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답 - ;2!;

문서에서 기하 (페이지 39-72)

226

⑴ aø+bø=(2, -3)+(-3, 2)=(-1, -1)이므로   |aø+bø|=|(-1, -1)|=¿¹(-1)Û`+(-1)Û`='2

⑵ -aø-2bø=-(2, -3)-2(-3, 2)=(4, -1)이므로   |-aø-2bø|=|(4, -1)|=¿¹4Û`+(-1)Û`='¶17

⑶ 3aø+2bø=3(2, -3)+2(-3, 2)=(0, -5)이므로   |3aø+2bø|=|(0, -5)|=¿¹0Û`+(-5)Û`=5

⑴ aø+bø=(-1, -1), |aø+bø|='2

⑵ -aø-2bø=(4, -1), |-aø-2bø|='¶17

⑶ 3aø+2bø=(0, -5), |3aø+2bø|=5

227

aø=3eÁ²+2eª², bø=eÁ²+2eª²에서 aø=(3, 2), bø=(1, 2)이므로

⑴ 2aø-5bø=2(3, 2)-5(1, 2)=(1, -6)

⑵ 3(aø+bø)-2(aø-bø) =aø+5bø 

=(3, 2)+5(1, 2) 

=(8, 12)

⑴ (1, -6) ⑵ (8, 12) 본문 p.47~48

콕콕

개념

정답과 풀이

06

228

⑴ AB³=(7-(-5), -1-4)=(12, -5)이고,   |AB³|=|(12, -5)|="Ã12Û`+(-5)Û`=13

⑵ AB³=(2-(-1), 1-5)=(3, -4)이고,   |AB³|=|(3, -4)|="Ã3Û`+(-4)Û`=5

⑴ AB³=(12, -5), |AB³|=13

⑵ AB³=(3, -4), |AB³|=5

229

⑴ aø•bø=|aø||bø|cos 60ù=2_3_;2!;=3

⑵ aø•bø=|aø||bø|cos 90ù=2_3_0=0

⑶ aø•bø =-|aø||bø|cos (180ù-150ù)=-|aø||bø|cos 30ù 

=-2_3_ '3 2 =-3'3

⑴ 3 ⑵ 0 ⑶ -3'3

230

⑴ aø=(1, 2), bø=(-4, 3)에서   aø•bø=1_(-4)+2_3=2

⑵ aø=(-1, 3), bø=(4, -2)에서   aø•bø=-1_4+3_(-2)=-10

⑴ 2 ⑵ -10

231

⑴ |aø-bø|Û` =(aø-bø )•(aø-bø ) 

=(aø-bø )•aø-(aø-bø )•bø

=aø•aø-bø•aø-aø•bø+bø•bø

⑴ |a-b|Û`=|aø|Û`-2aø•bø +|bø|Û`

⑵ (aø+bø)•(aø-bø)=(aø+bø )•aø-(aø+bø )•bø

⑵ (a+b)•(a-b)=aø•aø+bø•aø-aø•bø-bø•bø

⑵ (a+b)•(a-b)=|aø|Û`-|bø|Û` 

풀이 참조

232

|aø|='3, |bø|='5, aø•bø=-1에서

⑴ |aø+bø|Û`=|aø|Û`+2aø•bø+|bø|Û` 

=('3)Û`+2_(-1)+('5)Û`

  |aø+bø|Û`=3-2+5=6 ∴ |aø+bø|='6

⑵ (aø-2bø)•(2aø+bø)=2|aø|Û`+aø•bø-4bø•aø-2|bø|Û`

⑵ (aø-2bø)•(2aø+bø)=2|aø|Û`-3aø•bø -2|bø|Û`

⑵ (aø-2bø)•(2aø+bø)=2_3-3_(-1)-2_5=-1 

⑴ '6 ⑵ -1

233

⑴ aø=(1, 2), bø=(4, 2)에서   cos h= 1_4+2_2

"Ã1Û`+2Û`"Ã4Û`+2Û`= 8 '5_2'5=;5$;

⑵ aø=(3, -4), bø=(4, -3)에서   cos h= 3_4+(-4)_(-3)

"Ã3Û`+(-4)Û`"Ã4Û`+(-3)Û`= 24 5_5 =;2@5$; 

⑴ ;5$; ⑵ ;2@5$;

234

⑴ aø=(-2, 1), bø=(1, -3)에서

aø•bø=(-2)_1+1_(-3)=-5<0이므로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90ù<hÉ180ù)라 하면   cos (180ù-h)=- (-2)_1+1_(-3)

