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도시문화콘텐츠 개념의 정립

2. 도시문화콘텐츠 의의

1) 논의의 어려움

도시문화콘텐츠에서 ‘도시’, ‘문화’, ‘콘텐츠’ 어느 개념 하나 명료한 것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도시문화콘텐츠는 사실학에서 발전한 개념이고 규범학에서는 이미 그 유형과 정책 대상에 따라 법제도화되 어 있기 때문에 도시문화콘텐츠 자체가 일반적인 의미로서 규정될 성 질의 것이 아니기도 하다. 도시문화콘텐츠의 개념을 규정할 경우 법적 안정성이나 예측가능성은 확보되겠지만, 각 도시마다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도시문화콘텐츠가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인 도시문화의 형성을 방 지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개념정의를 할 필요 없이 단순히 문화도시 를 지향하는데 도시라는 공간을 통해서 표출될 수 있는 문화적 콘텐츠 정도의 사회학적 의미로 이해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35)

2) 도시문화콘텐츠의 개념요소

도시문화콘텐츠의 개념은 개념이 발전하게 된 배경에서 우선 찾아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사회학적 관점에서 도시문화콘텐츠는 “① 도시라는 공간

35) 일본의 경관법의 경우 경관의 개념을 법률에서 정의하지 않는 것도 마찬가지의 취 지이다. 최환용, ��일본의 경관보호법제��, 한국법제연구원, 2005. 81-82쪽 참조.

안에서 발생하는 ② 문화도시의 요소가 되는 ③ 문화적 콘텐츠”라고 할

(2) 도시문화콘텐츠의 성격

도시문화콘텐츠는 그 개념상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갖는다. 지방자치 단체가 도시문화콘텐츠를 발굴, 육성하거나 중앙 정부가 이를 지원할 때에는 다음의 성격을 고려하여야 한다.

① 일상적인 문화로서의 성격

② 지역의 정체성으로서의 성격

③ 주민 참여적 성격(문화 향유적 성격)

④ 소통의 요소로서의 성격(또는 사회통합적 성격)

⑤ 전체 도시와 조화로운 성격

(3) 문화도시와 도시문화콘텐츠의 관계

전술한 문화도시는 몇몇 주요 도시 중심의 도시성장정책의 표현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문화콘텐츠는 어떤 도시든지 그 도시의 성격, 기능, 역사 등에 맞추어 발전시킬 수 있는 개념이다. 굳이 문화 도시를 지향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도시문화콘텐츠는 그 도시의 주 민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문화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문화콘텐츠의 개념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율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개념이다. 그리 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여 열린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문화콘 텐츠는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해당 도시의 주민들이 문화와 환경을 향 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도시문화콘텐츠는 그 유형에 따라 문화예술의 발전, 관광 산업 육성,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 등 도시 내의 다른 산업으로 큰 파급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우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문화자원과 도시민 또는 방문객이 집중적으로 모일 수 있는 도심부의 일단의 공간을 ‘도시문화터미널’로 정의한다. 도시문화터미널은 도 심재개발에 적합한 형태로 공원과 결합을 시킴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 다고 한다. 전영옥, ��신문화도시 전략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2006, 23쪽 이하.

결국 도시문화콘텐츠는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해당 도시의 도시문화콘텐츠가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문화도시로 발전할 것이다.

3. 도시문화콘텐츠의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