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데이터 기반 이용자 분석 종합 시사점

제3장 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요구사항 분석

본 장은 디지털도서관의 이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이용자 만족도 설문조사 데이터와 2018~2020년 시설예약데이터를 기초로 분석한 결 과이다. 2019년 이용자 만족도 설문조사 데이터는 디지털도서관을 방문하여 이 용하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데이터이며, 통계분석기법과 구조방정식모 델을 사용하여 분석한 내용을 구분하여 2개의 소절로 구성하였다.

3.1 이용자 만족도 설문데이터 분석을 통한 이용자 만 족도 및 요구사항 분석

본 설문데이터는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 개선을 위해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 사항을 파악한 조사 데이터이다. 설문조사 는 2019년 10월 23일부터 2019년 11월 4일까지 온라인과 대면 방법을 통해 이 뤄졌으며, 주요 조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도서관 이용현황

§ 개인 및 그룹 공간 경험 및 만족도

§ 시설 및 환경 만족도

§ 디지털콘텐츠 및 만족도

§ 예약시스템 만족도

§ 이용자 지원 서비스 만족도

§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경험 및 만족도

§ 디지털도서관 추천의향

조사 항목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만족도에 관한 척도는 1점이 가장 만족 하는 “매우 만족한다”이며, 7점이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로 구성되었다.

데이터 분석은 성별, 연령대, 직업군 별 이용특성 비교검증과 만족도분석으로

이뤄졌으며, 분석도구는 IBM SPSS Statistics 26, Tableau 2020.1이 활용되었 다.

3.1.1 표본과 기술통계량 분석

본 분석에서 표본수는 총 469(N=469)개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469개의 표본의 성별, 연령대 및 직업군 분포는 다음 <그림 3-1>

과 같다.

<그림 3-1> 표본 내 성별, 연령대 및 직업군 분포

설문의 표본(N=469) 중, 347명(74%)이 남성에 해당하였다. 이에 반해 여성은 26%에 해당하는 122명이었다. 한편, 연령대 별 빈도는 50대 이상이 전체의 54.2%에 해당했고, 청년층의 이용이 저조했는데 특히 10~20대의 이용이 7.7%

에 불과했다. 30대의 이용은 상대적으로 높은 15% 대였고, 40대 이상이 전체의 8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별에 따라 남녀 간의 비율을 분석해 보 면, 다음 <그림 3-2>와 같은 교차표를 볼 수 있다.

<그림 3-2> 성별-연령대 별 이용횟수 교차표

성별과 연령대 별로 많은 분포의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10~20대 의 경우 남성은 4.6%에 불과한 반면 여성은 16.4%에 달했다. 50대 이상의 경 우 남성은 64.8%로 매우 높은 비중이지만, 여성은 23.8%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이었다. 단, 이 데이터는 설문에 응한 표본 내에서의 기술통계이므로 구체 적이면서 정확한 이용통계는 3.3절에서 소개되는 2018년~2020년 이용통계 분 석을 참고하기 바란다.

3.1.2 성별 기준 통계적 비교분석

성별 간 디지털도서관 이용횟수, 이용시간, 이용목적,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과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카이제곱 검정은 독 립변수와 종속변수가 모두 범주형 형태일 때, 두 변수들이 서로 독립적인지, 혹은 상관이 있는지를 판단할 경우 사용한다. 이용횟수에 관한 설문이 연속형 변수로 조사되지 아니하고 범주(예를 들면 거의 매일, 1주에 1회...)형으로 조사 되었고 이용시간, 이용목적도 범주형으로 조사되었기에 카이제곱 검정이 적합 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T 검정은 2개 범주의 독립변인과 연속형 종속변수 에 적합한 검정방법이기에 만족도 검증에 사용하였다. 성별 간 디지털도서관 이용횟수, 이용시간, 이용목적,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아래 <표 3-1>과 같다.

<표 3-1> 성별 간 이용횟수, 이용시간, 이용목적,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구분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이용횟수 H0(귀무가설) : 성별 간 디지털도서관 이용횟수는 차이가 없다.

H1(대립가설) : 성별 간 디지털도서관 이용횟수는 차이가 있다.

이용시간 H0(귀무가설) : 성별 간 디지털도서관 1회당 이용시간은 차이가 없다.

H1(대립가설) : 성별 간 디지털도서관 1회당 이용시간은 차이가 있다.

이용목적 H0(귀무가설) : 성별 간 디지털도서관 주된 이용목적은 차이가 없다.

H1(대립가설) : 성별 간 디지털도서관 주된 이용목적은 차이가 있다.

만족도 H0(귀무가설) : 성별 간 디지털도서관 만족도는 차이가 없다.

H1(대립가설) : 성별 간 디지털도서관 만족도는 차이가 있다.

1) 성별 간 이용횟수 차이 검증

분석에 앞서 교차표를 통해 성별 간 이용횟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림 3-3>은 성별 간 이용횟수에 대한 교차표이다.

<그림 3-3> 성별 간 이용횟수 교차표

성별로 구분하여 볼 때, 남성이 상대적으로 거의 매일 이용하는 이용자의 빈 도수가 높았다.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로 이용하는 이용자의 분포는 비율로 따져 봤을 때 남녀 성별의 차는 유사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위의 표가

‘거의매일’, ‘1주에 회’, ‘한 달에 회’ 등 정확한 횟수가 반영되지 않아서 연간 이

용횟수로 환산하여 재분석할 필요가 있었다.