"Ã(-2)Û`+1Û`"Ã1Û`+(-3)Û`= 5 '5'¶10= '2

2 180ù-h=45ù ∴ h=135ù

⑵ aø=(2, 4), bø=(6, -3)에서 aø•bø=2_6+4_(-3)=0¾0이므로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0ùÉhÉ90ù)라 하면 cos h= 2_6+4_(-3)

"Ã2Û`+4Û`"Ã6Û`+(-3)Û`= 0 2'5_3'5=0h=90ù

⑴ 135ù ⑵ 90ù

235

⑴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aø•bø=0 aø=(3, 2), bø=(x, 3)에서

  3_x+2_3=0이므로 3x=-6   ∴ x=-2

⑵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aø•bø=0 aø=(2x, 3), bø=(-1, 1)에서   2x_(-1)+3_1=0이므로 2x=3

∴ x= ;2#;

⑴ -2 ⑵ ;2#;

236

⑴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평행하므로 bø=kaø (k+0인 실수)라 하면   aø=(1, 2), bø=(2, x+1)에서

  (2, x+1)=k(1, 2)   2=k, x+1=2k ∴ k=2, x=3

⑵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평행하므로 bø=kaø (k+0인 실수)라 하면   aø=(3, -1), bø=(x-1, x+3)에서

  (x-1, x+3)=k(3, -1)   x-1=3k, x+3=-k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1, x=-2

보충 설명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평행하면 aø•bø=Ñ|aø||bø|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도 있다.

⑴을 이를 이용하여 해결해 보면

(1, 2)•(2, x+1)=Ñ"Ã1Û`+2Û` "Ã2Û`+(x+1)Û` 에서 2x+4=Ñ'5 "ÃxÛ`+2x+5

양변을 제곱하면

4xÛ`+16x+16=5xÛ`+10x+25 xÛ`-6x+9=0, (x-3)Û`=0

∴ x=3

⑴ 3 ⑵ -2

본문 p. 49~53

콕콕

유형

237

238

239

'22

240

241

242

243

244

245

'2

246

247

6p

248

249

250

9

251

9

252

253

254

bø=(0, -1), bø={- '32 , 1

2 }

255

256

257

3

258

259

260

120ù

261

262

263

135

264

265

266

237

5aø-2xø=3bø에서 2xø=5aø-3bø 

2xø=5(2, -3)-3(2, -1) 2xø=(4, -12)

∴ xø=(2, -6)

∴ |xø|=¿¹2Û`+(-6)Û`=2'¶10

238

aø-2bø-cø=(1, 0)-2(2, 1)-(-1, -2) aø-2bø-cø=(-2, 0)

∴ |aø-2bø-cø|=¿¹(-2)Û`+0Û`=2

239

xø=taø+bø=t(1, -1)+(2, -1) xø=(t+2, -t-1)

∴ |xø|=¿¹(t+2)Û`+(-t-1)Û`

∴ |xø|=¿¹2tÛ`+6t+5

∴ |xø|=¾¨2{t+;2#;}Û`+;2!;

따라서 벡터 xø의 크기의 최솟값은 t=-;2#;일 때 ¾;2!;= '22 이다.

단계 채점 요소 비율

xø의 성분을 t로 나타내기 40 %

|xø|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40 %

|xø|의 최솟값 구하기 20 %

'2 2

240

aø=bø-2cø에서

(2, 5) =(x+2, 3)-2(3, 2y-1) 

=(x-4, 5-4y)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서 x-4=2, 5-4y=5

∴ x=6, y=0

∴ x+y=6+0=6

241

xaø-cø=ybø에서 xaø-ybø=cø  xaø-ybø=x(2, 3)-y(2, -1) xa-yb=(2x-2y, 3x+y) xa-yb=(6, 1)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서 2x-2y=6, 3x+y=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2

∴ xy=1_(-2)=-2

242

aø+bø=2cø이므로

(1, x)+(y, -1)=2(2, 1-y) (y+1, x-1)=(4, 2-2y)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서 y+1=4, x-1=2-2y

∴ y=3, x=-3

따라서 aø=(1, -3), bø=(3, -1), cø=(2, -2)이므로 aø-bø-cø =(1, -3)-(3, -1)-(2, -2)

=(-4, 0)

따라서 벡터 aø-bø-cø 의 모든 성분의 합은 -4이다.

