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노인요양보호교육이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노인요양보호교육이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Copied!
5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2)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

노인요양보호교육이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김 미 영

(3)

노인요양보호교육이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도교수 박 지 원

이 논문을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8년 12월 22일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김 미 영

(4)
(5)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 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 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위치한 대학교 부설 요양보호사교육원 교육생 24명을 실험군으로 표집하고 이에 짝짓기로 경기도내 S시와 N시에 거주하는 여성 2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총 48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8년 9월 1일에서 10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24명을 대상으로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시작 전과 수료 후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대조군 24명에 게도 노인요양보호교육 시작 전과 교육수료 후 시기에 맞춰 설문조사를 하였다. 노인에 대한 지식 측정은 Palmore(1998)의 True-False version인 Facts On Aging Quize(FAQ1)을 임영신(2002)이 한국노인 실정에 맞추어 수정 보완한 도구와 최희자(2002)의 노인케어지식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40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 으며, 노인에 대한 행동은 원영희(2004)가 개발한 노인에 대한 행동 척도 17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은 교육 후 실험군은 평균점수가 2.45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0.46점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2.483, p=.017). 2.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의 영역별 노인에 대한 지식은 신체적 영 역이 평균점수가 2.38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0.04점 감소하여 두 군은 유의하게 나타났다(t=2..601, p=.012). 심리적 영역은 실험군이 교육 전·후 0.00±1.76점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군은 0.88±1.58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사회적 영

(6)

역은 실험군이 교육 후 0.09±1.44점 상승하고 대조군은 0.42±2.04점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노인에 대한 행동에서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 한 결과는 실험군이 교육 후 노인에 대한 행동 평균점수가 0.42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4.16점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039, p=.047).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상승하였고, 노인에 대해 더 긍정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 노인요양보호교육,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한 행동

(7)

목 차

국문요약

··· ⅳ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 5 A. 노인에 대한 지식··· 5 B. 노인에 대한 행동··· 8

Ⅲ. 연구방법

··· 11 A. 연구설계··· 11 B. 연구대상··· 12 C. 연구도구··· 12 D. 실험처치 : 노인요양보호 교육과정··· 13

(8)

E. 자료수집 방법··· 14 F. 자료분석 방법··· 15 G. 연구의 제한점··· 16

Ⅳ. 연구 결과

··· 16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17 B.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19 C. 노인에 대한 행동··· 22 D. 노인요양보호교육의 효과··· 24

Ⅴ. 논의

··· 26

Ⅵ. 결론 및 제언

··· 29 A. 결 론··· 29 B. 제 언··· 30

참고문헌

··· 31

부록

··· 36

(9)

영문초록

··· 42

표 목 차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17 표 2. 노인에 대한 지식, 행동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 18 표 3.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 19 표 4. 대상자의 문항별 노인에 대한 지식 정답률··· 20 표 5. 연구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행동··· 23 표 6. 노인요양보호교육의 노인에 대한 지식 효과··· 25 표 7. 노인요양보호교육의 노인에 대한 행동 효과··· 26

그 림 목 차

그림 1.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 13

부 록 목 차

부록 1. 연구참여 동의서··· 37 부록 2. 설문지··· 38

(10)

I.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우리사회는 의학의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 연장, 경제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노 인인구는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 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8년 7월 1일 현재 10.3%로 총인구 10명중 1명은 노인이며 이는 10년 전인 1998 년 노인인구비율 6.6%에 비해 3.7% 증가하였다(통계청, 2008). 우리나라는 2000년 이미 고령화 사회(노인인구 7%이상)에 진입하였으며 10년 후인 2018년에는 고령사 회(노인인구 14%이상),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노인인구 20%)에 도달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어 급속도로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통계청, 2008). 이런 인구고령화는 치매, 중풍과 같은 노인성 질환, 만성질환을 가진 일상생활이 자유롭지 못한 노인들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동반하며 이는 일반가정의 부양부 담문제, 사회․경제적 변화, 노인의 지위하락,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등의 여 러 가지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가정이 담당해온 노인부양문제가 한계에 도달할 수 있는 시 점에서 정부는 2007년 시범사업에 이어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시행하 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인력을 대비하여 종전 노인복지법상 인력인 가정봉 사원과 생활지도원보다 기능·지식 수준을 강화하기 위하여 시․도지사가 발급하는 요양보호사 국가자격제도를 신설하여 노인요양보호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인 요양보 호사를 양성하고 있다. 요양보호사를 양성하는 노인요양보호 교육과정은 노인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갖 추고 긍정적인 행동을 하는 데 큰 역할을 하며 양질의 교육을 받은 요양보호사의 활동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올바로 정착을 하며 고령화시대의 중추적인 해결책으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Palmore(1998)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화에 대한 지식이 노화과정에 대한 기본

(11)

적인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노인에 대한 지식이 단편적이 고 부정적인 태도와 행동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교육을 통하여 잘못된 지식을 수 정하고 긍정적인 행동으로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부정적이고 무례한 행동으로 이어지므로 고령화시대에 노인에 대한 돌봄이 더욱 크 게 요구되는 시점에서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올바른 지식 제공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노인에 대한 교육에 대한 효과로는 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김문주, 2006; 이재모 등, 2005) 간호 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수강경험이 노인에 대한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강숙희, 2007; 김정윤, 2004; 이영숙 등, 2004; 임영신 등, 2002). 하지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면서 노인요양보호교육에 대한 효 과를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기존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행동에 관한 연구대상은 의료기관 종사자인 의사, 간호사, 간호대학생, 의대생, 대학생 등이었으며 노인에 대한 부양부담이 많은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보호교육이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행동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노인관련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기존의 노인요양보 호교육을 보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12)

B.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기혼여성과 참여하지 않은 기 혼여성을 대상으로 교육이 노인에 대한 지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노인관련 교육개발과 노인요양보호교육을 보완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과 행동정도를 파악한다. 2.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 참여가 노인에 대한 지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를 파악 한다.

