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4와 같다. 평균 나이는 MS-0이 43세 로 가장 낮았으며 단계가 진행 될수록 연령대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가구 소득 수준과의 관계를 보면 MS-0에서 MS-3으로 갈수록 저소득계층에 속하는 1 quartile과 2 quartile의 비율이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교육수준도 MS-2과 MS-3는 초졸 인구가 전체의 과반수가 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자가 건강진단도와 최근 2주간의 불편감 지수도 단계가 진행될수 록 안 좋은 건강상태와 불편감의 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S의 진 행 단계가 높아질수록 나타나는 특성은 사회경제적 상태와 의료필요를 나타내 는 변수들에서 확연한 빈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Metabolic syndrome

 Household income, %

  1Q (<25%) 13.1 19.4 31.9 40.2

  2Q (25%-50%) 24.1 27.2 26.5 32.5

  3Q (50%-75%) 30.9 28.8 20.7 15.1

  4Q (>75%) 32.0 24.6 20.9 12.2

 Education level, %

  Elementary school 15.8 33.9 51.7 63.7

  Middle school 9.6 12.8 13.1 16.8

  High school 40.6 31.8 23.1 13.6

  More than college 34.0 21.5 12.1 5.9

 Private insurance, %

  Yes 39.1 44.6 37.7 39.3

  No 60.9 55.4 62.3 60.7

 Self-rated health status, %

  Very good 5.1 5.0 3.2 2.2

  Good 40.3 36.7 28.3 16.7

  Normal 38.8 37.0 32.2 18.2

  Bad 14.3 19.2 29.3 44.0

  Very bad 1.5 2.2 7.0 18.9

 Discomfort (last 2 weeks), %

  Yes 19.6 23.4 36.2 48.0

  No 80.4 76.6 63.8 52.0

 Marital status, %

  Married 72.4 77.5 74.6 71.2

  Divorced/ Separated 8.3 15.5 23.5 28.1

  Never married 19.3 7.0 1.9 0.7

 Town, %

  Urban 77.3 70.9 67.8 67.6

  Rural 22.7 29.1 32.2 32.4

Table 4.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Outpatient Cost,

 MS-1 13,257 (120,561) 8,983 (85,936) 0.55 (1.33)†

 MS-2 10,054 (65,144) 9,294 (63,653) 0.95 (1.55)  MS-3 15,236 (53,242) 14,007 (52,184) 1.01 (1.61)  †P<0.001

Table 5. Comparison of outpatient visit and cost of subjects byby progressive stage of metabolic syndrome

B. 대사증후군 진행단계에 따른 의료이용과 건강행태 차

Exercise score, Mean (SD)

Eating low-salt food, Mean (SD)  Metabolic Syndrome

 MS-1 3.86 (1.32) 0.70 (0.46)

 MS-2 3.91 (1.38) 0.72 (0.45)

 MS-3 3.94 (1.37) 0.73 (0.44)

Table 6.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 of subjects by progressive stage of metabolic syndrome

C. 소득수준에 따른 의료 이용과 건강행태의 차이 1. 소득수준에 따른 의료 이용의 차이

Table 7은 네 그룹 (MS-0, MS-1, MS-2, MS-3)안에서 소득수준에 따른 외 래비용과 외래이용 횟수를 조사한 결과이다. 외래진료비에 있어서 통계학적으 로 차이가 난 그룹은 MS-1 그룹이었다. MS-1 그룹에서 소득수준에 따른 외래 진료비 차이 나타난 것인데 소득 최상위 계층의 의료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MS-0, MS-1 그룹에서도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의료비가 높아 졌지만 그 차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100%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외래비용의 경우 유의하지 않은 결과 나타났지만 단계가 진행될수록 소득수준에 따른 의료 비용의 차이는 점점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MS-3 그룹의 경우 소득수준에 따른 외래비용의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의료이용 횟수는 MS-0, MS-1, MS-2 그룹에서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외래이용 횟수가 낮아졌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했다. MS-3 그룹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Fig.5).