243

AB³=(-5-2, 1-x)=(-7, 1-x) CD³=(-1-y, 2-(-3))=(-1-y, 5) 이때, AB³=CD³이므로

-7=-1-y, 1-x=5 따라서 x=-4, y=6이므로

x+y=-4+6=2

244

PA

³

=(2-a, 3-b), PB³=(-1-a, -2-b), PC³=(1-a, 3-b)이므로 PA

³

+PB³+PC³

=(2-a, 3-b)+(-1-a, -2-b)+(1-a, 3-b)

=(2-3a, 4-3b)

이때, 3AB³=3(-1-2, -2-3)=(-9, -15)이므로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서

2-3a=-9, 4-3b=-15

∴ a=;;Á3Á;;, b=;;Á3»;;

∴ a+b=;;Á3Á;;+;;Á3»;;=10

245

직선 y=x+1 위의 점 P의 좌표를 (x, x+1)이라 하면 AP³-PB³=AP³+BP³

AP³-PB³=(x-1, x-2)+(x-2, x-3) AP³-PB³=(2x-3, 2x-5)

∴ |AP³-PB³|=¿¹(2x-3)Û`+(2x-5)Û`

∴ |AP³-PB³|=¿¹8(x-2)Û`+2

따라서 |AP³-PB³|는 x=2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2

246

점 P의 좌표를 P(x, y)라 하면 AP³=(x, y)-(0, 1)=(x, y-1) BP³=(x, y)-(1, 2)=(x-1, y-2)

|AP³|=|BP³|이므로

¿¹xÛ`+(y-1)Û`=¿¹(x-1)Û`+(y-2)Û`

양변을 제곱하면

xÛ`+(y-1)Û`=(x-1)Û`+(y-2)Û`

xÛ`+yÛ`-2y+1=xÛ`-2x+1+yÛ`-4y+4

∴ x+y-2=0

즉,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직선 x+y-2=0이다.

이 직선이 점 C(1, a)를 지나므로 1+a-2=0 ∴ a=1

다른풀이

두 점 A(0, 1), B(1, 2)에 대하여 |AP³|=|BP³|를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이다.

선분 AB의 중점 M의 좌표는 M{ 0+12 , 1+2

2 }, 즉 M{1 2 , 3

2 }

이고, 직선 AB의 기울기가 2-11-0 =1이므로 직선 AB와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1이다.

따라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y- 32 =-{x-1

2 } ∴ x+y-2=0 이 직선이 점 C(1, a)를 지나므로

1+a-2=0 ∴ a=1

247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PB³-AP³=PB³+PA³

PB³-AP³=(3-x, 1-y)+(1-x, 5-y) PB³-AP³=(4-2x, 6-2y)

|PB³-AP³|=6에서 ¿¹(4-2x)Û`+(6-2y)Û`=6 (4-2x)Û`+(6-2y)Û`=36

∴ (x-2)Û`+(y-3)Û`=9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2, 3)이고 반지름의 길 이가 3인 원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길이는

2p_3=6p 

단계 채점 요소 비율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고 PB³-AP³를 성분으로 나타내기 30 % |PB³-AP³|=6임을 이용하여 x, y 사이의 관계식 구하기 40 %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 구하기 30 %

6p

248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AP³=(x-2, y-3), BP³=(x+3, y-4) 2|AP³|=|BP³|에서

2¿¹(x-2)Û`+(y-3)Û`=¿¹(x+3)Û`+(y-4)Û`

양변을 제곱하면

4(x-2)Û`+4(y-3)Û`=(x+3)Û`+(y-4)Û`

∴ 3xÛ`+3yÛ`-22x-16y+27=0

249

오른쪽 그림에서

AB³=FO³이고, ∠OFE=60ù이므로 AB³•FE³=FO³•FE³

AB³•FE³=|FO³||FE³|cos 60ù

=2_2_;2!;=2

250

BCÓ가 반원의 지름이고 반원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90ù이므로

∠BAC=90ù

즉, 삼각형 AB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5Û`=ABÓ Û`+4Û`    ∴ ABÓ=3

이때, 두 벡터 BA

³

, BC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0ùÉhÉ90ù이고 cos h=;5#;

∴ BA

³

•BC³=|BA

³

||BC³|cos h 

∴ BA³•BC³=3_5_;5#;=9

9

251

직각이등변삼각형 ABC에서 ABÓ=3'2이므로 ACÓ=BCÓ=3, BDÓ=1, DCÓ=2

또, 직각삼각형 ADC에서 ADÓ="Ã2Û`+3Û`='1Œ3

이때, 두 벡터 AC³, AD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0ùÉhÉ90ù이고 cos h= 3