(13)

C. 용어의 정의

1. 노인에 대한 지식

지식은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해서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 또는 알고 있는 내용이나 사물을 말한다(국립국어원, 2008). 본 연구에서는 노 인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노인에 대한 지식 측정은 Palmore(1998)의 True-False version인 Facts On Aging Quize(FAQ1)을 임영신(2002)이 한국노인 실정에 맞추어 수정 보완한 도구와 최희자(2002)의 노인케어지식 측정도구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2. 노인에 대한 행동

행동이란 한 개인의 반응 또는 행위이며 관찰할 수 있는 활동, 측정할 수 있는 심리적 변화, 인지적 심상, 환상 그리고 정서 등이 포함된다(임은희, 2005). 본 연구 에서는 노인에 대한 행동으로서 원영희(2004)가 개발한 노인에 대한 행동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행동이 긍정적임을 의미한 다.

(14)

Ⅱ. 문헌고찰

A.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은 보편적으로 나이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평균수명의 연장과 은퇴 시기의 연장 등을 감안하여 우리사회에서는 보통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간주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법규에 따라 노인을 상이하게 분류하고 있다. 고령자 고용 촉진법에서 고령자는 55세 이상, 준 고령자는 50세 이상에서 55세 미만으로, 노인복 지법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는 65세 이상으로 노인을 규정하고 있다(임정빈, 2007).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노인에 대한 용어정의를 보면 “노인등”이라 함은 65세 이상의 노인 또는 65세 미만의 자로서 치매․뇌혈관성질환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라고 정의하였다(보건복지부, 2008). 노화는 개인차가 있고 연령적인 차이도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어렵지만 전체 생 애의 주기를 볼 때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노화현상이 일어나고 이것은 신체적, 심 리적, 사회적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노인이 되면 신체적 변화로는 피부탄력과 저항력이 떨어지며, 운동능력의 저하, 골다공증의 근골격계의 변화, 빈뇨, 요실금 등의 비뇨기계 변화 등을 경험하게 된다 (전산초, 최영희, 1994). 우리나라 노인의 질병은 심맥관계, 호흡기계, 비뇨생식기계, 신경계 및 소화기계 등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노인의 질병은 젊은 사 람에 비해 발병률이 높고, 치명률이 높다는 것 외에 중복 질환을 가지며, 만성질환 이 많고, 재발하기 쉽다는 몇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조유향, 2001). 노년기의 대두되는 대표적인 문제는 퇴직, 질병, 역할 상실, 사회적 격리 또는 고립에서 오는 소외감, 고독감을 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서적 불안감이나 무기 력증 및 우울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노인인구에서 흔히 발견되는 정신질환으로는 치매와 우울증이 대표적이다(이형영, 2004). 특히 노년기에 격게 되는 신체적 노화와 만성질환은 노인을 심리적으로 위축시

(15)

키고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하며, 이러한 심리적 노화는 지각이나 감각, 기억, 지능 등과 같은 정신 및 신경기능의 저하 뿐 아니라 불안과 우울 등의 정서와 성격에 변 화를 가져온다( Wrosch, 2004; 강지선, 2002). 이러한 심리적 노화는 세상의 정보를 접하는 데 한계를 초래하여 노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한국노년 학회, 2002). 사회적 측면의 문제는 상호작용의 괴리에서 기인되며 일상생활에 대한 흥미를 상실하거나, 불행감과 불만족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질병이나 거동불능으로 인해 사 회적으로 유리된 생활을 할 경우 심화되며 노인이 지각하는 가족 및 사회와의 결속 정도는 우울과 관련이 깊다(김수정, 1996). 노인에 대한 지식을 측정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봉사원 182명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을 최희자(2002)의 노인건강관리 지식측정도구로 측정한 하숙현(2007)의 연구에서 노인에 대한 건강관리지식은 정답 률이 89%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연령, 최종학력이었다.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최경애(2006)의 연구에서 Facts On Aging Quize I(FAQ1)로 노인에 대한 지식을 측정한 결과 정답률은 49.1%를 나타냈으며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이 긍정적이었으며, 노인에 대한 태 도가 긍정적일수록 긍정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송은주(2004)의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지식 은 총 25점 만점에 평균 12.28점(정답률 49.1%)으로 비교적 낮았으며, 간호사가 간 호대학생에 비해 지식의 정도가 높았다. 심리 영역, 가족. 사회 영역에서 낮은 정답 률을 보였으며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 다. 김정윤(2004)의 연구에서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는 총 25점 만점에 평균 12.52점(±2.74)으로 정답률이 50.1%였다. 노인관련 특성과 관련된 노인에 대한 지식을 살펴보면 Scott, Minichiello 와 Browing(1998)의 연구에서도 조부모와 많이 만날수록 실제로 노인 및 노화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갖게 된다고 보고하였다. 이춘자(2003)의 연구에서도 시부모와 거주하 는 대상자가 노인에 대한 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16)

하지만 초등학생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Haught 등(1999)의 연구에서는 노인과 의 접촉은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과 편견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정란(2002)의 연구에서도 노인과의 접촉기회와 지식의 관련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관련 교육에 대한 효과를 살펴본 선행연구의 고찰은 다음과 같다. 이재모, 이신영(2005)의 연구를 보면 노인복지론을 수강하는 대학생의 노인복지 교육이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통제군에 비해 지식 점수가 높아져 노인복지교육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나 정답률은 교육 후 45.5% 로 다른 연구에 비해 낮았다. 김문주(2005)의 연구에서 한 학기(16주)동안 노인교육 을 받은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인식을 연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교육을 받은 실 험군은 노인에 대한 특성과 지식에 대해 점수가 높았으며 1년 전 교육을 받은 대학 생은 점수가 감소하여 노인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치매노 인 주부양가족원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신미숙(2007)의 연구 결과 교육을 통해 치매노인과 긍정적인 관계로 변화시켰으며 삶의 질이나 치매노인에 대 한부양능력을 유지시켜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여 교육의 시행이 중요함 을 알 수 있었다. Huber 등(1992)의 연구에서는 장기요양시설에서 노화에 대한 교 육이 간호사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강화시키지는 못했지만, 지식을 의미 있게 증가 시켰고 부정적인 태도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내용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을 알아본 결과 노인관련 교육프로그램의 효 과로 노인에 대한 지식이 상승되어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함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 은 노인에 대한 지식을 상승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17)

