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답 제  28 항

문서에서 2020 개념원리 수학(Ⅰ) 답지 정답 (페이지 71-77)

284

주어진 수열은 첫째항이 -8, 제 n+2 항이 30인 등차 수열이므로

-8+{(n+2)-1}_2=30 2n=36 ∴ n=18

18

285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x)=xÛ`+ax+2를 x+1, x-1, x-2로 나눈 나머지는 각각

f(-1)=3-a, f(1)=3+a, f(2)=6+2a

세 수 f(-1), f(1), f(2)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 d=3

⑵ 첫째항 a=3, 공차를 d라 하면 a°=a+4d=3+4d=-5 ∴ d=-2

⑴ 3 ⑵ -2

279

aÇ=3n-5에서

첫째항은 aÁ=3´1-5=-2 aª=3´2-5=1이므로 공차는 aª-aÁ=1-(-2)=3

aÇ=-7n+9에서 첫째항은 aÁ=-7´1+9=2

aª=-7´2+9=-5이므로 공차는 aª-aÁ=-5-2=-7

첫째항:-2, 공차:3

⑵ 첫째항:2, 공차:-7

280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aÁ°=(a+5d)+(a+14d)=61

∴ 2a+19d=61 yy ㉠

a¥+aÁ¤=(a+7d)+(a+15d)=70

∴ a+11d=35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2, d=3

∴ a£Á=a+30d=2+30´3=92

92

281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2 항이 3이므로 aª=a+d=3 yy ㉠ 제 7 항이 13이므로 a¦=a+6d=13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d=2

aÇ=1+(n-1)´2=2n-1 199를 제 n 항이라 하면 2n-1=199 ∴ n=100

aÁ¼=10 11

;5#; ⑵ 10 11

288

15 , x, y, z, ;5!;이 이 순서대로 조화수열을 이루므로 1

각 항의 역수 15, 1 x , 1

y , 1

z , 5는 이 순서대로 등차수 열을 이룬다. 공차를 d라 하면

5=15+4d ∴ d=- 52

1

x =15-;2%;=25 2 , 1y =25

2 -;2%;=10, 1z =10-;2%;=15

2

1 x +1

y +1 z =30

30

289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n 항까지의 합을 SÇ이라 하면

⑴ Sª¼=20(2+18) 2 =200

⑵ S¥=8(-2+15)

2 =52

⑶ SÁ¼= 10{2´1+(10-1)´2}

2 =100

⑷ SÁ°=15{2´(-3)+(15-1)´(-5)}

2 =-570

⑸ SÁÁ=

11[2´;2!;+(11-1)´{-;2#;}]

2 =-77

⑹ 끝항 20을 제 n 항이라 하면 -10+2(n-1)=20 ∴ n=16 ∴ SÁ¤=16(-10+20)

2 =80

⑴ 200 ⑵ 52 ⑶ 100 ⑷ -570 ⑸ -77 ⑹ 80 이루면 f(1)은 f(-1)과 f(2)의 등차중항이므로

2 f(1)=f(-1)+f(2) 2(3+a)=(3-a)+(6+2a)

∴ a=3

3

286

세 수를 a-d, a, a+d라 하면 (a-d)+a+(a+d)=15에서

3a=15 ∴ a=5 yy ㉠

(a-d)Û`+aÛ`+(a+d)Û`=83 yy ㉡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dÛ`=4

∴ d=Ñ2

따라서 세 수는 3, 5, 7이다.

3, 5, 7

287

⑴ 각 항의 역수를 구하면 16 , ;3!;, ;2!;, ;3@;, y

즉 수열 [ 1

aÇ ]은 첫째항이 ;6!;, 공차가 ;3!;-;6!;=1 6 인 등차수열이므로 일반항 1

aÇ 은 aÇ =;6!;+;6!;(n-1)=1 n

6

따라서 수열 {aÇ}의 일반항 aÇ은 aÇ=6 n 이므로 aÁ¼=;1¤0;=;5#;

