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문화 교육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6)

인관계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33)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지속적으로 미술활동을 반복하면 자기를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성장을 기대 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미술활동을 통해 부정적 심리를 긍정적인 심리로 변화 시킬 수도 있다. 활동에 대한 유 쾌한 감정과 자신의 작품에 대한 자긍심과 성취감을 경험하게 되면 내면 안 에 있는 부정적 심리가 축소 되게 된다. 이러한 미술활동을 체계적인 정서함 양 단계에 맞는 미술교육으로 진행된다면 긍정적인 정서함양 뿐만 아니라,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삶의 가치체계까지도 성장하게 할 수 있다.

제3절 다문화 교육에서의 미술교육의 필요성

동의 열기로 이어졌다. 1970년대의 최대 교육정책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고, 일반 교육의 다문화 운동, 소수인종들의 새로운 표현적 자 유와 권리가 확대 되었다. 1980년대 이르러서는 문화 간 교류와 국제적 협력 을 원활히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지 속적인 관심은 미국의 교육체제에 있어서 교육적 평등주의를 이루고자 하는 이념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36)

이들 다문화 교육의 목적은 다문화적 교류를 통해 다른 문화에 대한 심층 적인 이해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 이 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즉, 고정관념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다문화 사회에 속해 있는 학생들이 이상과 목표를 성취하기 위 해서는 어떻게 행동을 해야 하는가를 알게 한다.37)

이러한 다문화 교육은 세계시민으로서 우리 모두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과 제들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사회정의, 문화 간 이해, 인 간존엄성등과 같은 문화적 이상은 평등과 사회정의를 위해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국가적, 세계적, 전 세계적인 협력 기반이 되는 것이다.38)

보편적으로 보면 다문화 교육의 접근은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고, 인간의 평등성을 강조한 인간중심 이론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을 위한 접근이 아니라 다문화에 놓여있는 모든 구성원에게 기본이 되 어야 한다. 그러므로 다문화 교육은 인간의 존엄성과 그것을 실현하는 평등 에 대한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인격을 갖출 수 있도록 안내자의 역할을 한 다. 더 나아가 나 외의 타문화를 존중하고 이해하고 타협하는 문화 다원주의 를 실현하수 있도록 하는 주요 요소가 된다.39)

다문화 교육과정을 보면 세계 공동체에 대한 책임, 지구에 대한 존중, 문화

36) 장혜숙,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전통 미술 문화 교육프로그램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p.5

37) 김혜숙, ⌜미술교육에 있어 다문화적 접근과 적용⌟, 미술교육 제 7호, 2008, p.58

38) 김진화, ⌜다문화교육-이론과실제-⌟, 서울: 학지사, 2010, p.22

39) D. L. Sills (Ed.), Pluralism, i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vol. 12, 438-444

적 다양성의 존중, 인간존엄성과 보편성 인정이라는 세 가지의 핵심 가치가 있다. <도2> 다문화 교육과정의 종합적 개념도를 보면 핵심 가치의 다양한 목적이 교육과정 전반에 골고루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인의 특성과 학생 발달단계의 특성에 맞는 적합한 다문화 교육의 목표를 세우고 실행하는데 방향을 설정해 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다문화 교육과 정의 핵심 가치는 하나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상황과 목적에 맞는 개 념을 끌어다가 확대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핵심가치를 실천하는 다문 화 교육의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 을 뼈대로 진정성 있는 문화 다원주의가 실현되는 것이다.

한국도 우리나라의 실태와 실정에 맞는 다문화 교육적 요소를 적용하여 융 화를 위한 다문화교육에 힘써 다문화 환경에 있는 구성원 모두가 성숙한 사 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다문화에 대한 바른 이해와 실천이 가능해 질 수 있게 해야 한다.

<도2> 다문화 교육과정의 종합적 개념도40)

40) 김진화의 전게서, p.62.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