B. 노인에 대한 행동

인간의 모든 행동이란 일정한 법칙에 따라 생기는 인간과 물리적, 자연적, 사회 적 환경간의 역동적 표현이며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여러 요인과 환경 요인과의 상호 작용에 의한 것이다(임은희, 2005). 행동은 말하고 행동하는 실질적인 것들을 포함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식 및 감정과 구별되며 매너리즘, 습관 개인 간의 대화 기술 등이 모두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김규수 등, 2002). 행동과 태도는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태도를 연구함으로써 행동을 예측할 수 있 고(이훈구, 2002), 지식도 행동을 통해서 풍부해지고 적극화되며 행동이 지식을 통 해서 명확해지고 효율화한다는 보충관계 이상으로써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이규 호, 2001; 최경애, 2006). 지식도 행동의 일종이고 행동도 하나의 인식작용으로써 지 식과 행동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은 유기적 관계 로 볼 수 있다(최경애, 2006). 노인에 대한 ‘행동’은 ‘태도’라는 용어를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태도의 사전 적 정의는 어떤 사물에 대한 감정이나 생각 따위가 겉으로 나타난 모습으로 복합적 인 개념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용어 개념상의 혼돈으로 대부분의 국내․국외 연 구들은 노인에 대한 인지적․정서적․행동적 요소를 혼동하여 태도라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었다(김정윤, 2004). 보건복지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노인분야에서 일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으 며, 노인관련 분야는 인력을 채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원인은 보건 및 복지 분야에 종사하는 인력들의 노인에 대한 이해부족과 부정적인 태도 때문이라고 하였다(Ward, 1991; 이혜원, 2001). 원영희(2005)의 연구에서 노인들은 개인적 관계보다 사회적 측면에서 부정적 행 동을 경험하였으며, 무시, 기피, 소외의 경험은 노인의 우울에 관련이 있으며 이로 부정적 행동이 노인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김욱(2003)의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노인에 대한 행동에서 차별적 양상으로 나타나며 노인 의 86.2%가 한 가지 이상의 차별적 행동을 경험하였다고 하였다.

(18)

가정봉사원 182명을 대상으로 원영희(2002)의 행동척도로 측정한 하숙현(2007)의 연구에서는 행동척도를 사용하여 노인에 대한 태도로 분석하였으며 건강관리 지식 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는 95점(100점 환산점수)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최경애(2006)의 연구에서도 원영희의 행동척도로 측정 한 노인에 대한 행동은 평균 56.3점으로 긍정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윤(2002)의 연구에서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행동 측정점수는 68점 만점 (34점∼51점 중립적인 범위)에 평균 56.4점(±5.31)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행동을 보였 다. 같은 도구를 사용한 강숙희(2007)의 연구에서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38.5점(±5.7)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행동을 보였으나 다른 연구에 비해 점수가 낮 았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인식과 행동을 조사한 김윤정 외(2001)의 연구 결과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행동과 인식은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5문항으 로 행동을 측정한 점에서 일반화에 제한점이 있다. 조부모에게 전화를 자주 걸고, 더 친밀하게 여기고, 노인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행동이 나타났다. 반면, 치위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행동을 조사한 강현경(2006)의 연구결과 행동점수는 39.09±13.43점(85점 만점), 최성숙(2007)의 연구에서는 28.67±6.17점으로 중립범위(43~60점)보다 낮아 노인에 대해 부정적인 행동을 보였 다. 노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를 함께 측정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최근에 들어 김정윤(2004), 최경애(2006). 염미자(2007), 강숙희(2007) 연구에서 노인에 대한 지식 과 태도, 행동을 함께 연구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 에 대한 연구의 대상자는 대부분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의사, 간호사, 간호학생, 의 대생, 대학생이 많았으며 이 밖에 대상으로는 노인복지 시설에 종사하는 가정봉사 원(원영희, 2002), 노인복지 전문가(이윤미, 2003), 사회복지사(김수영 등, 2002)가 있

(19)

었다. 이상의 노인에 대한 행동의 문헌고찰을 살펴본 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행동간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어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고 태도가 긍정적이면 행동도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요양보호 교육과정을 통한 노 인에 대한 행동의 영향을 알아본 연구는 없었으므로 노인요양보호사의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본 연구 결과가 더 의미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20)

Ⅲ. 연구방법

A. 연구설계

본 연구는 요양보호교육이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사전조사 실험처치 사후조사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 실험군 E1 X E2 대조군 C1 C2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위치한 대학교 부설 요양보호사교육원에서 실 시한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 교육생 중 기혼여성 27명을 실험군으로 편의표집하고 대상자의 확산을 줄이기 위하여 짝짓기로 대조군을 표집하였으며 경기도 S시 주민 센터 한문수업을 수강하는 기혼여성과 N시에 거주하는 성당교우로 30∼50대 기혼 여성 27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총 54명을 연구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중 설문에 불 성실하게 응답한 대상자를 제외하여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으로 총 48명을 연구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체적 대상자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연령은 30∼50대이며 직업이 없고 기혼인 여성 2) 설문지를 읽고 이해 가능하며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3)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

(21)

C. 연구도구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한 행동으 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이다.

1. 노인에 대한 지식

본 연구에서 노인에 대한 지식 측정은 간단하면서도 노화에 대한 지식을 효과적 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Palmore(1977)이 처음 개발하고, 1998년 수정보완된 True-False version 의 Facts On Aging Quize(FAQ1)을 임영신(2002)이 한국노인 실정에 맞추어 수정 보완한 도구와 최희자(2002)의 노인케어지식 측정도구를 본 연 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노인에 대한 신체·생리 영역 24문항, 심리 영역 7문항, 가족·사회영역 9문항이 포함되었고 정답은 1점, 오답과 모 르겠다는 0점 처리하였으며 가능점수 범위는 총점 0∼4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지 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2. 노인에 대한 행동

노인에 대한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원영희(2004)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총 17개 문항이며 4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 ‘매우 그렇다’는 4점 으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전체 부정문항으로 점수를 역산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가 능점수범위는 총점 17점(가장 부정적인 행동)에서 68점(가장 긍정적인 행동)으로 점 수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행동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 당시 Cronbach's α = .822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 .781이었다.