⑵ 각 항의 역수를 구하면 15 , ;1£0;, ;5@;, ;2!;, y 즉 수열 [ 1

aÇ ]은 첫째항이 1

5 , 공차가 10 -;5!;=3 1

10 인 등차수열이므로 일반항 1 aÇ 은 aÇ =;5!;+1 1

10 (n-1)=n+1 10

따라서 수열 {aÇ}의 일반항 aÇ은 aÇ= 10 n+1 이므로

- 13 n=-5 ∴ n=15

∴ SÁ°=15[-;3!;+(-5)]

2 =-40

⑴ 55 ⑵ 144 ⑶ 15 ⑷ -195 ⑸ 105 ⑹ -40

291

첫째항이 50, 끝항이 -10, 항수가 n인 등차수열의 합 이 220이므로

n(50-10) 2 =220 20n=220 ∴ n=11

즉 제 11 항이 -10이므로 공차를 d라 하면 50+10d=-10 ∴ d=-6

따라서 주어진 등차수열의 제 10 항 aÁ¼은 aÁ¼=50+9´(-6)=-4

-4

292

첫째항이 -5, 끝항이 15, 항수가 n+2인 등차수열의 합이 100이므로

(n+2)(-5+15)

2 =100

5(n+2)=100 ∴ n=18 따라서 15는 제 20 항이므로 -5+19d=15 ∴ d=;1@9);

n=18, d=

;1@9);

293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S¥= 8{2a+(8-1)d}2 =104

∴ 2a+7d=26 yy ㉠

SÁ¤-S¥= 16{2a+(16-1)d}2 -104=360

∴ 2a+15d=58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d=4

290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n 항까지의 합을 SÇ이라 하

⑴ 첫째항이 1, 공차가 2-1=1이므로 10을 제 n 항 이라 하면

aÇ=1+(n-1)=10 ∴ n=10 ∴ SÁ¼=10(1+10)

2 =55

⑵ 첫째항이 1, 공차가 3-1=2이므로 23을 제 n 항 이라 하면

aÇ=1+2(n-1)=23 2n-1=23 ∴ n=12 ∴ SÁª=12(1+23)

2 =144

⑶ 첫째항이 -12, 공차가 -9+12=3이므로 15를 제 n 항이라 하면

aÇ=-12+3(n-1)=15 3n-15=15 ∴ n=10 ∴ SÁ¼=10(-12+15)

2 =15

⑷ 첫째항이 15, 공차가 11-15=-4이므로 -41을 제 n 항이라 하면

aÇ=15-4(n-1)=-41 -4n+19=-41 ∴ n=15 ∴ SÁ°=15{15+(-41)}

2 =-195

⑸ 첫째항이 ;2!;, 공차가 1- 12 =1

2 이므로 10을 제 n 항이라 하면

aÇ=1

2 +;2!;(n-1)=10 n2 =10 ∴ n=20

∴ Sª¼=20{;2!;+10}

2 =105

⑹ 첫째항이 -;3!;, 공차가 - 23 +;3!;=-1 3 이므로 -5를 제 n 항이라 하면

aÇ=-1

3 -;3!;(n-1)=-5

S[ª]=2+4+y+100

이것은 첫째항이 2, 끝항이 100, 항수가 50인 등차 수열의 합이므로

S[ª]= 50(2+100)2 =2550 Û 3 의 배수의 합을 S[£]이라 하면 S[£]=3+6+y+99`

이것은 첫째항이 3, 끝항이 99, 항수가 33인 등차 수열의 합이므로

S[£]= 33(3+99)2 =1683

Ü 2와 3의 최소공배수인 6의 배수의 합을 S[¤]이라 하

S[¤]=6+12+y+96

이것은 첫째항이 6, 끝항이 96, 항수가 16인 등차 수열의 합이므로

S[¤]= 16(6+96)2 =816 따라서 2 또는 3의 배수의 총합 S는 S =S[ª]+S[£]-S[¤]

=2550+1683-816=3417

3417

297

aÇ =SÇ-SÇÐÁ

=(2nÛ`-3n)-{2(n-1)Û`-3(n-1)}

=4n-5 (n¾2)

그런데 SÇ에서 상수항이 0이므로 이 수열은 첫째항부 터 등차수열을 이룬다.

aÇ=4n-5

∴ aÁ¼=35

35 다른풀이 aÇ=SÇ-SÇÐÁ (n¾2)이므로

aÁ¼=SÁ¼-S»

=(2´10Û`-3´10)-(2´9Û`-3´9) =170-135=35

298

SÇ=nÛ`-2n+3이므로 따라서 제 17 항부터 제 24 항까지의 합은

Sª¢-SÁ¤ = 24{-2+(24-1)´4}2 -464

=1080-464=616

616

294

일반항 aÇ은

aÇ=-29+(n-1)´4=4n-33

aÇ=4n-33<0이 되는 n의 최댓값은 8이므로 첫째 항부터 제 8 항까지의 합이 최소가 된다.

