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위해 개입유형별로 하위집단을 분류하였다. 개입유형은 상담이론 접근, 예술치료 접근, 교육집단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나 그 중 교육 집단은 네트워크 메타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그 이유는 연구팀에서 협의한 결과 교육집단은 네트워크 메타분석의 가정인 이행성(transitivity: 임상적․방법론적 유사성) 가정이 충족되었다고 보기 힘들다고 평가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입유 형으로 상담이론 접근, 예술치료 접근을 분류한 후, 두 가지 개입유형(상담이론 접근, 예술치료 접근)별로 전체집단, 치료집단, 예방집단으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네트워크 지형도로 개입유형 간 질적, 양적 관계의 패턴 을 확인하였고, forest plot과 P-score를 통해 개입유형 간 효과크기를 비교하여

해석하였다.

가. 개입유형별 평균 효과크기

네트워크 메타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이상치를 제외한 33편이다. 분석에 포함된 33편 연구를 무선 효과 모형으로 상담이론, 예술치료, 교육집단 개입유형별로 평 균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는 표 Ⅳ-32와 같다.

상담이론 개입 11편의 평균 효과크기는

g

=1.119(95% CI 0.767-1.470)로 세 집단 가운데 가장 높다. 이를 Cohen’s

U3

값으로 전환하면

U3

=87.7 percentile이다.

이는 정상분포 곡선에서 상담이론 개입은 프로그램 참여한 대상의 회복탄력성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상과 비교하여 37.7 percentile만큼 증가시킨다는 의 미이다. 다음은 예술치료 개입 17편의 평균 효과크기는

g

=0.988(95% CI 0.685-1.290)을 보였다. 이를 Cohen’s

U3

값으로 전환하면

U3

=84.8 percentile이 다. 즉, 정상분포 곡선에서 예술치료 개입은 프로그램 참여한 대상의 회복탄력성 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상과 비교하여 34.8 percentile만큼 증가시켰다.

교육집단 프로그램 5편의 평균 효과크기는

g

=0.645(95% CI 0.196-1.093)로 세 접 근 유형 중 가장 낮았다. 이를 Cohen’s

U3

값으로 전환하면

U3

=74.5 percentile 이다. 즉, 정상분포 곡선에서 교육집단 개입은 프로그램 참여한 대상의 회복탄력 성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상과 비교하여 24.5 percentile만큼 증가시켰다.

세 하위집단의 효과크기를 해석하면, 상담이론과 예술치료 접근은 큰 효과크기 를 보였고, 교육집단은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표 Ⅳ-32. 프로그램 유형별 평균 효과크기

프로그램 유형 ES(g) 95% CI U3

(percentile) Lower Upper

상담이론 11 1.119 0.767 1.470 87.7 예술치료 17 0.988 0.685 1.290 84.8 교육집단 5 0.646 0.196 1.093 74.5

주. ES: 효과크기, -95% CI, +95% CI: 신뢰구간

프로그램 유형 U3 그래프

상담이론

예술치료

교육집단

그림 Ⅳ-15. 프로그램 유형별 U3 그래프

나. 상담이론 개입 네트워크 메타분석

1) 상담이론 개입: 전체집단

가) 네트워크 모델 요약 추정치: 상담이론 전체집단

상담이론 접근 전체 11편을 대상으로 분석한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의 네트워크 메타분석 요약과 일관성 검증 통계치는 그림 Ⅳ-16과 같다. 이 연구는 개방형 네트워크 메타분석이므로 중재 디자인 간(between design) 일관성 통계 치는 계산되지 않았다.

Number of studies: k = 11

Number of pairwise comparisons: m = 11 Number of treatments: n = 8

표 Ⅳ-33. 네트워크 메타분석 summary: 상담이론 전체집단(

k

=11)

k m n d Q df I2 T2

11 11 8 7 13.93 4 .0075 71.3% .425

주. k: 연구수, m: 쌍별 비교수, n: 개입유형수(7개 control, 긍정심리학, 아들러개인심리학, 이야 기치료, 인간중심상담, 인지행동치료, 통합적 상담, 해결중심상담) d: 네트워크 디자인 개수

Q: 동질성검증통계치, df: 자유도, I2 , T2:: 이질성의 통계치

표 Ⅳ-33에 전체집단의 네트워크 메타분석 summary 값을 제시하였다. 전체 효과크기의 동질성은

Q

=13.93(

p

=.0075)로 영가설이 기각되어 상담이론 개입 전체 집단은 이질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질성 해석은