(22)

D. 실험처치 : 노인요양보호 교육과정

노인요양보호 교육과정은 <그림 1>과 같이 보건복지부의 요양보호사 양성지침 에 따라 진행하였다. 이론과 실기과정은 각각 80시간으로 4주 동안 하루 8시간 씩, 오전 9시부터 오 후5시까지 교육이 이루워 졌으며 현장실습은 총 80시간을 2주 과정으로 구성하여 실습을 하였다. 이론, 실기, 현장실습을 거친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 참여기간은 총 6주로 구성하였다. 교육내용은 보건복지부가 제작한 표준교재를 이용하였다. <그림 1>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 (단위:시간) 구분 과목 교육내용 이론 실기 이론 (80시간) / 실기 (80시간) 요양보호 개론 요양보호 관련 제도 및 서비스 6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와 자세 10 4 요양보호대상자 이해 5 요양보호관련 기초지식 의학, 간호학적 기초지식 16 5 요양보호 각론 기본요양보호기술 27 45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5 9 의사소통 및 여가지원 4 8 서비스 이용지원 4 4 요양보호 업무 기록 및 보고 3 5 총 80 80

(23)

E.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자료수집은 2008년 9월 1일에서 10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노인요양보호 교육과정에 참여한 27명을 대상으로 요양보호사 교육과 정 시작 전과 수료 후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대조군인 일 반 기혼여성 27명에게도 요양보호사 교육 시작 전과 교육수료 후 시기에 맞춰 총 2 차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3부씩을 제외하여 실험군 24 명, 대조군 24명의 설문지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응답에 소요된 시간은 15∼20분 정 도였다.

F. 윤리적 고려

자료를 수집하기에 앞서 대상자에게 동의를 구하고 서명을 받았다. 동의서에는 연구자의 소개 및 연구목적을 기술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하고 비 밀을 보장하며 연구 목적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고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언제든 연 구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명시하였다.

(24)

F.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sion 12.0을 이용하여 연구목적과 변수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1. 대상자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와 t-test를 사용하였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한 행동 정도는 빈도, 백분 율, 평균,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다.

G. 연구의 제한점

1. 본 연구의 대상자는 2개 시의 기혼여성으로 표집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는 제한이 있다. 2. 노인에 대한 행동은 직접관찰이 아닌 자가보고식 설문으로 정도를 측정하여 연 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25)

Ⅳ. 연구결과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으로 총 48명이며 연령, 학 력, 종교, 노인과의 동거경험, 동거경험 내용, 노인대상 자원봉사경험 유무에 대해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분석한 결과 <표 1>과 같이 통계적으로 동질한 것으로 나 타났다. 실험군인 노인요양보호 교육생의 평균연령은 46.58세, 대조군은 45.46세였으며 전체 대상자 70%이상이 30∼40대의 연령분포를 보였다. 학력에서는 고졸이하가 실험군 22명(91.7%), 대조군 19명(79.2%)로 두 군 모두 고졸이하 학력이 많았다. 종교가 있는 실험군은 21명(87.5%)이었으며 대조군은 18 명(75.0%)으로 종교가 있는 대상자가 대부분이었다. 노인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노 인과의 거주경험이 있는 실험군은 17명(70.8%)으로 대조군15명(62.5%)에 비하여 많 았고 두 군 모두 노인과의 거주경험 비율이 더 높았다. 노인과의 동거경험의 내용이 어떠하였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긍정적 이었다’의 응답이 많았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한 봉사경험에 대한 질문에는 ‘봉사경험이 없다’ 의 비율이 높았고 노인대상 봉사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대조군 9명(39.1%)으로 실험 군 7명(29.2%)보다 더 많았다.

(26)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N=48) 특성 구분 실험군(n=24) 대조군(n=24) χ2 p 실수(%) 실수(%) 연령 30 - 40대 17(70.8) 18(75.0) .105 .745 50대 이상 7(29.2) 6(25.0) 학력 고졸이하 22(91.7) 19(79.2) 1.505 .22 대졸이상 2(8.3) 5(20.8) 종교 있다 21(87.5) 18(75.0) 1.231 .267 없다 3(12.5) 6(25.0) 노인과의 동거경험 있다 17(70.8) 15(62.5) .519 .471 없다 7(29.2) 9(37.5) 동거경험 내용 긍정적 12(70.6) 10(66.7) .682 .409 부정적, 별다른 느낌없다 5(29.4) 5(33.3) 자원봉사 경험 있다 7(29.2) 9(39.1) .519 .471 없다 17(70.8) 15(60.9)

(27)

노인요양보호 교육과정 참여 전의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행동에 대한 평 균점수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위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노인에 대한 지식, 행동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 (N=48) 특성 실험군(n=24) 대조군(n=24) t p M±SD M±SD 지식 총점 25.38±5.04 24.38±4.39 .73 .467 신체적 지식 16.46±3.79 16.17±3.16 .29 .773 심리적 지식 3.67±1.27 3.67±1.43 .00 1.000 가족·사회적 지식 4.58±1.56 3.96±1.49 1.42 .162 행동 59.83±4.05 57.83±4.24 1.85 .072

(28)

B.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을 참여하기 전의 대상자 48명의 노인에 대한 지식을 신체 적, 심리적, 가족․사회적 영역별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는 <표 3>과 같다. 교육전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 총점은 평균 24.87±4.70점(정답률 62.2%) 이며 이 중 신체적 영역은 16.31±3.45점(정답률 67.9%), 심리적 영역은 3.67±1.34점 (정답률52.4%), 가족·사회적 영역은 4.29±1.47점(정답률 47.6%)이었다. 문항별로 노인에 대한 지식 정답률을 살펴본 결과는 <표 4>와 같다. 노인에 대 한 지식 중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인 문항은 ‘노인은 자세가 구부러지기 쉬우므로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로 95.8%였다. 그 다음으로는 ‘5가지 감각(시력, 청 력, 미각, 촉각, 후각) 기능은 모두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체력은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노인에게는 재활교육이 필요 없다’가 정답률 93.8%로 신체적 영역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반면 가장 낮은 정답률은 보인 문항은 심리적 영역의 ‘노인은 나이가 들수록 더 종교를 믿으려는 경향이 늘어난다.’로 16.7%였고, 그 다음으로는 ‘대부분의 노인 들은 일상생활이 “좀처럼 지루하지 않다”고 말한다.’(29.2%)이었다. 가족․사회적 영 역의 ‘대부분의 노인들은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있다.’로 18.8%이었다. <표 3> 대상자의 영역별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 (N=48) 영 역 M±SD 정답률(%) 지식총점 24.87±4.70 62.2 신체적 16.31±3.45 67.9 심리적 3.67±1.34 52.4 가족·사회적 4.29±1.47 47.6

(29)

