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장암진료권고안의 핵심질문 및 PICO*

*PICO: Population (P), Intervention /or indicator (I), Comparator (C), Outcome (O)

[KQ 1-1, 2]

대장암의 병기 결정을 위해 어떤 영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하는가?

[KQ 1-1] P : 대장암으로 수술 예정인 환자

I : 수술전 병기 결정을 위한 복부 및 골반 컴퓨터단층좔영술의 영상 검사 C : 수술 소견 또는 수술후 병리소견

O : 수술 소견 또는 수술후 병리소견에서 수술전 영상 검사와의 일치도 [KQ 1-2] P : 직장암으로 수술 예정인 환자

I : 수술전 직장암의 국소병기 결정을 위한 골반 컴퓨터단층촬영/직장 자기공명영상/직장내 초음파 검사 C : 수술 소견 또는 수술후 병리소견

O : 수술 소견 또는 수술후 병리소견에서 수술전 영상 검사와의 일치도

[KQ 2]

대장암 환자에서 간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 어떤 영상의학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하는가?

P : 간 전이가 의심되는 대장암 환자

I : 간 전이를 발견하기 위한 여러 영상의학적 검사 C : 없음

O : 여러 영상의학적 검사에서의 간 전이의 진단율

[KQ 3]

대장암 환자에서 폐 전이 진단을 위해 어떤 영상의학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하는가?

P : 대장암으로 진단된 환자 I : 흉부 컴퓨터단층촬영 C : 단순흉부촬영 검사 O : 폐 전이의 진단율

[KQ 4]

수술전 대장내시경검사에서 평가가 어려운 폐쇄성 대장암 환자의 경우, 근위부 대장 평가를 위해 어떤 영상의학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하는가?

P : 수술전 대장내시경검사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한 폐쇄성 대장암 환자

I : 폐쇄성 대장암에서 근위부 대장의 동시성 또는 기타 병변의 진단을 위한 영상 검사 C : 없음

O : CT 대장조영술, 바륨관장술, 양전자단층촬영술 등 근위부 병변의 진단율

[KQ 5]

대장암 환자에서 간외 전이의 진단을 위해서 어떤 영상의학적 검사가 필요한가?

P : 대장암으로 진단된 환자 I : 양전자단층촬영술 검사

C : 양전자단층촬영술 이외의 영상검사 O : 영상검사에서 간외 전이의 진단율

[KQ 6]

결장암의 수술원칙 (e] 림프절의 평가는?

P : 대장의 원발성 샘암종으로 외과적 절제를 받은 환자 I : 림프절 절제 범위 및 개수

C : 림프 절제 개수

O : 수술후 무병생존율 및 생존율

[KQ 7]

결장암 환자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근치적 절제술은 종양학적으로 안전한가?

P : 결장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I : 결장암으로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 C : 결장암으로 개복 수술을 받은 환자 O : 재발률 및 생존율 비교

[KQ 8-1, 2]

대장 점막하암 (cT1N0M0)의 내시경적 절제술 후 병리진단에서 완전 절제(절제면 음성)된 점 막하암(샘암종)으로 진단된 경우 림프절 전이 가능성으로 추가적인 대장절제술을 고려해야 하는 고위험군은?

P : 내시경적 절제술 후 병리진단에서 절제면 음성인 점막하암으로 진단된 환자 I : 절제 후 검체의 병리 소견

C : 없음

O : 림프절 전이 위험도 예측

[KQ 9]

최종 병기 II, III기 결장암의 수술후 보조 항암화학요법의 역할은?

P : 근치적 수술후 최종병기 II, III기 결장암 환자 I : 근치적 수술후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C : 근치적 수술 치료만을 받은 환자

O : 재발률 및 생존율

[KQ 10]

직장암 환자에서 전직장간절제술을 하여야 하는가?

P : 직장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I : 전직장간막절제술을 받은 환자 C : 전직장간막절제술을 받지 못한 환자 O : 재발률 및 생존율

[KQ 11-1, 2]

직장암에서 경항문 국소절제술의 적응증 및 수술후 추가의 근치적 절제술의 적응증은?

P : 직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 중 병리학적(p) T1~2 직장암 I : 국소절제술을 받은 환자

C : 근치적절제술을 받은 환자

O : 재발률 및 생존율 비교. 재발률과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

[KQ 12- 1, 2, 3]

수술후 항암화학방사선치료(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의 적응증은?

수술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의 적응증은?

직장암에서 방사선치료의 시기는?

[KQ 12- 1] P : 직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

I : 직장암 수술후 방사선치료/ ±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C : 직장암의 수술 치료만 받은 환자

O : 국소재발률, 무병생존율 혹은 생존율 [KQ 12- 2] P : 직장암 환자

I : 직장암 수술전 방사선치료/ ± 항암화학요법의 치료 후 직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 C : 직장암의 수술 치료만 받은 환자

O : 국소재발률, 무병생존율 혹은 생존율

[KQ 12- 3] P :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과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의 치료를 받은 환자 I : 직장암 수술전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C : 직장암 수술후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O : 국소재발률, 무병생존율 혹은 생존율

[KQ 13]

병기 II기, III기 직장암의 수술후 보조 항암화학요법의 역할은?

P : 직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

I : 직장암 수술전 또는 수술후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에서 추가의 보조 항암요법의 치 료를 받은 환자

C : 추가의 보조 항암요법의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 O : 재발률, 무병생존율 혹은 생존율

[KQ 14]

절제 대장암에서 측부 절제연 (radial margin) 음성 판정을 위한 안전 절제연 길이의 적용기준 과 병리진단지 작성시의 표준 기재 방법은?

P : 대장의 원발성 샘암종으로 외과적 절제를 시행 받은 환자 I : 안전 측부 절제연 길이 기재

C : 없음

O : 수술후 국소 재발 위험도 예측

[KQ 15-1, 2]

수술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또는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후 외과적 절제를 시행한 직장암 종에서 치료효과의 병리학적 판정 기준은?

P : 직장의 원발성 샘암종으로 수술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I : 치료 효과 및 잔존 암종에 대한 판정 등급 기준

C : 없음 O : 예후 예측

[KQ 16]

전이성 대장암 환자에서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에 대한 표적치료 결정을 위하여 KRAS 유전자 검사가 필요한가?

P : 전이성 대장암 환자 중 K-RAS 유전자 검사를 하고 표적 치료제를 사용한 환자 I : K-RAS 야생형 유전자 환자

C : K-RAS 돌연변이형 유전자 환자 O : 표적 치료제 투여 후 생존기간

[KQ 17]

절제 불가능한 전이성 대장암에서의 항암화학요법의 효용성은?

P : 근치적 절제 수술이 불가능한 전이성 대장암 환자 I :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전이성 대장암 환자 C : 항암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전이성 대장암 환자

O : 생존기간

[KQ 18-1, 2]

전이성 대장암에서의 표적치료제의 병용 항암화학요법은?

P : 전이성 대장암 환자

I : 표적치료제 병용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C :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O : 무질병진행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 생존기간

[KQ 19]

일차 완화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전이성 대장암에서 이차 완화 항암화학요법의 효용성은?

P : 일차 완화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전이성 대장암 환자 I : 이차 완화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C : 이차 완화 항암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환자

O : 생존기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