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외 관계

문서에서 이 스 라 엘 개 황 (페이지 46-52)

1. 아랍과의 관계

가. 이스라엘과 이집트

◦ 1977년 당시 이스라엘의 메나헴 베긴 수상의 초청에 응하여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 이 예루살렘을 방문함. 1978년 캠프데이비드 협정이 체결되어 이스라엘과 이집트간 및 이 스라엘-인근국간 평화를 위한 기본안이 마련 됨. 캠프데이비드 협정은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가자지구와 유대, 사마리아 지역(요르단강 서안)내에 팔레스타

인의 단계적인 잠정 자치를 규정함. 사다트 대통령과 베긴 수상은 공동으 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함.

◦ 이스라엘과 이집트는 1979년 평화조약을 체결하여 5차례의 전쟁을 비롯 한 30년간의 적대관계에 종지부를 찍음. 이스라엘과 이집트간 평화는 전 쟁, 위협행위 및 폭력을 종식하고 외교/경제/문화 관계를 수립하며 무역 장벽을 없애고 시나이반도에서 이스라엘이 철수(1982년 완료)함으로써 이루어짐.

◦ 이스라엘과 평화조약을 맺은 후 이집트는 다른 아랍국가들이 대사관을 철수하는 등 배척을 당했으나, 대부분은 관계를 정상화하고 카이로에 다 수 아랍국가들이 대사관을 재개설함. 아랍리그의 본부도 카이로에서 튀 니지로 이전하였다가 1980년대 초에 다시 카이로로 옮겨옴.

◦ 이집트는 중동 지역내 강자로서의 이미지 견지 및 영향력 확대를 위 해 이 -팔 평 화 과정 의 중 재 자 역할 을 시 도 하여 왔으 며, 이스라엘의 가 자 철수(2005.8) 이후 이집트/가자간 국경 통제관련 이스라엘과 긴밀히 협력하고, 2006년 6월 피랍된 이스라엘 병사(Gilad Shalit)와 이스라엘 교 도소에 수감된 팔레스타인 죄수간 교환 석방 추진 등 이-팔간 중재 노 력을 기울여 오고 있음.

- Shalit 상병은 2011년 1,027명의 팔레스타인 수감자와의 교환을 통해 석방됨.

◦ 2011년초 시민봉기로 이집트 무바라크 정권이 붕괴하고 2012.6월-2013.7 월간 무슬림 형제단에 세력기반을 둔 Mohammad Morsi 정부가 집권하면 서 이스라엘-이집트 평화협상 폐기 또는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주이스 라엘 이집트 대사 소환후 부재가 지속되는 등 양국 관계가 악화됨.

◦ 2013.7월 군부 쿠데타로 el-Sisi가 정권을 잡고, 2014년 가자사태로 이-팔 간 갈등이 고조된 상황에서 이집트는 이-팔 양측의 휴전협상 중재를 자 처, 약 2개월간 군사적 충돌상태에 있던 이스라엘과 가자지구간 전투상 황의 종료에 기여함.

- 동 협상과정에서 el-Sisi 이집트 대통령 등 이집트 수뇌부와 네탄야후 총리 등 이스라엘 수뇌부의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양국 관계 가 안보분야에서 급진전되는 계기가 됨.

◦ 2015년 시나이 북부지역에서 발호하는 ISIL계열‘Sinai Province’의 이집 트 군시설 공격으로 이스라엘-이집트 양국간 협력 필요성이 높아지는 등 양국 관계가 긴밀해지는 가운데 이집트가 주이스라엘 대사를 임명하고 Dore Gold 차관이 이집트를 방문하는 등 양국관계가 점차 회복되는 모습 임.

나. 이스라엘과 요르단

◦ 이스라엘과 요르단간의 평화조약은 1994년 10월에 서명되었는데, 이보다 3개월전 후세 인 요르단 국왕과 이츠하크 라빈 수상은 워 싱턴에서 이스라엘과 요르단간의 전쟁 상태 종식을 선언함.

- 1948년 이후 다른 아랍국가와 연대하여 이스라엘에 적대적 태도를 보 여오던 요르단 정부는 1970년 요르단내 PLO와‘검은 9월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르단을 측면지원한 이스라엘과 전향적인 관계 변화를 보이게 됨.

- 이스라엘 독립이후 평화조약 체결시까지 46년간 표면적으로는 전시상 태로 지냈지만 양국은 이 기간 동안에도 계속적으로 비밀접촉을 가져 왔음.

- 1991년의 마드리드회의를 계기로 양국은 대화를 공개적으로 진행하게 되었고 1994년 평화조약으로 그 결실을 보게 됨.

◦ 평화조약 체결로 전쟁 종식, 수자원의 배분, 국민들간 통행의 자유 보 장, 요르단 계곡 개발, 난민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이 가능하게 됨. 1949 년의 휴전선이 영국 위임통치기의 국경을 참조로 양국간 국경선이 됨.

1995년 요르단 국회는 아랍 보이콧트를 철회하기로 결정함. 양국간에는 경제, 과학, 문화 분야에서 다수의 조약이 체결되어 양국간 평화적이고 정상적인 관계 발전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음.

◦ 후세인 국왕 사후에도 압둘라 국왕은 이스라엘과의 협력관계를 계속 유 지하고 있으며 이스라엘로서도 요르단과의 관계를 협력관계의 모델로 삼 고 있음. 요르단도 이-팔 평화과정 재개를 위한 중재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음. 다만, 최근 보수ㆍ우익 성향의 네탄야후 정부가 들어서면서, 요르 단과 이스라엘 관계가 예전 같지 못하다는 평가가 있음.

