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는 <표 6>과 같으며 노인에 대한 지식은 실험군은 교육 후 평균점수가 2.45점 상 승한 반면 대조군은 0.46점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다(t=2.483, p=.017).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의 영역별 노인에 대한 지식점수는 신체 적 영역이 평균점수가 2.38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0.04점 감소하였고 두 군의 점 수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2..601, p=.012). 심리적 영역은 실험군이 교육 전·후 0.00±1.76점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군은 0.88±1.58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사회적 영역은 실험군이 교육 후 0.09±1.44점 상승하고 대조군은 0.42±2.04점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6> 노인요양보호교육의 노인에 대한 지식 효과 (N=48)

특성

실험군(n=24) 대조군(n=24)

사전 사후 차이 사전 사후 차이 차이검정

M±SD M±SD t p

지식총점 25.38±5.04 27.83±3.32 2.45±4.11 24.38±4.39 23.92±3.65 -.46±3.65 2.483 .017 신체적 16.46±3.79 18.83±2.44 2.38±3.46 16.17±3.16 16.13±2.23 -.04±2.96 2.601 .012 심리적 3.67±1.27 3.67±1.31 .00±1.76 3.67±1.43 2.79±1.32 -.88±1.58 1.722 .092 가족·사회적 4.58±1.56 4.67±1.37 .09±1.44 3.96±1.49 4.38±1.50 .42±2.04 -.653 .517

2. 노인에 대한 행동

노인에 대한 행동에서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 한 결과는 <표 7>과 같으며 실험군이 교육 후 노인에 대한 행동 평균점수가 0.42 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4.16점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2.039, p=.047).

<표 7> 노인요양보호교육의 노인에 대한 행동 효과 (N=48)

특성

실험군(n=24) 대조군(n=24)

사전 사후 차이 사전 사후 차이 차이검정

M±SD M±SD t p

행동 59.83±4.05 60.25±3.72 0.42±2.34 57.83±4.24 53.67±6.91 -4.16±4.91 2.039 0.047

V. 논 의

적으로 소외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는 심리적 영역의 ‘대부분의 노인들은 일상생활

한 김정윤(2004)의 연구에서는 56.4점, 강숙희(2007)의 연구에서 38.5점으로 나타났 으며 본 연구와 비교했을 때 노인요양보호교육에 참여한 기혼여성의 행동점수 (60.25±3.72점)가 더 높아 노인에 대해 더 긍정적인 행동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인요양보호교육의 영향으로 기혼여성이 간호사와 간호학생보다도 더 긍정적인 행 동을 하게 되었음에 의미가 크며 노인요양보호교육을 이수한 요양보호사들의 활동 에 더 큰 신뢰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에 대한 교육의 효과로 인해 노인에 지식이 상승한 선행 연구(Huber, 1992; 이재모 등, 2005; 김문주, 2005)와 일치하였으며 교육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입증되어 노인요양보호교육을 통하여 노인에 대한 지식을 높이는데 효 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이 경험하는 노화는 신체적, 심리적, 가족․사회적 영 역의 모든 변화를 포함한 종합적 현상이며, 이 모든 측면을 포함한 지식이 제공되 어야 하므로(최경애, 2006), 정답률이 낮은 심리적, 가족․사회적 영역의 지식도 높 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Ⅵ. 결론 및 제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