<표 4> 대상자의 문항별 노인에 대한 지식 정답률 (N=48) 영역 문항내용 정답률 (%) 신체적 28*. 노인은 자세가 구부러지기 쉬우므로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95.8 2*. 5가지 감각(시력, 청력, 미각, 촉각, 후각) 기능은 모두 나이가 들면서 감소 하는 경향이 있다. 93.8 6*. 체력은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93.8 27. 노인에게는 재활교육이 필요 없다. 93.8 5*. 폐활량은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87.5 34*. 노인은 소변농축능력이 저하되어 빈뇨와 실금을 초래한다. 87.5 10*. 노인들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 젊은 사람들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 85.4 37. 노인은 만성질환에 이환될 위험이 높다. 85.4 36*. 노인은 체온조절력이 저하되어 저체온증에 빠질 위험성이 있다. 79.2 39*. 노인은 만성질환이 한 가지만 발병하기 보다는 동시에 2가지이 상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 79.2 11. 노인들은 젊은 사람들보다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더 느린 경 향이 있다. 75.0 30*. 노인에게 가장 흔한 상해는 낙상이고 주로 가정에서 발생한다. 75.0 1. 65세 이상 노인들의 대부분은 망녕(예, 기억력 손상, 지남력 장애, 치매)이 든다. 72.9 9*. 65세 이상 노인의 50%이상이 정상적인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할 만큼 충분히 건강하다. 70.8 38*. 노인은 최근 기억은 잘하기 못하나 오래 반복된 기억은 쉽게 한다. 68.8 3. 대부분의 노인은 성생활에 대한 관심이 없다. 66.7 4. 대부분의 노인은 성관계 능력이 없다. 60.4 35*. 노인은 타액분비 자극을 위해 껌이나 사탕을 권하면 좋다. 56.3 33*. 치매노인관리는 밤에도 침실이나 화장실에 불을 밝혀둔다. 54.2 12. 65세 이상 노인 근로자들은 젊은 근로자들보다 직장에서 더 많은 사 고를 당한다. 41.7 8. 대부분의 65세 이상 노인 직장인들은 젊은 직장인들보다 효과적으로 일을 할 수 없다. 39.6 7*. 65세 이상 노인운전자들은 젊은 운전자들보다 1인당 사고횟수가 적다. 35.4 40*. 배회증상을 가진 치매노인에게는 저녁산책이 바람직하지 않다. 33.3 * 정답문항

(30)

<표 4> 대상자의 문항별 노인에 대한 지식 정답률(계속) (N=48) 순위 문항내용 정답률 (%) 심리적 32*. 노인의 사회, 정서적 변화는 많은 상실로 인해 온다. 89.6 14. 대부분의 노인들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75.0 31*. 노인은 정서적 욕구 불만이 증가한다. 62.5 15. 우울은 젊은 사람들보다 65세 이상 노인들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60.4 13. 대다수의 노인들이 대부분의 시간에 비참함을 느낀다. 47.9 18*. 대부분의 노인들은 자신들이 좀처럼 흥분하거나 화를 내지 않는다고 말한다. 47.9 16. 대부분 노인들은 일상생활이 “좀처럼 지루하지 않다”고 말한다. 29.2 17. 노인들은 나이가 들수록 더 종교를 믿으려는 경향이 늘어난다. 16.7 가족 · 25*. 대부분의 노인들은 일을 하고 있거나, 가사일, 자원봉사 등 자신들 이 할 수 있는 일거리를 갖기를 원한다. 83.3 사회적 22*.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현재 인구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81.7 29. 노인은 타인과의 상호관계능력이 증가된다. 62.5 26. 2010년 노인들의 건강과 사회경제적인 상태는 현재와 거의 같거나 더 나빠질 것이다. 45.8 19. 적어도 65세 이상 노인 5% 이상이 장기수용시설(예, 요양원, 노인주거 시설 등)에 살고 있다. 43.8 23*. 대부분의 의료인들은 노인들에게 낮은 우선권을 주는 경향이 있다. 39.6 20.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노인들은 모든 면에서 비슷비슷해진다. 33.3 24. 노인들 대부분은 최저생계비(정부에 의해 규정된) 이하의 수입을 가진다. 20.8 21. 대부분의 노인들은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있다. 18.8 * 정답문항

(31)

C. 노인에 대한 행동

노인요양보호 교육과정에 참여하기 전의 대상자 48명의 노인에 대한 행동 정도 를 살펴본 결과는 <표 5>에 제시하였으며 총 4점 만점에 평균 3.56±.24점으로 나타 났다. 문항별 분석에서 노인에 대한 행동 중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난 문항은 ‘카페나 식당 등에 들어가면 가능한 노인이 없는 다른 장소로 옮긴 적이 있다’로 점수는 4 점 만점에 3.85±.36점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노인 앞에서 노인이 알아듣거나 이해하 기 힘든 용어나 표현을 사용한 적이 있다’, ‘대중교통 이용 시 노인에게 자리를 양 보하지 않기 위해 눈을 감거나 모르는 척을 했다.’로 점수는 3.79±.54점으로 긍정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노인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져본 적이 없 다.’로 2.81±.82점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노인의 생각이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었 던 적이 있다.’ 2.98±.53점, ‘노인과 함께 있으면 불편하다고 느낀 적이 있다.’ 3.04±.54점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전체 문항 점수들이 중립적 범위인 2~3점에 속하는 것으로 부정적 행동은 없었으며 대체로 긍정적 행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2)

<표 5>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행동 (N=48) 문항내용 M±SD 10. 카페나 식당 등에 들어가면 가능한 노인이 없는 다른 장소 로 옮긴 적이 있다. 3.85±.36 16. 노인 앞에서 노인이 알아듣거나 이해하기 힘든 용어나 표 현을 사용한 적이 있다. 3.79±.54 17. 대중교통 이용 시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기 위해 눈 을 감거나 모르는 척을 했다. 3.79±.41 1. 노인을 비하하는 말이나 농담을 한 적이 있다. 3.75±.44 11. 노인이 잘 듣지 못할 것이라고 단정하고 행동한 적이 있다. 3.75±.48 12. 노인이 잘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단정하고 행동한 적이 있다. 3.72±.45 13. 노인이 나오는 프로그램은 보지 않는다. 3.72±.50 2. 노인이 하는 말이나 행동을 무시한 적이 있다. 3.62±.53 14. 노인이 출,퇴근시간에 외출하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불편을 끼치는 일이라 생각한 적이 있다. 3.44±.62 9. 노인과 대화하거나 교제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3.41±.77 15. 노인이 나의 일이나 집안일에 신경 쓰는 것을 귀찮다고 느 낀 적이 있다. 3.39±.64 7. 노인이 아픈 경우에는 노환이라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 적 이 있다. 3.31±.62 8. 개인적으로 노인과 시간을 보내고 싶지 않다. 3.23±.66 3. 노인이 하는 일이나 의견을 못미덥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3.18±.61 6. 노인과 함께 있으면 불편하다고 느낀 적이 있다. 3.04±.54 5. 노인의 생각이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었던 적이 있다. 2.98±.53 4. 노인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져본 적이 없다. 2.81±.82 total 3.56±.24 * 측정도구는 모두 부정문항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행동을 의미하도록 역코 딩하여 분석하였다.