I

2=25%는 작은 이질성,

I

2=50%는 중간 정도 크기로,

I

2=75%는 큰 크기의 이질성으로 해석한다(황성동,

Number of designs: d = 7

Random effects model

Treatment estimate (sm = 'SMD', comparison: other treatments vs 'control'):

SMD 95%-CI z p-value control . . . . 긍정심리학 0.6655 [-0.2303; 1.5612] 1.46 0.1454 아들러개인심리학 1.3300 [-0.2093; 2.8693] 1.69 0.0904 이야기치료 1.1500 [-0.2274; 2.5274] 1.64 0.1018 인간중심상담 1.3700 [-0.2444; 2.9844] 1.66 0.0963 인지행동치료 1.3182 [ 0.2262; 2.4102] 2.37 0.0180 통합적 상담 2.2200 [ 0.6683; 3.7717] 2.80 0.0050 해결중심상담 0.9471 [-0.0706; 1.9649] 1.82 0.0681

Quantifying heterogeneity

tau^2 = 0.4246; tau = 0.6516; I^2 = 71.3% [27.3%; 88.7%]

Tests of heterogeneity (within designs) Q d.f. p-value Total 13.93 4 0.0075 Within designs 13.93 4 0.0075

그림 Ⅳ-16. 네트워크 메타분석 summary 결과: 상담이론 전체집단

2020; Higgins et al., 2003). 이 연구에서 전체집단의 이질성은

I

2=71.3%로 나타 나 상당한 정도의 이질성을 보였다.

나) 개입유형 간 네트워크 지형도: 상담이론 전체집단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 중 상담이론 개입 전체연구 11편 을 7-arm 디자인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모형을 구축하였다. 전체집단 내에서 상 담이론 간 네트워크 지형도(network geometry)는 그림 Ⅳ-17과 같다. 네트워크 지형도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치료그룹 간의 직접비교(direct comparison)관계 를 도식화해서 보여준다(심성률, 2019).

전체집단 11개 연구는 모두 무처치통제집단과 비교한 연구였다. 따라서 네트워 크 지형도는 공통대조군(네트워크 지형도에서 control)과 비교한 개입유형의 결과 를 제시하고 있다. 네트워크 지형도는 네트워크 메타분석 연구에서 개입들 간의 질적‧양적 관계를 가늠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반드시 제시해야 한다(심성률, 2019). 그림에서 노드(node)는 개입유형을 의미하고 연결된 선(edge)의 굵기는 데 이터의 양을 의미한다. 즉, 선이 굵다는 것은 해당 개입의 연구가 많다는 의미이 다. 선(edge)에 표시한 숫자는 연구 수이다.

그림 Ⅳ-17. 개입유형 간 네트워크 지형도: 상담이론 전체집단(

k

=11)

주. control=공통대조군인 무처치통제집단

그림 Ⅳ-17에서 전체집단 11편의 연구 중 공통대조군(control)과 직접비교로 연 구가 이루어진 개입유형은 긍정심리학 3편이었고, 인지행동치료 2편, 해결중심상 담 2편이었다. 다음으로 아들러개인심리학, 이야기치료, 인간중심상담, 통합적 상 담 접근은 각 1편이었다.

다) 개입유형 간 효과크기 차이 forest plot: 상담이론 전체집단

개입유형 간 효과크기 차이를 보여주는 forest plot은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통 해 개입유형 간 효과크기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도식화하여 비교할 수 있 게 한다(심성률, 2019). 그림 IV-18에서 SMD는 공통대조군인 무처치통제집단 (control)의 효과크기를 0으로 하여 비교한 효과크기 차이 값(SMD: g)으로, 무처 치통제집단과 비교한 해당 개입의 효과크기를 의미한다. 그림 Ⅳ-12는 공통대조 군과 비교한 7가지 개입 간 효과크기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 점이 있다.

그림 Ⅳ-18. 개입유형 간 효과크기 차이 forest plot: 상담이론 전체집단(

k

=11)

주 control=레퍼런스집단으로 사용한 무처치통제집단

전체집단에서 공통대조군과 비교한 효과크기 차이는 통합적 상담

g

=2.220(95%

CI 0.668~3.772), 인간중심상담 1.370(95% CI –0.244 ~ 2.984), 아들러개인심리학 1.330(95% CI -0.209~2.869), 인지행동치료

g

=1.318(95% CI 0.226~2.410), 이야기 치료

g

=1.150(95% CI -0.227~2.527), 해결중심상담

g

=0.947(95% CI -0.071~

1.965), 긍정심리학

g

=0.665(95% CI -0.230~1.561) 순이었다. 이 중 신뢰구간에 0 을 포함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접근은 통합적 상담, 인지행동치료 접근이

었다.