'¶13

∴ AC³•AD³ =|AC³||AD³|cos h

=3_'¶13_ 3'¶13=9 9

252

aø•bø=5에서 (1, k+1)•(-k, k-1)=5 -k+(k+1)(k-1)=5

kÛ`-k-1=5, kÛ`-k-6=0

(k+2)(k-3)=0 ∴ k=3`(∵ k>0)

253

aø•bø=-5에서 (x, y)•(1, -4)=-5

∴ x-4y=-5  yy ㉠

|aø|='¶13에서 "ÃxÛ`+yÛ`='¶13

∴ xÛ`+yÛ`=13  yy ㉡

A

E B

60ù

C O

F

D

A h

B D C

312

㉠에서 x=4y-5이므로 ㉡에 대입하면 (4y-5)Û`+yÛ`=13, 17yÛ`-40y+12=0 (17y-6)(y-2)=0    ∴ y=2`(∵ y는 정수) y=2를 ㉠에 대입하면 x=3

∴ x-y=3-2=1

254

bø=(x, y)라 하면 |bø|=1이므로

xÛ`+yÛ`=1  yy ㉠

|aø|=¿¹('3)Û`+1Û`=2이고, aø•bø=-|aø||bø|cos (180ù-120ù)에서 '3 x+y=-2_1_ 12

'3 x+y=-1 yy ㉡

㉡에서 y=-'3x-1이므로 ㉠에 대입하면 xÛ`+(-'3x-1)Û`=1, 4xÛ`+2'3x=0 2x(2x+'3 )=0 ∴ x=0 또는 x=- '32 이것을 ㉡에 대입하면

x=0, y=-1 또는 x=- '32 , y=1 2

∴ bø=(0, -1) 또는 bø={- '32 , 1 2 }

bø=(0, -1), bø={- '32 , 1 2 }

255

(3aø+bø)•(-3aø+2bø)=-9|aø|Û`+3aø•bø+2|bø|Û`

(3aø+bø)•(-3aø+2bø)=-9_2+3_2

3 +2_4=-8

256

(aø-bø )•(aø-bø )=4에서

|aø|Û`-2aø•bø+|bø|Û`=4, 1Û`-2aø•bø+3Û`=4

∴ aø•bø=3

∴ (aø-2bø )•(2aø-bø ) =2|aø|Û`-5aø•bø +2|bø|Û`   

=2_1Û`-5_3+2_3Û`=5

257

AO³=(-a, 0), AÕBdz=(-a, n)이므로 AO³•AÕBdz =(-a, 0)•(-a, n) 

=(-a)_(-a)+0_n 

=aÛ`

이때,

AO³•(AÕBÁ³+AÕBª³+y+AÕB»³)

= AO³•AÕBÁ³+AO³•AÕBª³+y+AO³•AÕB»³=81 이므로

aÛ`+aÛ`+y+aÛ`=9aÛ`=81

aÛ`=9 ∴ a=3`(∵ a>0)

3

258

|aø+bø|='¶13의 양변을 제곱하면

|aø|Û`+2aø•bø +|bø|Û`=13  yy ㉠

( | { | 99개

|aø-bø|=1의 양변을 제곱하면

|aø|Û`-2aø•bø +|bø|Û`=1  yy ㉡

㉠-㉡을 하면 4aø•bø=12 ∴ aø•bø=3

|bø|=2, aø•bø=3을 ㉠에 대입하면

|aø|Û`+2_3+2Û`=13

|aø|Û`=3 ∴ |aø|='3

이때, aø•bø =3¾0이므로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0ùÉhÉ90ù)라 하면

cos h= aø•bø

|aø||bø|= 3 '3_2= '3

2

∴ h=30ù

259

|aø+bø|=4의 양변을 제곱하면

|aø|Û`+2aø•bø +|bø|Û`=16  yy ㉠

|aø-bø|=2의 양변을 제곱하면

|aø|Û`-2aø•bø +|bø|Û`=4  yy ㉡

㉠+㉡을 하면

2|aø|Û`+2|bø|Û`=20 ∴ |aø|Û`+|bø|Û`=10  yy ㉢

㉢을 ㉠에 대입하면 2aø•bø =6 ∴ aø•bø=3

한편, 두 벡터 aø+bø, aø-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60ù이므로 (aø+bø )•(aø-bø )=|aø+bø||aø-bø|cos 60ù=4_2_;2!;=4 이때, (aø+bø )•(aø-bø )=|aø|Û`-|bø|Û`이므로

