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6-70)

지식 역량, 직무수행 역량, 태도 및 자질 역량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종호와 은희관(2014)의 체육지도자의 지도역량 평가요인을 탐색하는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은 본 연구의 역량인 리더십, 지도능력, 자신감, 자기조절, 대인관계, 윤리 및 가치 역량 등을 지지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은희관(2017)의 생활체육을 중심으로 스포츠 지도자 지도능력 개선을 위한 필요 요인 탐색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일반지식, 지도능력, 상담능력, 기타직무 능력, 개인인성 및 자질, 자기조절에 해당하는 세부항목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추종호(2017)의 체육지도자 자격개편에 따른 역량모델 평가지표 개발 연구 와 이호훈(2017)의 노인스포츠지도사 지도역량에 관한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들은 본 연구의 전문지식, 지도능력, 태도 및 자질에 구성된 세부항목 역량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김홍식(2017)은 운동건강관리자의 역량을 구조화하기 위해 미국대학스포츠의학회(ACSM)와 미국선수트레이너협회(NATA)가 제시한 퍼스널 트레이너와 선수트레이너의 역량을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건강운 동관리사의 역량과 유사하게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한 체육지도자 및 스포츠지도사의 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의 태도 및 자질에 포함되는 역량을 대부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이론지식 역량과 체육지도자 및 스포츠지도사가 갖추어야 하는 이론 지식 역량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건강운동관리사가 갖추어야 하는 이론지식 역량은 체육지도자 및 스포츠지도사가 갖추어야 하는 이론지식과 관련된 역량에 비해 좀 더 다양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지도자 및 스포츠지도사 역량과 관련된 연구 내용에서는 본 연구의 직무수행 역량군에 포함되는 경영능력, 상담능력, 지도능력과 관련된 역량은 도출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운동관리사가 체육지도자 및 스포츠지도사보다 더욱 깊고 넓은 이론지식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체육지도자 및 스포츠지도사보다 지도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역량을 필요로 하며, 관리자로서의 역할과 상담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체육지도자 및 스포츠지도사 외에 교사의 역량에 관한 연구에서도 지도능력과 태도 적인 부분에서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으며(강석주, 2004; 서명 희, 2014; 이대용, 2015), 관리직군의 역량에 대한 연구에서도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 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진주현, 2006; 박신윤, 이찬, 2011; 한승완, 2013; 문학진,

임순연, 2017).

남현주(2014)의 기업 상담자 역량에 관한 연구에서도 본 연구의 직무수행 역량, 태도 및 자질 역량과 유사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으며, 강윤숙 등(2008)의 일반병동 간호사의 간호역량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와 김미영(2013)의 국내 기업 신입비서 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직무역량에 관한 연구에서도 본 연구의 태도 및 자질과 관련된 역량과 유사한 역량을 제시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처럼 체육지도자 및 스포츠지도사뿐만 아니라 건강운동관리사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교육ž관리ž상담ž서비스 직종 분야의 역량 및 역량모델과 관련된 연구에서 여러 가지 역량요인이나, 역량지표 및 행동지표가 본 연구의 역량요인과 세부항목에 유사하게 포함되어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운동관리사의 역량이 전문직 및 서비스직 성향을 보이면서 교육 및 상담, 관리직이 갖추어야 하는 역량도 부분적으로 필요하며,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현재 건강운동관리사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8과목의 필기시험을 치른다. 본 연구에서는 8개의 필기과목이 이론지식 역량군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1차 델파이조사 결과 자격검정의 필기시험 과목에 해당하는 ‘운동부하검사’의 평균값과 내용타당도 비율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기에 기준 값 미달로 삭제하였으며, 표준편차 .99로 57개 문항 중에서 표준편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균값과 내용타당도 비율이 낮고 표준 편차가 크게 나타난 이유를 분석한 결과 병원이나 심장재활 파트에서 종사하는 건강운 동관리사의 경우 운동부하검사와 관련된 지식이나 실무능력을 필요로 하고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외에 다른 직군에 종사하고 있는 건강운동관리사의 경우 운동 부하검사와 관련된 이론지식이나 실무능력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운동부하검사 외에도 스포츠 법적사례, 국민체육진흥법, 고가장비사용, 행정업무, 스포츠마사지 역량은 델파이조사 결과 평균값과 내용타당도 비율이 낮은 점수로 타당 도를 확보하지 못했으며, 본 연구에서 건강운동관리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아닌 것으로 나타나 삭제하였다. 하지만 삭제된 역량도 건강운동관리사의 직군과 근무환경 에 따라 필요하며, 갖추어야 할 역량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건강운동관리사의 역량을 추출하고 명칭 및 개념을 정의하여 구조화 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운동관리 사, 체육 및 스포츠 등 건강운동 분야 종사자들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해 유용한 정보

를 제공하고 직무와 관련하여 갖추어야 할 역량을 파악 할 수 있어 역량 강화의 기회 를 부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보다 전문적이고 세부적인 건강운동관리사의 역량 모델 개발과 다른 스포츠 분야 종사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내용을 토대로 건강운동관리사의 태도 및 능력, 업무성과를 평가하기에는 내용 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건강운동관리사의 업무성과를 평가하는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야 하며, 해당 직무에 필요한 교육 및 자격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건강운동관리사 채용지표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건강운동관리사의 역량 및 역량모델과 관련된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건강운동관리사 의 배출 뿐 만 아니라, 기존의 운동처방사 및 건강운동관리사의 재교육에도 역량 중심 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건강운동관리사의 잠정 역량모델 개발에 대한 논의를 종합하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잠정 역량모델은 건강운동관리사의 업무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건강운동관리사의 직군별로 좀 더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핵심 역량 및 직무역량과 관련된 연구의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운동관리사를 포함한 체육분야 지도자의 역량모델 타당성 검증의 방법론적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