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데이터의 지능화를 위한 공간정보의 역할

를 형성하게 된다. 그 결과 디지털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데이터에 접근하 고 활용할 수 있어서 과거에는 개별적이었던 시장이 플랫폼과 플랫폼이 연결되는 방식 으로 시장이 확장되고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게 된다.

2. 데이터의 지능화를 위한 공간정보의 역할

1) 위치정보와 위치기반 지능화의 필요성

플랫폼 경제에서 데이터의 가치는 시스템 및 기계가 의사결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디지털 지능을 제공하는 것에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간정보의 가치는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지능을 추출하는데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로 결정된다.

플랫폼 경제 이전에도 공간정보를 이용한 의사결정의 경제적 편익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이때의 편익은 공간정보시스템에서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기존의 계획수립 및 국토관리의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켰다는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반면 플랫 폼 경제에서 공간정보의 역할은 데이터에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부여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에 필요한 위치기반 지능화(location intelligence)를 제공하여 디지털 혁신과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Boguslawski 외, 2019;

EU, 2018; Forrester, 2018).

자료 : Boguslawski 외 .2019. European union location framework blueprint Ver.3.0. pp, 9 그림 2-9 | 디지털 정보의 발전과 위치정보의 이용

EU(2018)의 연구에서 데이터의 지능화를 위한 위치정보와 위치기반 지능화의 기능 은 몇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위치정보는 그 자체로 제품 또는 서비스이다. 위치정보 를 이용하여 소비자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둘째, 위치정보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인화시킨다. 따라서 특정 시간과 장소의 소비자를 선별하여 광고 또는 마 케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위치정보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사회적 요소를 추가한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특정 장소와 시간에 접근 가능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평가 데이터 기반 추천이 가능하다. 넷째, 위치정보는 제품이나 서비스 의 지능화를 가능케 한다.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상황이나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 의 정보를 연계하여 최적 경로탐색 분석과 같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유의미 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EU(2018)는 이들 기능을 사업 모형에 반영하거나 서비스 하는 방식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기반으로 플랫폼 사업을 수행하는 27개 업체

30

를 분석하여 협업형(collaboration) 통합형(orchestration), 개발형(creation), 중계형 (matching)으로 구분하였다.

자료: EU. 2018. Digital platform for public service. pp, 42 그림 2-10 | 공간정보 플랫폼 사업 유형 및 대표 업체

다양한 형태의 사업 모형 또는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지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처리,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위 치정보가 부여되지 않은 데이터의 경우 분석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정확도로 위치 정보 를 부여하는 과정(geocoding)이 수행된다. 앞의 협력형 또는 통합형 사업 모형의 경우 서드파티의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하는 과정이, 개발형 사업 모형의 경우 API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 써 위치기반 지능화를 실현하게 된다.

자료: Forrester .2018. Location intelligence drives competitive edge in the digital age. pp, 3 그림 2-11 | 사업 영역 별 위치기반 지능화의 중요성 설문조사 결과

2018년 컨설팅 업체인 Forrester는 위치정보 지능화가 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그림 2-11> 참고). 금융, 소매, 광고, 물류 등의 산업 분야 253명의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의 응답자가 현재 기업의 경쟁력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답변하였으며, 3년 후 중요한 요소일 것이라고 예상하 는 비율은 77%로 조사되었다(Forrester, 2018). 또한 기업의 내부 기능은 물론, 고 객 경험 측면에서도 위치정보 지능화가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조사된 반 면, 데이터의 정확성과 관련된 품질 문제, 데이터의 통합적 관리체계의 부재와 다출처 데이터 간의 불일치 등이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로 조사되었다(Forrester, 2018).

32

2) 위치정보와 위치기반 지능화를 위한 공간정보의 역할

2019년 공간정보 분야의 산업계를 중심으로 위치기반 지능화와 관련된 기술과 산업 현황을 조사한 연구는 지능화 관련 사용자 산업과 데이터 벤더 산업을 구분하여 현황과 관련된 다양한 현황을 설문조사하였다(<그림2-12> 참고). 이 연구에서 위치정보 및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사용자 산업 관점에서 가장 큰 문제는 정보가 사업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과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 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신뢰할 수 있는 통합 체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었 다. 반면, 위치정보 및 공간정보를 가공하여 서비스하는 관점에서는 최신성을 유지하 기 위한 실시간 데이터의 획득과 개인정보보호를 가장 큰 문제로 답변하였다. 또한 데 이터의 품질과 정확성, 그리고 표준화되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 처리 등을 답변하였다 (Geospatial media and communication, 2019).