∴ S¥=8{2´(-29)+7´4}

2 =-120

 8 항,

최솟값:-120 다른풀이 첫째항부터 제 n 항까지의 합을 SÇ이라 하면 SÇ =n{2´(-29)+(n-1)´4}

2

=2nÛ`-31n

=2{n- 314 }Û`- 9618

n이 314 에 가장 가까운 자연수일 때 SÇ은 최소가 되므 로 n=8일 때 최솟값은 2´8Û`-31´8=-120이다.

295

100과 200 사이에 있는 자연수 중에서 5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2인 수를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102, 107, 112, y, 197

이것은 첫째항이 102, 공차가 5인 등차수열이므로 197을 제 n 항이라 하면

197=102+5(n-1)

∴ n=20

즉 197은 제 20 항이다.

따라서 첫째항이 102, 끝항이 197, 항수가 20인 등차 수열의 합을 구하면

20(102+197)

2 =2990

2990

296

Ú 2의 배수의 합을 S[ª]라 하면

301

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수열 {3aÇ*Á-aÇ}의 공차는 3d-d=2d=6

∴ d=3

즉 수열 {aÇ}은 첫째항이 2,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므

aÇ=2+3(n-1)=3n-1 aû>100에서 3k-1>100

∴ k>101

3 =33.___

따라서 aû>10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은 34이다.

34

302

-2Ö1=-2에서 공비가 -2이므로 주어진 수열 은 1, -2, 4 , -8, 16

1 32 Ö 1

16 =;2!;에서 공비가 ;2!;이므로 주어진 수열;2!;, ;4!; , ;8!; , 116 , 1

32

-54Ö18=-3에서 공비가 -3이므로 주어진 수 열은 2 , -6 , 18, -54

-1Ö'2=- 1

'2=- '22 에서 공비가 -'2 2 이므 로 주어진 수열은 '2, -1, '22 , -;2!; , '2

4

1Ö('2-1)= 1'2-1='2+1에서 공비가 '2+1이므로 주어진 수열은

'2-1, 1, '2+1, 3+2'2

⑴ 4, 16 ⑵ 1

4 , ;8!; ⑶ 2, -6

⑷ -;2!;, ''''''

2

4 ⑸ 3+2'2

303

⑴ 첫째항이 1, 공비가 2Ö1=2이므로 aÇ=1´2Ç`ÑÚ`=2Ç`ÑÚ`

aÁ=SÁ=1Û`-2´1+3=2 aÁ¼ =SÁ¼-S»

=(10Û`-2´10+3)-(9Û`-2´9+3)=17

∴ aÁ+aÁ¼=2+17=19

19

299

n=1일 때 삼각형 PF'F의 세 변 위에 있는 점 중에서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은 (-1, 0), (0, 0), (0, 1), (1, 0)의 4개이므로

aÁ=4

n=2일 때 삼각형 PF'F의 세 변 위에 있는 점 중에서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은 (-2, 0), (-1, 0), (0, 0), (1, 0), (2, 0), (-1, 1), (1, 1), (0, 2)의 8개이므로

aª=8

즉 수열 {aÇ}은 첫째항이 4,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 로 첫째항부터 제 5 항까지의 합은

5{2´4+(5-1)´4}

2 =60

60

300

aÇ=aÁ+2(n-1)=2n+aÁ-2

이때 수열 aÁ+aª, aª+a£, a£+a¢, y의 일반항은 aÇ+aÇ*Á =(2n+aÁ-2)+{2(n+1)+aÁ-2}

=4n+2aÁ-2

따라서 등차수열 {aÇ+aÇ*Á}의 공차는 4이다.