|aø|Û`-|bø|Û`=4  yy ㉣

㉢, ㉣에서 |aø|Û`=7, |bø|Û`=3 ∴ |aø|='7, |bø|='3 aø•bø =3¾0이므로

cos h= aø•bø

|aø||bø|= 3 '7'3= '¶21

7

260

aø+bø+cø=0ø에서 aø+bø=-cø

즉, |aø+bø|=|-cø|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aø|Û`+2aø•bø +|bø|Û`=|cø|Û`

|aø|=1, |bø|=2, |cø|='3이므로 1Û`+2 aø•bø +2Û`=('3)Û`

∴ aø•bø =-1

이때, aø•bø =-1<0이므로 두 벡터 aø , bø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90ù<hÉ180ù)라 하면

cos (180ù-h)=- aø•bø

|aø||bø|=- -11_2=1 2

180ù-h=60ù ∴ h=120ù

단계 채점 요소 비율

aø+bø=-cø 의 양변을 제곱하여 aø•bø의 값 구하기 40 %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 h가 90ù<hÉ180ù임을 알

고 cos(180ù-h)의 값 구하기 40 %

h의 크기 구하기 20 %

120ù

261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aø•bø=0 (2t-3, -t)•{1, 1

t }=0, 2t-3-1=0

∴ t=2

따라서 aø=(1, -2), bø={1, ;2!;}이므로

aø+2bø=(1, -2)+2{1, ;2!;}=(3, -1)

∴ |aø+2bø|=¿¹3Û`+(-1)Û`='¶10

262

두 벡터 pø, qø가 서로 수직이므로 pø•qø=0 (a-2, 1)•(2, b)=0, 2a-4+b=0

∴ 2a+b=4  yy ㉠

또한 두 벡터 qø, rø가 평행하므로 qø=krø`(k+0)라 하면 (2, b)=k(-2, 4)

두 벡터가 서로 같을 조건에서 2=-2k, b=4k

∴ k=-1, b=-4

b=-4를 ㉠에 대입하면 a=4

∴ a+b=4+(-4)=0

263

|aø+bø|=6의 양변을 제곱하면

|aø|Û`+2aø•bø +|bø|Û`=36

5Û`+2aø•bø +3Û`=36 ∴ aø•bø=1 또한 aø+bø와 aø-k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aø+bø )•(aø-kbø )=0

|aø|Û`+(1-k)aø•bø-k|bø|Û`=0 5Û`+(1-k)_1-k_3Û`=0

-10k+26=0 ∴ k= 135 13

5

264

OA³•OB³=(2, 4)•(4, 2)=16¾0이므로 두 벡터 OA³, OB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0ùÉhÉ90ù)라 하면

cos h= OA³•OB³

|OA³||OB³|= 16 '¶20'¶20= 45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에서 sin h= 35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는 12 _OAÓ_OBÓ_sin h=1

2 _'¶20_'¶20_3 5 =6

다른풀이1

OA³=(2, 4), OB³=(4, 2)이므로 OA³•OB³=(2, 4)•(4, 2)=16

|OA³|Û`=2Û`+4Û`=20, |OB³|Û`=4Û`+2Û`=20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는

12 ¿¹|OA³|Û`|OB³|Û`-(OA³•OB³)Û` =1

2 "Ã20_20-16Û`

= 12 _12=6

h

5 3

4

다른 풀이2

삼각형 OAB의 넓이는 12 |2_2-4_4|=1

2 _12=6

265

AB³•AC³=10'2¾0이므로 두 벡터 AB³, AC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0ùÉhÉ90ù)라 하면

cos h= AB³•AC³

|AB³||AC³|=10'2 5_4 ='2

2

∴ h=45ù`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_5_4_sin 45ù=10_ '2 2 =5'2

다른 풀이

삼각형 ABC의 넓이는

12

¿¹

|AB³|Û`|AC³|Û`-(AB³•AC³)Û` = 12 ¿¹¹5Û`_4Û`-(10'2 )Û`

= 12 _10'2=5'2

266

∠BCD=120ù이므로 두 벡터 BA³, BC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180ù-120ù=60ù

또한 CD³=BA

³

이므로

BC³•CD³=BC³•BA

³

=|BC³||BA

³

|cos 60ù 즉, 15=6_|BA

³

|_;2!; ∴ |BA

³

|=5 따라서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는 5_6_sin 60ù=15'3

다른 풀이

사각형 ABCD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의 2배이므로 2_;2!;

¿¹

|BA³|Û`|BC³|Û`-(BA³•BC³)Û` ="Ã5Û`_6Û`-15Û`

='Ä675=15'3

본문 p. 54~55

콕콕

실력

267

268

269

p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45

278

279

280

'¶21

281

12

282

26

267

xø=cos h aø+(1-sin h)bø에서 xø=cos h aø+(1-sin h)bø

xø=cos h(2, 1)+(1-sin h)(1, -2) xø=(2 cos h, cos h)+(1-sin h, -2+2 sin h) xø=(1-sin h+2 cos h, -2+2 sin h+cos h) 이므로

