발특 별법 이후 회천마을내 신축가옥허가가 가능해졌기 때문에 주민들은 제주도개 발특별법에 대해 호의적이었다.

2) 역사․인문학적 개관

역사적으로 동회천은 ‘새미’라고 하는 자연촌을 이루고 있었으며, 1913년 제주도 제주면으로 승격할 당시 통합되었다. 4․3 당시 다른 중산간 지역과 같이 역시 초토화되었던 지역으로 5년여 동안의 소개생활에서 돌아와 3년간 의 노력 끝에 복구하고 자체자금으로 향사(鄕舍)를 건립하여 농로확장에 힘 을 기울였다. 1970년에는 이 마을 출신이면서 일본에서 성공한 재일교포 김 평진씨와 애향회원들의 도움으로 상수도, 전기시설이 마련되었고 1972년 새 마을운동이 시작되면서 도로포장, 농로확장 등을 실시하였다. 1984년 최초의 마을회관을 지었다가 1995년 12월에 마을사람들의 공동출자와 기부금으로 신마을회관을 건설하였다.

마을의 주요 성씨는 평강 채씨, 경주 김씨, 연산 김씨, 천안 전씨, 양천 허 씨와 수원 백씨 등이며, 이들 성씨 내에는 친척의 관계가 성립하고 있는 경우 가 많았고, 마을 내의 문제를 논의할 때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 며, 마을의 각종 조직의 최고 직책에도 대부분 이 성씨의 사람들이 대부분 맡 고 있었다.22) 이는 마을 유지들간의 유지합의형(신행철, 1989)의 권력분포

21) 실제로 주소지만 동회천으로 되어 있고 제주시 및 다른 마을에 거주하는 가구수 만도 15가구나 되었다.

22) 조사당시 동회천 마을 통장은 채씨 집안의 사람이, 작목반 반장은 김씨 집안의

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23)

문서에서 제주농촌마을의 기제사의례 변화 (페이지 26-2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