4 참고 수열 {aÇ}의 첫째항을 a라 하고 각 항을 나열해 보면

a, a+2, a+4, a+6, y

수열 {aÇ+aÇ*Á}의 각 항을 나열해 보면 2a+2, 2a+6, 2a+10, 2a+14, y

따라서 수열 {aÇ+aÇ*Á}은 첫째항이 2a+2, 공차가 4 인 등차수열이다.

305

aÇ=2Û`ÑÇ`에서

aÁ=2Û`ÑÚ`=2, aª=2Û`ÑÛ`=1

∴ (공비)= aÁ =;2!;

첫째항:2, 공비:;2!;

306

공비를 r라 하면 제 4 항이 -8이므로

aÁrÜ`=-8 yy ㉠

7 항이 64이므로

aÁrß`=64 yy ㉡

㉡Ö㉠ 을 하면 rÜ`=-8 ∴ r=-2 r=-2를 ㉠에 대입하면 aÁ=1

aÇ=1´(-2)Ç`ÑÚ`=(-2)Ç`ÑÚ`

∴ a°=(-2)Þ`ÑÚ`=(-2)Ý`=16

aÇ=(-2)Ç`ÑÚ`, a°=16

307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Á-a¢=a-arÜ`=a(1-rÜ`)=56 yy ㉠ aÁ+aª+a£ =a+ar+arÛ`=a(1+r+rÛ`)

=14 yy ㉡

㉠Ö㉡을 하면 a(1-rÜ`)

a(1+r+rÛ`)= a(1-r)(1+r+rÛ`)a(1+r+rÛ`) = 5614 1-r=4 ∴ r=-3

㉡에서 a(1-3+9)=14 ∴ a=2

∴ a°=arÝ`=2´(-3)Ý`=162

162

308

첫째항이 1, 공비가 -4이므로 -1024를 제 n 항이라 하면

1´(-4)Ç`ÑÚ`=-1024=(-4)Þ`

n-1=5 ∴ n=6

⑵ 첫째항이 4, 공비가 -4Ö4=-1이므로 aÇ=4´(-1)Ç`ÑÚ`

⑶ 첫째항이 3, 공비가 -1Ö3=- 13 이므로 aÇ=3´{-;3!;}Ç`ÑÚ`

⑷ 첫째항이 -2, 공비가 3Ö(-2)=-;2#;이므로 aÇ=-2´{-;2#;}Ç`ÑÚ`

⑸ 첫째항이 2, 공비가 2'3Ö2='3이므로 aÇ=2´('3)Ç`ÑÚ`

⑴ aÇ=2Ç`ÑÚ` ⑵ aÇ=4´(-1)Ç`ÑÚ`

⑶ aÇ=3´{-;3!;}Ç`ÑÚ`

⑷ aÇ=-2´{-;2#;}Ç`ÑÚ`

⑸ aÇ=2´('3)Ç`ÑÚ`

304

첫째항을 aÁ, 공비를 r라 하면

⑴ aÁ=2´3â`=2, r= aÁ =2´3Ú`

2´3â`=3

⑵ aÁ={;2!;}â`=1, r=aª aÁ =

{;2!;}Ú`

{;2!;}â`= 12

⑶ aÁ=(-2)Ú`=-2, r=

aÁ =(-2)Û`

(-2)Ú` =-2

⑷ aÁ=3´{1 2 }Û`=;4#;

r=aª aÁ =

3´{;2!;}Ý`

3´{;2!;}Û`={ 12 }Û`=;4!;

⑸ aÁ =4ÑÚ`=;4!;, r=aª aÁ =4-ÜÜ`

4-Ú``=4ÑÛ`= 1 16 ⑴ 첫째항 : 2, 공비 : 3 ⑵ 첫째항 : 1, 공비 : ;2!;

⑶ 첫째항 : -2, 공비 : -2 ⑷ 첫째항 : ;4#;, 공비 : ;4!;

⑸ 첫째항 :

;4!;,

공비 :

1

16

나머지는

f(-2)=(-2)Û`+2´(-2)+17=17

문서에서 2020 개념원리 수학(Ⅰ) 답지 정답 (페이지 7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