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3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1-46)

향에 대한 설명력은 8.4%로 추정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F=8.870, p<.001), 마음챙김의 현재자각(β=.15, p<.001)만이 갈등관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챙김의 하위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 중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설명력은 6.5%로 추정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F=6.765, p<.001), 자기개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타나지 않았 다.

<표Ⅳ-9> 대학생의 가족지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구분 종속변인 : 대인관계 유능성

B 표준오차 β t VIF

가족 지지

(상수) 2.333 .171   13.643***

정서적 지지 -.029 .121 -.038 -.241 1.983

정보적 지지 .201 .092 .270 2.176* 6.951

물질적 지지 -.037 .092 -.045 -.403 5.663

평가적 지지 .147 .091 .196 1.621 6.560

R2 = .141, adjR2 = .132, F = 15.892***

*p<.05, **p<.01, ***p<.001

<표Ⅳ-10> 대학생의 가족지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에 미치 는 영향

구분

종속변인 : 대인관계 유능성 관계형성

및 개시

권리나 불쾌감에 대한 주장

타인에

대한 배려 갈등관리 자기개방

B β B β B β B β B β

가족 지지

(상수) 2.19 2.22 2.45 2.64 2.11

정서적 지지 -.08 -.08 -.03 -.03 .07 .09 -.14 -.16 .09 .07 정보적 지지 .32 .32* .23 .23 .08 .10 .14 .18 .25 .21 물질적 지지 -.02 -.02 -.09 -.08 .02 .02 .03 .03 -.25 -.19 평가적 지지 .08 .08 .16 .16 .15 .19 .22 .27* .16 .13

R2 .090 .074 .145 .095 .059

adj R2 .081 .064 .136 .086 .049

F 9.559*** 7.710*** 16.377*** 1.180*** 6.057***

*p<.05, **p<.01, ***p<.001

<표Ⅳ-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족지지의 하위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 하 위요인 중 관계형성 및 개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9.0%로 추정된 모 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F=9.559, p<.001), 가족지지의 정보적 지지(β

=.32, p<.05)만 관계 형성 및 개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의 하위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의 갈등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9.5%로 추정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F=1.180, p<.001), 평가적지지(β=.27, p<.05)만이 갈등관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의 하위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 중 권리나 불쾌감에 대한 주장, 타인에 대한 배려,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각각 7.4%, 14.5%, 5.9%로 나타났으며 추정된 모형은 모두 .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족 지지의 하위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 중 권리 나 불쾌감에 대한 주장, 타인에 대한 배려, 자기개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➁ 대학생의 또래지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표Ⅳ-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또래지지의 하위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회귀모형은 28.0%를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7.683, p<.001). 모형에서 변수 간의 다중 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IF)를 살펴보았으며 모두 10이하로 다중 공선성에는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또래지지의 하위 영역 모두 대인 관계 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그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 타나지 않았다.

<표Ⅳ-11> 대학생의 또래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구분 종속변인 : 대인관계 유능성

B 표준오차 β t VIF

또래 지지

(상수) 1.728 .153   11.291***

정서적 지지 .139 .091 .174 1.531 6.957

정보적 지지 .153 .079 .195 1.939 5.431

물질적 지지 .060 .075 .075 .793 4.848

평가적 지지 .098 .080 .115 1.228 4.717

R2 = .280, adjR2 = .273, F = 37.683***

*p<.05, **p<.01, ***p<.001

<표Ⅳ-12> 대학생의 또래지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에 미치 는 영향

구분

종속변인 : 대인관계 유능성 관계형성

및 개시

권리나 불쾌감에 대한 주장

타인에

대한 배려 갈등관리 자기개방

B β B β B β B β B β

또래 지지

(상수) 1.46 1.59 2.00 2.10 1.39

정서적 지지 .23 .22 .03 .03 .27 .32** .05 .06 .01 .01 정보적 지지 .14 .13 .20 .19 .16 .19 .15 .17 .08 .06 물질적 지지 .01 .01 .29 .17** -.10 -.12 .01 .01 .17 .13 평가적 지지 .12 .10 -.07 -.06 .12 .13 .20 .21* .19 .14

R2 .186 .175 .256 .182 .104

adj R2 .178 .166 .248 .174 .095

F 22.180*** 2.503*** 33.263*** 21.557*** 11.237***

*p<.05, **p<.01, ***p<.001

<표Ⅳ-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또래지지의 하위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 하 위요인 중 권리나 불쾌감에 대한 주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17.5%로 추정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F=2.503, p<.001), 또래지지의 물질적 지지(β=.17, p<.01)만이 권리나 불쾌감에 대한 주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지지의 하위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의 타인에 대한 배려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설명력은 25.6%로 추정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F=33.263, p<.001), 정서적지지(β=.32, p<.01)만이 타인에 대한 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지지의 하위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의 갈등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18.2%로 추정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F=21.557, p<.001), 평가적지지(β=.21, p<.05)만이 갈등관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지지의 하위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 중 관계형성 및 개시, 자 기개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각각 18.6%, 10.4%로 나타났으며 추정된

모형은 모두 .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또래지지의 하위 요인들이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 중 관계형성 및 개시,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하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Ⅴ. 논의 및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1-4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