이때, ∠CPQ=h`(0ù<h<90ù)라 하면 cos h=;5#;이고

PBÓ=PCÓ+CÕBÓ=5+4=9이므로 PB³•PQ³ =|PB³||PQ³|cos h   

=9_3_;5#;=;;¥5Á;;

272

점 P가 원점, 두 선분 BC와 RP를 각각 x축, y축이 되도록 정사각형을 좌표평면에 놓으면

B(-1, 0), Q(1, 1), R(0, 2)

∴ BR³=(1, 2), PQ³=(1, 1)

∴ BR³•PQ³  =(1, 2)•(1, 1)

=1+2=3

보충설명

직사각형이나 직각삼각형과 같은 도형에서 평면벡터의 내적은 좌표평면 을 설정하여 벡터의 성분을 이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다른풀이1

미적분에서 배우는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풀 수 있다.

오른쪽 그림에서 BR³=PD³이므로 두 벡터 BR³, PQ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PD³와 PQ³ 가 이루는 각의 크기도 h이다.

∠DPC=a, ∠QPC=b라 하면 h=a-b

직각삼각형 DPC에서 PDÓ="Ã1Û`+2Û`='5이고 직각삼각형 QPC에서 PQÓ="Ã1Û`+1Û`='2이므로

cos a= 1

'5= '55 , sin a= 2

'5= 2'55 , cos b= 1

'2= '22 , sin b= 1 '2= '22

∴ cos h=cos(a-b)

∴ cos h=cos a cos b+sin a sin b 

∴ cos h= '55 _'2 2 +2'5

5 _'2 2 =3'¶10

10

∴ BR³•PQ³=PD³•PQ³

∴ BR³•PQ³=|PD³||PQ³|cos h

∴ BR³•PQ³='5_'2_ 3'¶1010 =3

다른풀이2

미적분을 배우지 않았더라도 점 Q에서 PD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DPC»△DQH이므로 닮음비를 이용하여 cos h를 구할 수 있다.

273

|xø|=2,|yø|=2이고 ∠A=60ù이므로 xø•yø=|xø||yø|cos 60ù=2_2_;2!;=2

∴ |2xø-3yø|Û`=4|xø|Û`-12xø•yø +9|yø|Û`

∴ |2xø-3yø|Û`=4_2Û`-12_2+9_2Û`=28

∴ |2xø-3yø|=2'7 

A D

B 2

C R

P Q ha b xø-bø=(1-sin h+2 cos h, -2+2 sin h+cos h)-(1, -2)

xø-bø=(-sin h+2 cos h, 2 sin h+cos h)

∴ |xø-bø|=¿¹(-sin h+2 cos h)Û`+(2 sin h+cos h)Û`

=¿¹5 sinÛ` h+5 cosÛ` h='5

보충설명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빗변의 길이가 1인 직각삼각형 ABC에서

ABÓ=cos`h, BCÓ=sin`h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sinÛ``h+cosÛ``h=1

268

이등변삼각형 ABC에서 ∠ACB의 크기를 h`(0ù<h<90ù)라 하면

BCÓ=2 CAÓ cos h이므로 4=2 CAÓ cos h에서 CAÓ cos h=2

∴ CA³•CB³ =|CA³||CB³|cos h 

=2_4=8

269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PO³-AP³+PB³

=(-x, -y)-(x-3, y-1)+(-1-x, 2-y)

=(2-3x, 3-3y)

|PO³-AP³+PB³|=3에서 "Ã(2-3x)Û`+(3-3y)Û`=3 (2-3x)Û`+(3-3y)Û`=9

{x-;3@;}Û`+(y-1)Û`=1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3@;, 1}이고 반지름의 길 이가 1인 원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p_1Û`=p p

270

두 점 P, Q가 포물선 yÛ`=2x 위의 점이므로 P{pÛ`

2 , p}, Q{qÛ`

2 , q}라 하면 OP³={pÛ`

2 , p}, OQ³={qÛ`

2 , q}

∴ OP³•OQ³=pÛ`qÛ`

4 +pq 

∴ OP³•OQ³=;4!;(pq+2)Û`-1

따라서 OP³•OQ³ 는 pq=-2일 때, 최솟값 -1을 갖는다.