(33)

D. 노인요양보호 교육의 효과

1.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는 <표 6>과 같으며 노인에 대한 지식은 실험군은 교육 후 평균점수가 2.45점 상 승한 반면 대조군은 0.46점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다(t=2.483, p=.017).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의 영역별 노인에 대한 지식점수는 신체 적 영역이 평균점수가 2.38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0.04점 감소하였고 두 군의 점 수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2..601, p=.012). 심리적 영역은 실험군이 교육 전·후 0.00±1.76점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군은 0.88±1.58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사회적 영역은 실험군이 교육 후 0.09±1.44점 상승하고 대조군은 0.42±2.04점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6> 노인요양보호교육의 노인에 대한 지식 효과 (N=48) 특성 실험군(n=24) 대조군(n=24) 차이검정 사전 사후 차이 사전 사후 차이 M±SD M±SD t p 지식총점 25.38±5.04 27.83±3.32 2.45±4.11 24.38±4.39 23.92±3.65 -.46±3.65 2.483 .017 신체적 16.46±3.79 18.83±2.44 2.38±3.46 16.17±3.16 16.13±2.23 -.04±2.96 2.601 .012 심리적 3.67±1.27 3.67±1.31 .00±1.76 3.67±1.43 2.79±1.32 -.88±1.58 1.722 .092 가족·사회적 4.58±1.56 4.67±1.37 .09±1.44 3.96±1.49 4.38±1.50 .42±2.04 -.653 .517

(34)

2. 노인에 대한 행동

노인에 대한 행동에서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 한 결과는 <표 7>과 같으며 실험군이 교육 후 노인에 대한 행동 평균점수가 0.42 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4.16점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2.039, p=.047). <표 7> 노인요양보호교육의 노인에 대한 행동 효과 (N=48) 특성 실험군(n=24) 대조군(n=24) 차이검정 사전 사후 차이 사전 사후 차이 M±SD M±SD t p 행동 59.83±4.05 60.25±3.72 0.42±2.34 57.83±4.24 53.67±6.91 -4.16±4.91 2.039 0.047

(35)

V. 논 의

본 연구는 요양보호교육이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은 교육 후 실험군의 평균 2.45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0.46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결론적으로 노인요 양보호교육은 노인에 대한 지식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로는 신체적 영역에서만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심 리적, 가족․사회적 영역에서는 교육 전․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 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노인에 대한 신체적 영역의 지식만이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신체적 영역의 지식 뿐 아니라 심리적, 가족·사회적 지식도 함께 상승 시킬 수 있는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의 개발과 보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역별 지식의 정답률을 살펴보면, 신체적 영역 67.9%, 심리적 영역 52.4%, 가 족․사회적 영역 47.6%으로 신체적 영역의 정답률이 높았다. 다른 연구에서도 대부 분 노인에 대한 신체적 지식영역의 정답률이 심리적, 가족·사회적영역의 지식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났으며 Facts On Aging Quize(FAQ1) 25문항으로 측정한 연구를 보면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최경애(2006)의 연구에서 신체 ·생리 영역 정답률 67.4%, 심리 영역 32.2%, 가족·사회적 영역 36.7%이었다. 이런 결과는 같은 도구로 측정한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양경미 등(2002),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강숙희(2007), 임정빈(2007), 송영신(2004), 이춘자(2003), 임영신(2002) 의 연구에서도 신체적 영역의 정답률이 높아 본 연구와 일치했다. 노인에 대한 지식 중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인 문항은 ‘노인은 자세가 구부러지 기 쉬우므로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로 정답률은 95.8%였으며 이는 함미경 (2005)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반면 가장 낮은 정답률은 보인 문항은 심리적 영역의 ‘노인은 나이가 들수록 더 종교를 믿으려는 경향이 늘어난다.’, 가족․사회적 영역의 ‘대부분의 노인들은 사회

(36)

적으로 소외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는 심리적 영역의 ‘대부분의 노인들은 일상생활 이 “좀처럼 지루하지 않다’고 말한다.’로 이는 함미경(2005)의 연구와 일치하지 않았 으며 박선영(2006)의 연구결과 ‘대부분의 노인들은 일상생활이 “좀처럼 지루하지 않 다’만 일치하였다. 이재모, 이신영(2005)의 연구에서 노인복지론을 수강하는 대학생의 노인복지교육 이 노인에 대한 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정답률은 교육 후 45.5%로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 노인요양보호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노인에 대한 지식 정답률이 69.5%로 나타나 차이가 컸으며 이로 노인요양보호교육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국내 연구의 간호사와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Facts On Aging Quize(FAQ1) 25문항으로 측정한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은 49.1∼60.4%의 분포였다. 이에 비 해 본 연구에서 실험군의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 참여 후에 40문항(정답률 69.5%) 중 FAQ1의 해당하는 문항의 정답률을 계산한 결과 62.0%로 나타나 선행연구 보다 높은 수준의 결과가 나타났다.

