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노인의 낙상 후 고관절 골절로 인한 사망 위험

Ⅰ. 서론

3) 노인의 낙상 후 고관절 골절로 인한 사망 위험

미국의 질병관리본부에서 고관절 골절의 전체적인 발생 건수가 점차 늘고 있 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고, 또 다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고관절 골절 환자가 매 년 10 만명 당 80 명 꼴로 발생하고 있으며, 매년 고관절 골절을 갖고 있는 환자 환자의 18%에서 33%가 사망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Gordon 1971; Dahl 1980;Cum mings,Rubin et al. 1990; Paksima, Koval et al. 2008;Stevens and Anne Rudd 201 0). 낙상의 신체적 손상으로는 가벼운 타박상에서 골절과 뇌손상 등에 이르기까 지 심각한 손상뿐아니라, 치료를 위한 입원 또는 장기간의 안정을 요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민지원, 2006). 사망위험률도 낙상 경험이 없는 노인에 비해 1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염지혜,2015). 인구 10 만 명당 낙상에 의한 사망률은 2005년도 65-69세에서 15.4명, 70-74세 23.8명, 75-79세 45명, 80-84세 98.2명, 85세 이상에서는 240.4명이다(통계청,2005).

한국의 경우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사망률은 외국 문헌에 의하면 14~36% 정

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 문헌에서는 12.8~21.6%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최 근 국내에서 국민의료보험 공단의 자료로 50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환자의 사망

률을 조사한 보고에서는 16.55%였다(Kang HY et al. 2010). (National Health and Aging Trend Study(NHATS) 2011-2015).

핀란드에서 1971-2002년까지 낙상으로 인해 사망한 50세 이상 연구에서 보면, 2030년에는 2170명이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Am J Public Health, 2005).

대만 농촌 및 비농촌 노인들의 낙상 후 사망률을 조사하고 노인들 사이의 낙

비농촌 집단(8.8% 대 23.4%, P <0.001)보다 낮았다. 연령, 성별, CCI 및 약물 사용

인의 경우 슬로바키아에 비해 낙상에 의한 사망비율이 훨씬 높았다. 머리에 대한 부상과 엉덩이에 대한 손상이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이었다. 이 연구는 오스트리아 의 노인 인구 비율이 슬로바키아에 비해 (특히 80세 이상의 여성) 더 높은 낙상 관련 사망률에 기여했을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는 노인 인구의 구조가 다른 두 나라 사이의 차이를 정량화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래의 보건 및 사회 서비스의 필요를 계획하고 인구의 급속한 연령 증가를 예측할 수 있는 국 가에서 예방 계획을 세우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Majdan M et al. 2015).

인도 케랄라 주에서 나이든 여성들 사이에서 낙상 관련 부상의 빈도와 성격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인도 케랄라 트리반드럼에 사는 82명의 지역사회와 60세 이 상의 63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인구 통계 데이터 및 낙상 프로필을 수집하였다. 전체 추락자의 74%는 추락의 결과로 부상(예: 상처와 타박상, 골절) 을 보고했으며, 지역사회에서는 노인의 48%가 LTC(Long Term Care) 환경에서는 70%를 보고했다. 이 연구자들은 낙상은 케랄라 주에서 나이든 여성들이 직면하 고 있는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 연구는 인도에서는 매년 150만~200만 명이 다치고 100만 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된 다고 보고하였다(Johnson SJ et al. Asia Pac J Public Health. 2006).

낙상에 의한 부상은 다양하지만 노인들에서 낙상에 의하여 고관절 골절이 특 히 빈발하며 이에 따른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Kwon YS et al.

1997). 한국의 경우에도 낙상에 의한 부상은 다양하지만 노인들에서 낙상에 의하 여 고관절 골절이 특히 빈발하며 이에 따른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Kwon YS et al.2009; Kim PT et al. J Korean Soc Fract. 1997).

Figure 1. 연구모형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