MS-0

  1Q (<25%) 12,596 (165,738) 4,435 (25,416) 0.58 (1.31)†

  2Q (25%-50%) 17,800 (182,584)) 6,193 (44,064) 0.48 (1.22)   3Q (50%-75%) 15,526 (145,773) 9,887 (109,388) 0.42 (1.07)   4Q (>75%) 26,558 (284,013) 12,474 (201,428) 0.45 (1.06)

 

  1Q (<25%) 6,438 (20,960) 5,576 (18,061) 0.77 (1.62)†

  2Q (25%-50%) 4,720 (30,485) 4,222 (29,459) 0.45 (1.09)

  3Q (50%-75%) 8,578 (45,205) 7,322 (37,647) 0.57 (1.40)

  4Q (>75%) 31,992 (234,128)† 17,213 (162,705) 0.47 (1.22) MS-2

 Household income  

  1Q (<25%) 9,530 (53,867) 7,591 (48,180) 1.06 (1.50)†

  2Q (25%-50%) 7,589 (49,009) 7,374 (48,811) 0.98 (1.66)

  3Q (50%-75%) 12,432 (99,446) 12,090 (99,275) 0.88 (1.53)   4Q (>75%) 11,988 (59,444) 11,824 (59,394) 0.78 (1.48)

MS-3

  1Q (<25%) 13,839 (41,160) 13,408 (41,056) 1.17 (1.96)   2Q (25%-50%) 12,042 (39,619) 11,803 (39,618) 0.85 (1.28)

  3Q (50%-75%) 12,056 (39,126) 9,129 (34,834) 0.80 (1.19)

  4Q (>75%) 15,715 (36,663) 11,170 (27,696) 1.12 (1.41)

Table 7. Comparison of outpatient visit and cost of subjects by household income.

Fig. 5. Difference of outpatient visit and cost by household income.

2. 소득수준에 따른 건강행태 차이

건강행태를 보면 운동점수와 저염식 섭취 여부 모두 MS-0, MS-1, MS-2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규칙적인 운동과 저염식 섭취를 하였다(Table 8). 대체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운동과 식이조절 관리가 잘 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Fig.6).

Exercise score MS-0

Mean (SD) Eating low-salt food Mean (SD)

Mean (SD) Eating low-salt food Mean (SD)  Household income  

  1Q (<25%) 3.53 (1.02)† 0.66 (0.48)†

Mean (SD) Eating low-salt food Mean (SD)  Household income  

  1Q (<25%) 3.68 (1.24)† 0.65 (0.48)†

Mean (SD) Eating low-salt food Mean (SD)

Table 8.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 of subjects by household income.

Fig. 6. Difference of health behavior by household income.

D. 대사증후군 집단의 의료이용 및 건강행태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대사증후군 집단 안에서 중증도와 소득 수준의 상호작용과 각 종속변수와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 단변량일반선형모형을 적용한 결과, 본인부담을 제외한 외 래비용과 의료이용 횟수, 건강행태인 운동점수와 저염식 섭취 여부는 상호작용 항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able 9, Table 10, Table 11). 하지만 전 체 외래 비용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용하였다(P=0.002).

진행단계를 관련 질병의 유무로 이분화하였고 소득수준은 상위 25% 여부로 이분화하여 상호작용 항과 종속변수의 관련성을 보았다. 소득수준이 증가할수 록 외래비용이 증가하는 정도가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Fig.7)

Model Independent variables Observed

Power P

Y=Ln(Outpatient

cost) Age 0.08 0.62

Sex 0.19 0.29

Self-rated health status 0.20 0.65

Discomfort 0.10 0.50

Private insurance 0.08 0.62

Marital status 0.05 1.00

Town 0.11 0.47

Education level 0.52 0.13

Household income (two groups) 0.88 <0.01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0.65 <0.05

Household income (2) ×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2) 0.86 <0.01

Y=Ln(Outpatient cost_except 100%

out of pocket) Age 0.14 0.40

Sex 0.06 0.79

Self-rated health status 0.30 0.45

Discomfort 0.42 0.08

Private insurance 0.84 0.84

Marital status 0.06 0.91

Town 0.09 0.38

Education level 0.56 0.09

Household income (two groups) 0.49 0.05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0.06 0.80

Household income (2) ×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2) 0.30 0.15

Table 9. Result of outpatient cost in general linear model.

Model Independent variables Observed

Power P

Y=Ln(Outpatient

visit) Age 0.93 <0.01

Sex 0.43 0.08

Self-rated health status 0.99 <0.001

Discomfort 1.00 <0.001

Private insurance 0.21 0.25

Marital status 0.06 0.94

Town 0.07 0.70

Education level 0.07 0.97

Household income (two groups) 0.09 0.58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0.69 <0.05

Household income (2) ×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2) 0.05 0.89

Table 10. Result of outpatient visit in general linear model.