국외 연구를 살펴보면, Holtzman 등(1981)이 Facts On Aging Quize(FAQ1)로 의대, 치대 학생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평균 정답률은 65%였으며 치대생보다 의 대생이 정답률이 더 높았다. Ryan(2005) 등이 FAQI의 도구를 이용하여 간호대학생 3, 4학년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정답률은 4학년이 49%로 3학년의 정답률 42%보 다 높았으나 다른 연구에 비해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가 낮았다. Barnet(1979)의 연 구에서 의학, 간호학, 심리학, 상담 등의 다양한 분야의 대상자로 조사한 결과 평균 정답률은 64%였다. 이는 교육과정과 근무경력, 근무환경에 따라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의 행동점수가 교육 전에 대조군과 동질하였으나 교육 후 행동점수가 더 높아져 더 긍정적인 행동을 하고 있 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t=3.89, p=.00), 이는 노인요양보호교육이 노 인에 대한 긍정적인 행동을 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측정한 다른 연구를 살펴보면,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최경애(2006)의 연구결과 노인에 대한 행동 점수는 평균 56.3점, 간호사를 대상으로

(37)

한 김정윤(2004)의 연구에서는 56.4점, 강숙희(2007)의 연구에서 38.5점으로 나타났 으며 본 연구와 비교했을 때 노인요양보호교육에 참여한 기혼여성의 행동점수 (60.25±3.72점)가 더 높아 노인에 대해 더 긍정적인 행동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인요양보호교육의 영향으로 기혼여성이 간호사와 간호학생보다도 더 긍정적인 행 동을 하게 되었음에 의미가 크며 노인요양보호교육을 이수한 요양보호사들의 활동 에 더 큰 신뢰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에 대한 교육의 효과로 인해 노인에 지식이 상승한 선행 연구(Huber, 1992; 이재모 등, 2005; 김문주, 2005)와 일치하였으며 교육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입증되어 노인요양보호교육을 통하여 노인에 대한 지식을 높이는데 효 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이 경험하는 노화는 신체적, 심리적, 가족․사회적 영 역의 모든 변화를 포함한 종합적 현상이며, 이 모든 측면을 포함한 지식이 제공되 어야 하므로(최경애, 2006), 정답률이 낮은 심리적, 가족․사회적 영역의 지식도 높 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38)

Ⅵ. 결론 및 제언

A. 결론

본 연구는 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기혼여성의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 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S시 위치한 대학교 부설 요양보호사교육원 교육생 24명을 실험군으로 표집하고 이에 짝짓기로 경기도내 S시와 N시에 거주하는 기혼 여성 2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총 48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8년 9월 1일에서 10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노인요양보호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24명을 대상으로 요양보호사 교 육과정 시작 전과 수료 후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대조군 인 일반 성인여성 24명에게도 요양보호사 교육 시작 전과 교육수료 후 시기에 맞춰 총 2차 설문조사를 하였다.

노인에 대한 지식 측정은 Palmore(1998)의 True-False version인 Facts On Aging Quize(FAQ1)을 임영신(2002)이 한국노인 실정에 맞추어 수정 보완한 도구와 최희자(2002)의 노인케어지식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40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 으며,노인에 대한 행동은 원영희(2004)가 개발한 노인에 대한 행동 척도 17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은 교육 후 실험군은 평균점수가 2.45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0.46점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2.483, p=.017). 2.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의 영역별 노인에 대한 지식은 신체적 영 역이 평균점수가 2.38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0.04점 감소하여 두 군은 유의하게

(39)

나타났다(t=2..601, p=.012). 심리적 영역은 실험군이 교육 전·후 0.00±1.76점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군은 0.88±1.58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사회적 영 역은 실험군이 교육 후 .09±1.44점 상승하고 대조군은 .42±2.04점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노인에 대한 행동에서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 한 결과는 실험군이 교육 후 노인에 대한 행동 평균점수가 0.42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4.16점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039, p=.047).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노인요양보호교육과정에 참여한 기혼여성의 노 인에 대한 지식이 상승하였고, 행동에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어 노인에 대해 더 긍정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 제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노인요양보호교육을 통해 노인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긍정적인 행동을 함께 유도할 수 있는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2. 일반화를 위해 남성 대상자도 포함하고 대상자를 늘려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제 언한다. 3. 노인에 대한 총체적인 지식 상승을 위해 신체적 영역 뿐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지식을 높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40)

참고문헌

강숙희, 일부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노인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강지선,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강현경, “부산지역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6(3), 2006. 김규수, 설진화, 이경은, 이기량, 이애재, 이영희, 이지훈, 정원철, 인간행동과 사회환 경, 나눔의 집, 서울, 2002. 김문주, 일부 대학생들의 노인 인식과 지식 변화에 대한 연구 : 노인 교육 프로그램 의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김복혜, 노인관련 교육이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환일 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김수영, 양경미, 오현이, 김진선,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한국노년학, 22(3), pp.21-36, 2002. 김수정, 노인이 지각한 세계관 결속과 우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1996. 김 욱, “억압의 한 형태로서의 노인차별주의 : 사회 복지적 대응과 함의”, 한국사회 복지정책, 14, pp. 97-118, 2002. 김윤정, 정선아,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노인에 대한 인식과 행동간의 관계 규 명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pp. 173-183, 2001. 김정윤, 간호사들의 노인관련 지식과 태도와 행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4. 박선영, 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노인간호 교육요구도, 계명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백경숙, 권용신,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

(41)

향, 노인복지연구, 39, pp. 35-52, 2008. 박혜욱,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사, 전남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송다영, 부양의식을 통해 본 노인부양지원정책 방향성 : 기혼여성의 부양경험을 중 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9, pp.207-233, 2004. 송은주,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신미숙, 치매노인 주부양가족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염미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행 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원영희,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21, pp. 319-339, 2005. 원영희, 노인에 대한 행동 척도 개발, 미간행, 2004. 이영숙, 박경란, “노년학 교육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 년학, 12(3), pp.29-41, 2002. 이윤미, 노인복지 전문가의 노인에 대한 태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이은미, 노인 복지전문가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3. 이재모, 이신영, “노인복지교육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9, pp. 259-283, 2005. 이춘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일반종합병원과 노인전문병원 중심으 로),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이형영 외, 노인정신의학, 중앙문화사, 서울, 2004. 이혜원, “한·일 사회복지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사회복 지학회지, 46(9), pp. 377-403, 2001.

(42)

이훈구, 사회심리학, 법문사, 서울, 2002. 임영신, 한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임은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경기도, 2005. 장윤옥,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조부모 부양행동과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이 청 소년의 노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2(1), pp. 191-207, 2002. 전산초, 최영희, 노인간호학, 수문사, 서울, 1994. 조유향, 노인간호, 현문사, 서울, 2001. 조 현, 박춘화, 김혜옥, 노인간호학, 현문사, 서울, 2001.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08. 최경애, 간호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최성숙, “경주지역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7(2), 2007. 최희자, 노인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태도·실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하숙현, 가정봉사원의 노인건강관리 지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한국노년학회, 노년학의 이해, 서울: 대영문화사, 2002. 한정란, “노인교육과 세대통합”, 한국성인교육학회, 5(1), pp. 1-2, 2002. 함미경,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노인케어에 대한 지식 및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www.korean.go.kr, 2008.