라) 개입 간 비교우위 선정: 상담이론 전체집단

네트워크 메타분석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개입 간 비교우위를 선정하는 것 이다.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유형 중 가장 큰 효과를 미칠 확 률을 보여주는 netrank 함수 결과를 그림 Ⅳ-19에 제시하였다.

P-score는 각 개입이 처음으로 선택될 확률을 보여준다. 상담이론 접근 전체집 단에서 회복탄력성을 증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개입으로 통합적 상담이 선택될 확률이 87.0%, 인간중심상담 60.5%, 인지행동치료 60.3%, 아들러개인심리학 59.3%, 이야기치료 52.8%, 해결중심상담 44.4%, 긍정심리학 32.0%로 나타났다.

2) 상담이론 개입: 치료집단

가) 네트워크 모델 요약 추정치: 상담이론 치료집단

치료집단 연구 7편을 대상으로 분석한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의 네트 워크 메타분석 요약과 일관성 검증 통계치는 그림 Ⅳ-20과 같다. 이 연구는 개방 형 네트워크 메타분석이므로 중재 디자인 간(between design) 일관성 통계치는 계산되지 않았다.

Number of studies: k = 7

Number of pairwise comparisons: m = 7 Number of treatments: n = 7

> netrank(net1, small.values="bad") P-score

통합적 상담 0.8701 인간중심상담 0.6052 인지행동치료 0.6028 아들러개인심리학 0.5931 이야기치료 0.5275 해결중심상담 0.4441 긍정심리학 0.3196

그림 Ⅳ-19. netrank P-score: 상담이론 전체집단

표 Ⅳ-34. 네트워크 메타분석 summary: 상담이론 치료집단(

k

=7)

k m n d Q df I2 T2

7 7 7 6 2.32 1 .1274 57.0% .279

주. k: 연구수, m: 쌍별 비교수, n: 개입유형수(7개 control, 긍정심리학, 이야기치료, 인간중심상 담, 인지행동치료, 통합적 상담, 해결중심상담) d: 네트워크 디자인 개수

Q: 동질성검증통계치, df: 자유도, I2 , T2:: 이질성의 통계치

표 Ⅳ-34에 치료집단의 네트워크 메타분석 summary 값을 제시하였다. 전체 효과크기의 동질성은

Q

=2.32(

p=

.1274)로 영가설이 기각되지 않아 치료집단은 동 질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질성 해석의 기준은

I

2=25%는 작은 이질성,

I

2=50%

는 중간 정도 크기로,

I

2=75%는 큰 크기의 이질성으로 해석한다(황성동, 2020).

이 연구에서 치료집단의 이질성은

I

2=57.0%로 나타나 보통 정도의 이질성을 보 였다.

Number of designs: d = 6

Random effects model

Treatment estimate (sm = 'SMD', comparison: other treatments vs 'control'):

SMD 95%-CI z p-value control . . . . 긍정심리학 0.9020 [-0.0671; 1.8711] 1.82 0.0681 이야기치료 1.1500 [-0.0069; 2.3069] 1.95 0.0514 인간중심상담 1.3700 [-0.0609; 2.8009] 1.88 0.0606 인지행동치료 1.8900 [ 0.4334; 3.3466] 2.54 0.0110 통합적 상담 2.2200 [ 0.8602; 3.5798] 3.20 0.0014 해결중심상담 0.3300 [-0.8475; 1.5075] 0.55 0.5828

Quantifying heterogeneity / inconsistency:

tau^2 = 0.2792; tau = 0.5284; I^2 = 57% [0.0%; 89.7%]

Tests of heterogeneity (within designs) Q d.f. p-value Within designs 2.32 1 0.1274

그림 Ⅳ-20. 네트워크 메타분석 summary 결과: 상담이론 치료집단

나) 개입유형 간 네트워크 지형도: 상담이론 치료집단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 중 치료적 접근을 하는 7개의 연 구를 6-arm 디자인 기반으로 네트워크 모형을 구축하였다. 치료집단 내에서 상 담이론 간 네트워크 지형도(network geometry)는 그림 Ⅳ-21과 같다.