Model Independent variables Observed

Power P

Y=Ln(Exercise

score) Age 0.50 <0.05

Sex 0.99 <0.001

Self-rated health status 0.98 <0.001

Discomfort 0.05 0.89

Private insurance 0.32 0.13

Marital status 0.16 0.53

Town 0.89 <0.01

Education level 1.00 <0.001

Household income (two groups) 0.98 <0.01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0.83 <0.01

Household income (2) ×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2) 0.11 0.48

Y=Ln(Eating low

salt food) Age 0.28 0.17

Sex 1.00 <0.001

Self-rated health status 0.28 0.49

Discomfort 0.06 0.81

Private insurance 0.09 0.58

Marital status 0.73 <0.05

Town 0.15 0.38

Education level 1.00 <0.001

Household income (two groups) 0.49 0.05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0.38 0.12

Household income (2) ×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2) 0.05 0.96

Table 11. Result of health behavior in general linear model.

Fig. 7. Association between house income level and outpatient cost by having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 in metabolic syndrome group.

Ⅳ. 고 찰

나타나고 의료의 강도 및 질을 나타내는 의료비용은 고소득계층에게 높게 나타

유용함을 뒷받침해 주었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공공보건의료조직을 활용한 저 소득계층을 위한 건강행태와 식이습관 개선 프로그램의 수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의료이용 변수의 한계이다. 외래이용과 관련한 변 수는 비용과 횟수 모두 최근 2주간의 이용이었다.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질병의 특성상 약 처방 및 진단, 검진이 한 번 방문 시 집중적으로 시행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의료이용 데이터가 적합하다.

둘째, 국민건강영양조사는 횡단면적 연구 (cross sectional study)이기 때문에 요인들과 대사증후군 관련 질병 간의 여러 인과성을 파악할 수는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코호트 연구(cohort study)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을 중증도에 따라 분류하고 의료이 용과 건강행태의 불형평성을 본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Ⅴ. 결 론

대사증후군은 그 개념에 입각하여 전인적인 예방관리가 필요한 집단이다. 따 라서 대사증후군이지만 관련 특정 질병 진단을 받지 않은 군의 의료이용과 건 강행태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는 MS-0 9,075명, MS-1 2,027명, MS-2 1,802명, MS-3 275명으로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사회경제적 상태 변수와 의료 필요를 나타내는 변수들에서 확연한 빈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고소득계 층의 비율은 줄어들었고 의료필요가 높아졌다.

둘째, 네 그룹(MS-0, MS-1, MS-2, MS-3)안에서 소득수준에 따른 의료비용 의 차이는 MS-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중증도가 낮은 집단에서 소득수준에 따른 질적 의료이용의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 강행태 측면에서는 중증도와 무관하게 고소득계층에서 전반적인 건강관리가 상 대적으로 잘 이루어졌다.

셋째, 대사증후군 관련 질병유무와 소득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래비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중증도가 낮은 그룹에서 소 득계층에 따른 외래비용 불형평성이 다른 그룹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 게 컸다.

이상의 결과에서 질병이 없는 대사증후군 집단의 저소득계층에 대한 의료이 용 및 건강행태 권장 정책을 통하여 대사증후군의 발생을 억제하고 관련 질병 으로의 전이를 막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순만, 양봉민, 이태진, 오주환, 이수형: 보건의료이용의 형평성. 보건경제연구.

Vol.9, No.2, pp.13-24, 2003

이용재: 한국사회의 소득불평등과 국민 의료이용. 집문당, 2012

윤현중: 유산소 및 유연성 운동이 고령자의 건강관련 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 및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전병환: 근력운동의 대사증후군 예방효과. 한국 운동 재활 학회지 2012-11, pp.51-60, 2012

전영숙: 손상환자의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의료 이용의 형평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질병관리본부: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이용지침서. 보건복지부, 2008

최병호, 노연홍, 윤병식, 신형웅, 김명희, 김창엽: 국민의료의 형평성분석과 정책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09, 2004

한국건강증진재단, 경희대학교: 건강관리서비스운영 및 관련 인력 양성을 위한 표준모형 개발. 보건복지부, 2011

허갑범: 대사증후군. 진기획, 2009

Alexander CM, Landsman PB, Teutsch SM, Haffner SM: NCEP-defined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preval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NHANES III participants age 50 years and older. Diabetes 52