Brown, M., “Nursing assistants' behavior toward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Quality Review Bulletin, 14(1), pp. 15-17, 1988.

Carin, K. J., Evaluation of attitudes and knowledge toward the elderly : Before and after a gerontology course with a clinical component in a long-term

(43)

care facility, M.S.N. Bellarmine College, 1999.

Haught, P. A., Walls R. T., Lanney A., & Sturen, S., “Child and adolescent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older adults across time and states", Educational Gerontology, 25, pp 501-517, 1999.

Holtzman, J. M., Beck, J. D., Ettinger, R. L., “Cognitiv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aged of dental and medical students", Educational

Gerontology, 6(2), pp. 195-207, 1981.

Hope, K. W.,“Nurses' attitudes towards older people: a comparison between nurses working in acute medical and acute care of elderly patient setting", 20, pp. 605-612, 1994.

Hsieh, H., Wang, J., Yen, M., Liu, T., “Educational support group in changing caregivers' psychological elder abuse behavior toward caring for

institutionalized elders", Adv in Health Sci Educ, 2008.

Huber, M., Reno, B., Mckenney, J., “Long-term care personnel assess their attitudes and knowledge of the older adult", J of Advanced Nursing, 17, pp. 1114-1121, 1992.

Mcgran, H., Long-term care nurses' Knowledge of the aging process and

attitudes toward aging, M.S.N. Western connecticut State University, 1992. Palmore, E. B., The Facts of aging quiz(2nd Ed.), N.Y. : Springer Co., 1998. Pinquart, M., Wenzel, S., “Changes in attitudes among child and elderly adults in intergenerational group work", Educational Gerintology, 26(6), pp 523-540, 2000.

Ryan, M., Mccauley, D., “We built it and they did not come: Knowledge and attitude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toward the elderly”, J of the New York State Nurses' Assocatiation, Fall/Winter 2004/2005 35(2), pp. 5-9, 2005.

(44)

and attitudes towards older people: Does a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make a difference?”, Ageing and Society, 11, pp.229–250, 1998. Ward, C. R., Duquin, M. E., Streetman, H., "Effect of intergenerational message on future caregivers : Attitudes toward aging, the elderly and caring for the elderly", Educational Gerontology, 25(3), pp. 35-46, 1999.

Williams, B., Day, 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aging: Comparison of context-based learning and a traditional program", J of Nursing Education, 46(3), pp 115-120, 2007. Wrosch, C., Schulz, R., Heckhausen, J., “Health Stresse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the Elderly: A Control-Process Approach",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3(1), pp.17-20, 2004.

(45)
(46)

연구 참여 동의서

연구제목 : 노인에 대한 지식, 행동에 관한 연구

연구자 :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김미영 (H.P 010-9282-6907)

저는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본 연구는 여러분이 노인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어떤 행동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노인들에게 효과적인 요 양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귀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모든 질문에는 정답이 없으며 옳고 그른 것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다소 응답하 기 어려운 질문이 있더라도 솔직하게 한 문항도 빠짐없이 답하여 주시면 감사하 겠습니다. 소요시간은 10~15분 정도입니다. 귀하께서 응답하신 모든 내용은 모두 무기명으로 처리되고 절대 비밀이 보장되 며, 연구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본 연구는 자의로 참여하시는 분에게 실시되며 이 연구에 참여하기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에 서명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만약 참여를 원하지 않을 시에는 언 제든 철회할 수 있습니다. 본인은 면담에 자의로 참여하며 연구결과가 발간되더라도 본인의 이름이 연구에 관련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연구에 참여하는 동안에 어떠한 비용이나 위험이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을 통해 알고 있습니다. 응답내용은 비밀이 보장되며 연구 목적 이외에 사용되지 않음을 알고 있습니다. 원하지 않을 시에는 언제든 연구참여를 철회할 수 있다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2008년 월 일 참여자: (서명)

(47)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다음 문항을 읽으시고 귀하께서 해당하는 항목에 “V"표를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연령 : 만 세 2. 성별 : 1) 남성 □ 2) 여성 □ 3. 결혼상태 : 1) 기혼 □ 2) 미혼 □ 3) 사별 □ 4) 기타 □ 4. 종교 : 1) 기독교 □ 2) 천주교 □ 3) 불교 □ 4) 무교 □ 5) 기타 □ 5. 노인과 함께 거주한 경험이 있습니까? 1) 있다 □ 2) 없다 □ 5-1. 있다면 1) 조부모 □ 2) 부모 □ 3) 시부모 □ 4) 친척 □ 5) 기타 □ * 2), 3)의 경우는 부모님, 시부모님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경우를 지칭합니다. * 하나만 선택해주세요(오래 함께 사신 분 선택) 5-2. 거주기간은? 1) 1년미만 □ 2) 1-3년 미만 □ 3) 3-5년 미만 □ 4) 5년 이상 □ 5-3. 함께 거주한 경험의 내용은? 1) 긍정적 □ 2) 부정적 □ 3) 별다른 느낌없다 □ 6.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습니까? 1) 있다 □ 2) 없다 □ 7. 최종학력 : 1) 초등학교졸 □ 2) 중졸 □ 3) 고졸 □ 4) 대졸이상 □ 8. 귀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1) 가정주부 □ 2) 없다 □ 3) 있다 (구체적으로 써주세요 ) 9. 이전에 노인관련 교육이나 강의를 받아본 적이 있습니까? (매스컴교육 포함) 1) 있다면 (횟수와 내용: ) 2) 없다 □

참조

관련 문서

To summarize above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could have positive transformation in definitive aspect in the children, enha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12-week complex type correc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houlder angle, trunk rotation angle, and body shape

  Investigation of turnover comes from the job itself and in this study worked in a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Caregiver Stress, Burnout comes from

In the change of functional fitness,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cardiopulmonary endurance, wits, and flexibility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results,

With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e hypothesis that increased cardiac output in the patients who administered ketamine increased muscle blood flow, and this is the

After analyzing their behavior 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can be claim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not only provides the elderly with

This result, therefore, showed that as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physical activity and do self-directed exercise, it results in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decreased problematic behavior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