치료집단 7개 연구는 모두 무처치통제집단과 비교한 연구였다. 따라서 네트워 크 지형도는 공통대조군(네트워크 지형도에서 control)과 비교한 개입유형의 결과 를 제시하고 있다. 그림에서 노드(node)는 개입유형을 의미하고 연결된 선(edge) 의 굵기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한다. 즉, 선이 굵다는 것은 해당 개입의 연구가 많다는 의미이다. 선(edge)에 표시한 숫자는 연구 수이다. 그림 Ⅳ-21에서 치료 집단 7편의 연구 중 공통대조군(control)과 직접비교로 연구가 이루어진 개입유형 은 긍정심리학 2편이었고, 이야기치료, 인간중심상담, 인지행동치료, 통합적 상담, 해결중심상담 접근이 각 1편이었다.

그림 Ⅳ-21. 개입유형 간 네트워크 지형도: 상담이론 치료집단(

k

=7)

주. control=공통대조군인 무처치통제집단

다) 개입유형 간 효과크기 차이 forest plot: 상담이론 치료집단

치료집단에서 공통대조군과 비교한 효과크기 차이는 통합적 상담

g=

2.220(95% CI 0.860~3.580), 인지행동치료

g

=1.890(95% CI 0.433~3.347), 인간중

심상담

g=

1.370(95% CI -0.061~2.801), 이야기치료

g

=1.150(95% CI -0.007~2.307), 긍정심리학

g

=0.902(95% CI -0.067~1.871), 해결중심상담

g

=0.330(95% CI -0.847~1.507) 순이었고, 상위 2순위는 신뢰구간에 0을 포함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림 Ⅳ-22. 개입유형 간 효과크기 차이 forest plot: 상담이론 치료집단(

k

=7)

주 control=레퍼런스집단으로 사용한 무처치통제집단

라) 개입 간 비교우위 선정: 상담이론 치료집단

네트워크 메타분석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개입 간 비교우위를 선정하는 것 이다.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유형 중 가장 큰 효과를 미칠 확 률을 보여주는 netrank 함수 결과를 그림 Ⅳ-23에 제시하였다.

P-score는 각 개입이 처음으로 선택될 확률을 보여준다. 치료집단에서 회복탄 력성을 증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개입으로 통합적 상담이 선택될 확률이 87.1%

> netrank(net1, small.values="bad") P-score

통합적 상담 0.8711 인지행동치료 0.7759 인간중심상담 0.6062 이야기치료 0.5301 긍정심리학 0.4336 해결중심상담 0.2186

그림 Ⅳ-23. netrank P-score: 상담이론 치료집단

이고, 인지행동치료 77.6%, 인간중심상담 60.6%, 이야기치료 53.1%, 긍정심리학 43.4%, 해결중심상담 21.9%로 나타났다.

3) 상담이론 개입: 예방집단

가) 네트워크 모델 요약 추정치: 상담이론 예방집단

상담이론으로 접근한 예방집단 연구 4편에 대한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 램의 네트워크 메타분석 요약은 그림 Ⅳ-24와 같다.

표 Ⅳ-35. 네트워크 메타분석 summary: 상담이론 예방집단(

k

=4)

k m n d Q df I2 T2

4 4 5 4 - 0 - -

-주. k: 연구수, m: 쌍별 비교수, n: 개입유형수(5개 control, 긍정심리학, 아들러개인심리학, 인지 행동치료, 해결중심상담) d: 네트워크 디자인 개수

Q: 동질성검증통계치, df: 자유도, I2, T2:: 이질성의 통계치 Number of studies: k = 4

Number of pairwise comparisons: m = 4 Number of treatments: n = 5

Number of designs: d = 4

Random effects model

Treatment estimate (sm = 'SMD', comparison: other treatments vs 'control'):

SMD 95%-CI z p-value control . . . . 긍정심리학 0.2000 [-0.6459; 1.0459] 0.46 0.6431 아들러개인심리학 1.3300 [ 0.4709; 2.1891] 3.03 0.0024 인지행동치료 0.8600 [ 0.1411; 1.5789] 2.34 0.0190 해결중심상담 1.6500 [ 0.8857; 2.4143] 4.23 < 0.0001

Quantifying heterogeneity / inconsistency:

tau^2 = NA; tau = NA

그림 Ⅳ-24. 네트워크 메타분석 summary 결과: 상담이론 예방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