이용횟수를 연간 기준으로 환산하여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고 이를 이용빈도 단위를 적용해서 재분류해보면 아래의 <그림 3-4>와 같다. 디지털도서관을 거 의 매일 이용하거나 일주에 4~5회 가량 이용하는 이용자가 전체의 22%를 상 회하고 있고, 적어도 일주에 한 번 이상 방문하는 이용자가 전체의 70% 이상 임을 볼 수 있다. 이를 남녀 간 성별 차에 따라 평균비교를 해보면, 다음 <그 림 3-5>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남성이 평균 133회를 이용하는 반면, 여성은 82 회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 간 평균 이용횟수의 차이가 현저함을 볼 수 있다. 또한 T test를 통해 남녀 집단 간 비교를 해본 결과는 <그림 3-6>에 서 볼 수 있다.

이용빈도단위 빈도수 거의 매일 44명(9.5%) 일주에 1~3회 214명(49%) 일주에 4~5회 55명(11.7%) 한 달에 1~5회 94명(20%) 한 달에 6~10회 10명(2.1%) 일년에 1~6회 25명(5.3%) 일년에 6~15회 5명(1%) 당일 첫방문 22명(4.6%)

총계 469명

<그림 3-4> 연간이용횟수 분포 및 성별 별 시각화

<그림 3-5> 연간이용횟수의 성별 별 평균비교

<그림 3-6> 연간이용횟수의 성별 간 T test 검정결과

T test 결과, Levene의 등분산 유의확률이 .003으로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Levene의 등분산 유의확률이 .05이상일 때 등분산이 가정 됨). 따라서 T test 유의확률이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은 상황의 값으로 0.00으 로서 남녀 간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도 분명하게 그 분포가 다른 집단으로 파 악이 된다. 즉,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의 남녀 이용자들은 이용횟수 면 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2) 성별 간 이용시간 차이 검증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1회당 평균 이용시간의 분포는 표본수(N=469) 에 대하여 다음 <그림 3-7>과 같이 분포한다.

<그림 3-7> 1회당 이용시간의 분포

3시간~6시간 미만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1회 이용시 6시간 이 상 사용자들이 13.9%로 의미 있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를 다시 성별 별 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그림 3-8>에서 요약하여 보고하였 다.

<그림 3-8> 1회당 이용시간과 성별 별 교차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의 표본수 차이로 인해 절대적인 빈도수는 많이 차이가 나지만, 이용시간별로 남녀 간의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고 매우 유사한 비율인 것 을 볼 수 있다. 카이제곱 분석결과, Pearson 카이제곱 값은 1.466이었으며, 자 유도가 3, 유의확률이 .692로 확인되었다. 이는 남녀 간 1회당 이용시간의 차이 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3) 성별 간 이용목적 차이 검증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을 이용하는 목적에 관하여는 1,2,3순위로 조사 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가장 주된 목적에 관해 분포를 조사하고, 성별 간 차 이를 조사하였다. 먼저 1순위로 디지털도서관 이용목적에 대해 이용자들이 꼽 은 것은 <그림 3-9>와 같이 분포하였다.

<그림 3-9> 1순위 이용목적 분포

‘조사 및 연구’를 목적으로 방문하는 이용자가 27.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 지했고, 다음으로 인터넷 이용자(23%), 개인학습(20%)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 다. 멀티미디어 이용, 세미나실, 영상제작 등을 미미한 비중을 보였는데, 이는 각 시설 별 만족도와 함께 차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우선 성별 간 이용 목적 의 차이가 있는지 교차 분석과 카이제곱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림 3-10> 1순위 이용목적에 관해 성별 별 교차분석 결과

여성은 조사 및 연구 목적 이용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고, 업무관련 이용은 남성이 우세했다. 멀티미디어 자료이용, 세미나실 이용, 문서 작성, 온라인 도서 열람 등을 남녀 간에 비슷한 비중의 이용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카이제곱 분석을 수행한 결과, Pearson 카이제곱 값이 22.466, 자유 도 9에 유의확률이 .008을 기록했다. 이는 성별 간 이용목적이 통계적으로 많 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4) 성별 간 만족도 차이 통계검증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에 관해 전반적 만족도는 ① 개인 및 그룹 이용시설 전반적 만족도, ② 시설 및 환경 전반적 만족도, ③ 디지털 콘 텐츠 및 서비스 전반적 만족도, ④ 예약시스템 전반적 만족도라는 총 4가지 항 목으로 조사되었다. 각각의 전반적 만족도에 대해 성별 간 통계적인 유의한 차 이를 확인하기 위해 T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성별 간 비교이므로 남녀 두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는 독립표본 T test 방식으로 IBM SPSS Statistics 26 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먼저, 집단통계량을 살펴보면, <그림 3-11>에서 전반적 인 통계량을 볼 수 있다.

<그림 3-11> 4개의 전반적 만족도 관해 성별 별 집단통계량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7점 만점 척도로 조사되었으며, 1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