자료: Geospatial media and communications .2019. Geobuzz - Geospatial industry outlook and readiness index 2019 edition. pp. 29-30

그림 2-12 | 위치기반 지능화 관련 사용자 산업 및 데이터 산업의 도전과제

지금까지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 지능화의 역할과 현재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Boguslawski 외 (2019)와 Geospatial media and communication (2019)의 연구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지능화에 필요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신의 데

34

다. 또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통합적 공간 상황정보를 적시에 생성하기 위하여 사물인 터넷 등으로 실시간 생산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간정보와 연결하고 종합하여 분석 (데이터의 연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데이터경제 시대의 공간정보는 이러한 일치성 과 연결성을 바탕으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의 모든 데이터를 위치를 기반으로 개인화, 사회화 그리고 지능화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해야 하며, 이를 위한 생산체계로의 혁신 이 요구된다.

자료: 저자 작성

그림 2-13 | 데이터경제 시대 공간정보의 새로운 역할 및 가치 창출 방안

공간정보 생산체계 현황과 주요 이슈 분석

1. 공간정보 생산체계 진단의 틀 | 37 2. 공간정보 생산체계 진단결과와 문제점 | 42 3. 공간정보 생산체계의 현주소와 시사점 | 50

CHAPTER

3

CHAPTER 3

공간정보 생산체계 현황과 주요 이슈 분석

본 장에서는 그간 국가에서 주도하여 추진해온 국가공간정보 정책과 공간정보 생산현황에 대해 파악하였다. 지형자료, 건물자료, 도로 및 교량, 도로 시설물 교통 시설물 등의 유형별로 국토지리정 보원 수치지형도 2.0을 기준으로 현재 공간정보의 일치성과 연결성 수준을 진단하였다. 그 결과 가장 세밀한 수준으로 최상 수준으로 구축하기 보다는 수요수준에 맞춘 일치성의 최적화가 필요하 며, 국가기관에서 생산하고 이를 공공과 민간에서 활용하는 일방향 갱신체계는 최신성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일기관이 아니라 참여적 역할분담으로 협업적 분산 구축이 필요하다.

1. 공간정보 생산체계 진단의 틀

1) 진단을 위한 기본 구상

앞 장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데이터경제 시대에 공간정보의 새로운 역할은 데이터의 일치성과 연결성을 통한 공간정보의 위치와 위치기반 지능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 서 현재 구축해서 활용하고 있는 공간정보가 데이터경제 시대에 일치성과 연결성을 가 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공간정보 일치성과 연결성이라는 특성은 공간정보를 생산하고 갱신 등 관리하는 과정 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생산체계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생산체계라는 개념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며 생산방법, 생산과정, 생산메 카니즘, 조직체계 등의 용어와 혼용하여 쓰인다. 생산체계는 ‘각각의 속성을 가지며 상호 연관을 맺고 있는 생산 요소들의 집합’이라 정의된다(주성재, 1994). 즉, 특수한 속성을 가지는 생산요소들은 생산에 투입되어 생산과정을 거쳐 제품으로 산출되어 시

38

장에 공급되며 이러한 전체적 과정은 정책적 요인, 정보 하부구조, 사회·문화적 조건 등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은 사전적 정의를 기반으로 하여 공간정보 생산체계는 ‘전문인력, 기술, 하 드웨어 등을 투입하여 공간정보를 생산해내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 간정보의 생산체계는 어떤 공간정보이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공간정보 생산체계는 ‘현실세계의 자연·인공지물에 대한 정보(production)가 생산·가공 과정을 거쳐 공간정보로 구축되어(process) 시장에 공 급되는 것’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현재 공간정보 생산체계의 현황 과 주요 이슈를 분석하기 위해 제품으로서의 공간정보 품질, 생산 및 가공절차, 생산주 체 등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진단하고자 한다.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1 | 공간정보 생산체계 진단의 틀

2) 진단방법

40

공간정보 품질 진단에 사용한 공간정보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한 수치지형도 2.0을 대상으로 한다. 수치지형도는 항공촬영사진을 도화하여 구축한 2차원도형 중심 의 지도이므로 현실과 일치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도형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그림 3-2> 참조). 즉, 수치지형도의 2차원 자료를 전환하여 현실의 지형지물을 얼 마나 유사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지형, 건물, 도로 및 시설물 등을 중심

공간정보 품질 진단에 사용한 공간정보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한 수치지형도 2.0을 대상으로 한다. 수치지형도는 항공촬영사진을 도화하여 구축한 2차원도형 중심 의 지도이므로 현실과 일치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도형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그림 3-2> 참조). 즉, 수치지형도의 2차원 자료를 전환하여 현실의 지형지물을 얼 마나 유사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지형, 건물, 도로 및 시설물 등을 중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