다. 이스라엘과 걸프 연안국가

◦ 중동에서 평화가 진전됨에 따라 걸프국가들도 이스라엘과의 관계 개선 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함. 이스라엘은 수자원, 관광, 농업, 화학, 첨단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경제, 과학, 통상 관계를 발전시키고자 1996년 오만 및 카타르에 무역대표사무소를 개설함. 같은 해 오만도 텔아비브에 사무소 를 개설하였음.

- 2000년 10월 제2차 인티파다로 인한 反이스라엘 정서로 주오만 이스라 엘 무역대표사무소는 운영 정지되었으며, 주카타르 이스라엘 무역대표 사무소는 1996년 개소후 9년간 운영되다 2005년 카타르내 反이스라엘 정서를 감안하여 폐쇄 조치됨.

◦ 제2차 레바논 전쟁 이후 이란 등 극단 이슬람주의에 대처하기 위해 사우 디 등 걸프국가와 이스라엘간 협력이 증가함. 이란의 부상은 인근국인 걸 프 연안국들에게 직접적인 안보위협으로서 걸프 연안국들 내부의 시아파 세력의 준동이 우려되고 있는데, 걸프국가들은 2002년 Arab Peace Initiative(1967년 국경을 기초로 하는 팔레스타인 국가 창설 및 아랍국전체 와 이스라엘간의 외교관계 수립 내용)를 토대로 이스라엘과 대화할 용의 를 보이고 있고, 이스라엘은 이에 긍정적이었으나, 이후 테러지속 등으로 본격 협의되지 못함.

◦ 2010년 이후 중동지역의 정세변화, 특히 시리아 내전의 장기화와 이란의 시리아 및 이라크 내전 개입 등 이란의 중동내 영향력 증대 가능성에 대 항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사우디 등 걸프 연안국가들간 물밑 협력이 이루 어지고 있다는 평가도 일각에서 대두되고 있음.

- 특히 2015년초 네탄야후 총리가 P5+1/이란간 이란핵협상과 타결에 강 력 반대하면서, 사우디 등 걸프국가들과 이란대응 정책에서 입장을 같 이 하고, 일부에서는 이스라엘-사우디의 비밀접촉설도 제기됨.

◦ 아울러, 급진 수니파 IS의 준동으로 인해 온건 수니국가와 이스라엘간 협

조관계가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는 관측이 확대됨.

라. 이란과의 긴장 고조

◦ 이스라엘은 이란이 농축 우라늄을 이용한 핵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어 자국의 안보에 가장 위협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음.

- 이스라엘은 이란이 헤즈볼라, 하마스 등 이스라엘 주변 과격 이슬람 세 력의 대부로서 이들을 적극 지원하고 있는 점에도 우려를 표시

◦ 2013년 8월 취임한 하싼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이스라엘이 전쟁 도발적 정책으로 지역불안을 야기하는 정의롭지 못한 점령자라고 평가함.

◦ 네탄야후 총리는 2014년 9월 UN총회 연설을 통해 이란 핵시설을 완전히 제거해야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표명함.

- 일부 Netanyahu 정부 인사들은 이란 핵이 국제사회의 노력으로 해결 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란 핵시설을 표적 공격하는 등 이스라엘만의 독자 조치도 불사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음.

◦ 이스라엘은 2009년 1월, 2012년 10월, 2014년 7월에 이어 2015년 5월 수 단 카르툼 미사일 저장소(이란-하마스간 무기밀거래선)를 공습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이란의 하마스, 헤즈볼라에 대한 무기 공급을 차단하려는 노력을 지속함.

- 2014년 3월 이스라엘군은 홍해 상에서 이란산 무기를 수송 중이던 화 물선을 나포하여 사정거리 160km 로켓 40발을 적발함.

- 한편, 이란이 시리아 내전에서 아사드 정부를 군사․경제적으로 깊이 지 원하는 가운데, 2015년초 이스라엘-시리아 국경지역에 대이스라엘 군사 시설을 구축하려는 시도를 하였으며, 이스라엘은 이를 공격․봉쇄하는 사건이 발생함.

◦ 이란은 2015년 7월 14일 P5+1(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독일)과 의 핵협상을 타결함으로써 대외관계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으나, 이스라엘은 협상타결을 강하게 비난하며 여전히 이란에 대해 회의적 태 도를 유지함.

2. 미국과의 관계

◦ 미국은 이스라엘의 독립선언 7분후 조기에 국가 승인을 한 이후 이스라엘 의 안보 확보를 미국의 대중동 외교정책의 기조로 삼아왔음. 미국의 관점에 서 이스라엘-아랍국간 평화를 도모하는 것이 미국-이스라엘 관계의 초점 이며, 미국은 안보리 결의안 242호와 338호를 근간으로 이스라엘의 안보 위험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함.

◦ 이스라엘은 자국의 안보와 경제의 상당부분을 미국에 의존하고 있으며, 유 엔 등 국제무대에서도 미국의 전적인 지지를 받고 있음. 미국은 매년 이스 라엘에 군사원조와 경제원조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측 요청에 따라 1999년부터 경제원조액을 단계적으로 삭감하는 대신 군사원조액은 부분적 으로 증액하고 있음.

- 2003년 미국은 이스라엘에게 3년간 90억불을 원조키로 결정하였으며, 원 조 명목은 이라크전에 대비하기 위해 소요된 비용을 보전한다는 것임.

- 2003년 미국은 이스라엘에게 3년간 90억불을 원조키로 결정하였으며, 원 조 명목은 이라크전에 대비하기 위해 소요된 비용을 보전한다는 것임.

문서에서 이 스 라 엘 개 황 (페이지 46-5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