271

PQÓ가 원 C의 접선이므로 PQÓ⊥CQÓ

즉, 삼각형 CPQ는 ∠PQC=90ù인 직각삼각형 이므로

PCÓ Û`=PQÓ Û`+CQÓ Û`=3Û`+4Û`=25

∴ PCÓ=5 (∵ PCÓ>0)

h 1

A B

C

B 4 C

A

h

4

4

3 A

P Q

B

C C

h

274

|aø+2bø|=4의 양변을 제곱하면

|aø|Û`+4aø•bø +4|bø|Û`=16  yy ㉠

|2aø-bø|=3의 양변을 제곱하면 

4|aø|Û`-4aø•bø +|bø|Û`=9  yy ㉡

㉠+㉡을 하면 5|aø|Û`+5|bø|Û`=25

∴ |aø|Û`+|bø|Û`=5

∴ |aø+bø|Û`+|aø-bø|Û` =|aø|Û`+2aø•bø +|bø|Û`+|aø|Û`-2aø•bø +|bø|Û` 

=2(|aø|Û`+|bø|Û`)=2_5=10 

275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30ù이므로 aø•bø=|aø||bø|cos 30ù=2_|bø|_ '32 ='3|bø|

|2aø-bø|=4의 양변을 제곱하면 4|aø|Û`-4aø•bø +|bø|Û`=16 4_2Û`-4_'3|bø|+|bø|Û`=16

|bø|Û`-4'3|bø|=0, |bø|(|bø|-4'3)=0

∴ |bø|=4'3`(∵ bø+0ø ) 

276

aø+bø+cø=0ø에서 aø+cø=-bø

즉, |aø+cø|=|-bø|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aø|Û`+2aø•cø +|cø|Û`=|bø|Û`

이때, aø=(-1, '3)에서 |aø|=¿¹(-1)Û`+('3 )Û`=2이고,

|bø|='7, |cø|=1이므로

2Û`+2aø•cø +1Û`=('7 )Û` ∴ aø•cø =1

aø•cø =1¾0이므로 두 벡터 aø, c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0ùÉhÉ90ù)라 하면

cos h= aø•cø

|aø||cø|= 12_1=1 2

∴ h=60ù 

277

aø-bø=(x, -2x-2)이므로 |aø-bø|=13에서

¿¹xÛ`+(-2x-2)Û`=13, 5xÛ`+8x+4=169 5xÛ`+8x-165=0, (5x+33)(x-5)=0

∴ x=5 (∵ x는 정수)

따라서 aø=(14, 0), bø=(9, 12)이고 aø•bø=14_9=126¾0이므로 cos h= aø•bø

|aø||bø|= 126

14"Ã9Û`+12Û`= 12614_15 =3 5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에서

sin h= 45 45

278

aø=(-1, 2), bø=(x, -1)에서

aø+3bø=(-1, 2)+3(x, -1)=(3x-1, -1) 2aø-bø=2(-1, 2)-(x, -1)=(-x-2, 5)

h 5

3 4

aø+3bø와 2aø-bø가 평행하므로 aø+3bø=k(2aø-bø )(k+0)라 하면 (3x-1, -1)=k(-x-2, 5) 3x-1=-kx-2k, -1=5k

∴ k=-;5!;, x=;2!;  

279

|aø+2bø|=2'3의 양변을 제곱하면

|aø|Û`+4aø•bø +4|bø|Û`=12

|aø|Û`+4aø•bø +8=12

∴ |aø|Û`+4aø•bø =4  yy ㉠

또한 두 벡터 aø-bø와 2aø+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aø-bø )•(2aø+bø )=0

(aø-bø )•(2aø+bø ) =2|aø|Û`-aø•bø-|bø|Û`

(aø-bø )•(2aø+bø ) =2|aø|Û`-aø•bø-2=0

∴ 2|aø|Û`-aø•bø=2  yy ㉡

㉠, ㉡에서

|aø|Û`=;3$;, aø•bø=;3@;