Azevedo A, Bettencourt P, Almeida PB, Santos AC, Abreu-Lima C, Hense HW, Barros H: Increasing number of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ac structural and functional abnormalities–cross-sectional study of the general population. BMC cardiovascular disorders 7: 17, 2007

Baron RM, Kenny D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 1986

Bennett, Jill A: Focus on research methods-mediator and moderator variables in nursing research: conceptual and statistical differenc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3: 415, 2000

Boudreau D, Malone D, Raebel M, Fishman P, Nichols G, Feldstein A, Boscoe A, Ben-Joseph R, Magid D, Okamoto L: Health care utilization and costs by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isorders 7: 305-314, 2009

Chen J, Muntner P, Hamm LL, Jones DW, Batuman V, Fonseca V, Whelton PK, He J: The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kidney disease in US adult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0: 167-174, 2004

Culyer AJ, van Doorlsaer E, Wagstaff A: Access utilisation and equity: A further comment. Journal of health economics 11-2: 207-210, 1992

Curtis LH, Hammill BG, Bethel MA, Anstrom KJ, Gottdiener JS, Schulman KA: Cost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Elderly Individuals Findings from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Diabetes Care 30: 2553-2558, 2007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The metabolic syndrome. The Lancet 365: 1415-1428, 2005

Fu T, Wen T, Yeh P, Chang H: Costs of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induced by obesity in Taiwan. Obesity Reviews 9: 68-73, 2008

Hunt KJ, Williams K, Hazuda HP, Stern MP, Haffner SM: The metabolic syndrome and the impact of diabetes on coronary heart disease mortality in women and men: the San Antonio Heart Study. Annals of epidemiology 17:

870-877, 2007

Liu Z, Grundy S, Wang W, Sidney C, Wu Z, Zeng Z, Wang W, Zhao D, Hill C: Ten-year risk of cardiovascular incidence related to diabetes, prediabet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erican heart journal 153:

552-558, 2007

Kaplan GA, Keil JE: Socioeconomic facto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review of the literature. Circulation 88: 1973-1998, 1993

Kurella M, Lo JC, Chertow GM: Metabolic syndrome and the risk for chronic kidney disease among nondiabetic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16: 2134-2140, 2005

Lee JS, Koeske GF, Sales E: Social support buffering of acculturative stress: A study of mental health symptoms among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8: 399-414, 2004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SM, Yoon JW, Choi SH, Cho SI, Park KS, Lee HK: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

2007. Diabetes Care 34: 1323-1328, 2011

Meigs JB, Wilson PW, Nathan DM, D’Agostino RB, Williams K, Haffner SM: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the San Antonio Heart and Framingham Offspring Studies. Diabetes 52: 2160-2167,

Noh S, Kaspar V: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acculturation, and ethnic suppor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 232-238, 2003

Park MJ, Yun KE, Lee GE, Cho HJ, Park HS: A cross-sectional study of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Annals of epidemiology 17: 320-326, 2007

Park YW, Zhu S, Palaniappan L, Heshka S, Carnethon MR, Heymsfield SB:

The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 findings in the US population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1988-1994).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3: 427, 2003

Ritz E, Koleganova N, Piecha G: Is there an obesity–metabolic syndrome related glomerulopathy? Current opinion in nephrology and hypertension 20:

44-49, 2011

Rutter MK, Meigs JB, Sullivan LM, D’Agostino RB, Wilson PW: C-reactive protein, the metabolic syndrome, and predic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in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Circulation 110: 380-385, 2004

Sanisoglu SY, Oktenli C, Hasimi A, Yokusoglu M, Ugurlu M: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orders in a large adult population in Turkey.

BMC public health 6: 92, 2006

Solymoss BC, Bourassa MG, Campeau L, Sniderman A, Marcil M, Lespérance J, Lévesque S, Varga S: Effect of increasing metabolic syndrome score on atherosclerotic risk profile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ngiographic severity.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93: 159-164, 2004

Solymoss BC, Bourassa MG, Campeau L, Sniderman A, Marcil M, Lespérance J, Lévesque S, Varga S: Effect of increasing metabolic syndrome score on atherosclerotic risk profile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ngiographic severity.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93: 159-164, 200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