aø•bø= 23 ¾0이므로 cos h= aø•bø

|aø||bø|= 23 '32 _'2= '6

6  

280

평행사변형 ABCD에서 AB³+AD³=AC³이므로 AB³•AC³=7에서

AB³•(AB³+AD³)=7

|AB³|Û`+AB³•AD³=7 AB³•AD³=2이므로 |AB³|Û`=5

∴ |AB³|='5 AC³•AD³=7에서 (AB³+AD³)•AD³=7 AB³•AD³+|AD³|Û`=7 AB³•AD³=2이므로 |AD³|Û`=5

∴ |AD³|='5

이때, AB³•AD³=2¾0이므로 두 벡터 AB³와 AD³가 이루는 각의 크기 를 h`(0ùÉhÉ90ù)라 하면

AB³•AD³=|AB³||AD³|cos h AB³•AD³='5_'5_cos h=2

즉, cos h= 25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에서

sin h= '2Œ15

따라서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는

|AB³||AD³|sin h='5_'5_ '2Œ1

5 ='2Œ1 '2Œ1

A

B C

D h

2 5

h 1221

281

aø=(1, -'3)에서 |aø|=¿¹1Û`+(-'3)Û`=2이고, |pø|=1이므로 aø•pø=|aø||pø|cos 60ù=2_1_;2!;=1

|aø+2pø|Û`=|aø|Û`+4aø•pø +4|pø|Û`

|aø+2p `=2Û`+4_1+4_1Û`=12

∴ |aø+2pø|=2'3

|aø-pø|Û`=|aø|Û`-2aø•pø +|pø|Û`

|aø-pø|Û`=2Û`-2_1+1Û`=3

∴ |aø-pø|='3

(aø+2pø)•(aø-pø )=|aø|Û`+aø•pø-2|pø|Û`

(a+2pø)•(a-pø )=2Û`+1-2_1Û`=3 (aø+2pø )•(aø-pø )=3¾0이므로 cos h=(aø+2pø )•(aø-pø )

|aø+2pø||aø-pø| = 3 2'3 '3=;2!;

단계 채점 요소 비율

aø•pø의 값 구하기 20 %

벡터 aø+2pø의 크기 구하기 25 %

벡터 aø-pø의 크기 구하기 25 %

cos h의 값 구하기 30 %

1 2

282

AB³=aø, AC³=bø라 하면

점 P는 BCÓ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P³= bø+2aø1+2 =;3!;(2aø+bø)

점 Q는 BCÓ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Q³= 2bø+aø2+1 =;3!;(aø+2bø)

또, |aø|=|bø|=6, ∠BAC=60ù이므로

aø•bø=|aø||bø|cos 60ù=6_6_;2!;=18

∴ AP³•AQ³  =;9!;(2aø+bø)•(aø+2bø)

=;9!;(2|aø|Û`+5aø•bø+2|bø|Û`)

=;9!;(2_6Û`+5_18+2_6Û`) `

=26

단계 채점 요소 비율

AP³, AQ³를 AB³, AC³로 나타내기 40 %

AB³•AC³ 의 값 구하기 30 %

AP³•AQ³ 의 값 구하기 30 %

26

II. 평면벡터

07 직선과 원의 방정식

283

⑴ x-12 =y+1

3 ⑵ x+4 6 =y-5

-1

284

⑴ x=1 ⑵ y=-2

285

⑴ 두 점 A(-2, -1), B(2,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2)

2-(-2) = y-(-1) -4-(-1)

∴ x+24 =y+1 -3

⑵ 두 점 A(3, 2), B(-1, 2)를 지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AB³=(-1, 2)-(3, 2)=(-4, 0)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

⑶ 두 점 A(-4, 2), B(-4, 7)을 지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AB³=(-4, 7)-(-4, 2)=(0, 5)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x=-4

⑴ x+24 =y+1

-3 ⑵ y=2 ⑶ x=-4

286

⑴ 점 (2, 1)을 지나고 벡터 nø=(-1, 2)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x-2)+2(y-1)=0

∴ x-2y=0

⑵ 점 (-1, -2)를 지나고 법선벡터가 nø=(2, -3)인 직선의 방정식은 2(x+1)-3(y+2)=0

∴ 2x-3y-4=0

⑴ x-2y=0 ⑵ 2x-3y-4=0 ⑶ x=2 ⑷ y=-3

287

⑴ 두 직선 l, m의 방향벡터를 각각 uÁ², uª²라 하면 uÁ²=(2, -3), uª²=(-3, 2)

두 직선 l, m이 이루는 각의 크기 h (0ùÉhÉ90ù)에 대하여 cos h= |uÁ²•uª²|

|uÁ²||uª²|

cos h=|2_(-3)+(-3)_2|

"Ã2Û`+(-3)Û``"Ã(-3)Û`+2Û` 

cos h= 12 '¶13 '¶13=;1!3@;

⑵ 두 직선 l, m의 법선벡터를 각각 nÁ², nª²라 하면 nÁ²=(1, -1), nª²=(-1, 7)

두 직선 l, m이 이루는 각의 크기 h (0ùÉhÉ90ù)에 대하여 본문 p.57

콕콕

개념

문서에서 기하 (페이지 39-7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