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낙랑 목곽묘의 변화와 계층 관계

문서에서 樂浪 과帶方 樂浪 과帶方 (페이지 42-82)

・ 목곽묘의 형식 분류

A 류: 목관을 목곽의 중축선상, 혹은 중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

AⅠ 형식 AⅡ 형식 AⅢ 형식 AⅣ 형식

A 類木槨墓

석암리219 호분(AⅣ 형식)

정백동389 호분(AⅡ 형식)

B類: 목관을 목곽의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

0 2

0 2

BⅠ 형식 BⅡ 형식 BⅢ 형식 BⅣ 형식

B 類木槨墓

정오동5 호분(BⅡ 형식) 정백리127 호분(BⅡ 형식)

전실묘가 주류를 이룬 Ⅴ 기(3 세기) 에서도 상위 계층은 목곽묘를 사용

0 2

0 2

남정리116호분(채협총)

* 목곽묘는 낙랑 상위 계층을 상징하는 묘제.

중국 한묘와 다른 낙랑 고분의 특징

니질계 토기 (좌 : 봉산 지탑리토성, 우 : 동해송정동주거지)

[태토차이는제작기법과밀접히관련, 형태와 제작기법은중국 漢代 토기와뚜렷이 구분}

① 泥質系 토기 : 노끈을 감은 내박자와 타날판으로 1 차 성형하며, 이 때 내면에 가로로 이어지는 노끈 압흔 남김( 서북지역에서만 확인), 원통형· 고배형· 완형· 盆形, 시루형 등 일상용기+ 소수 부장용토기( 부뚜막형, 耳杯 등)

② 활석혼입계 토기 : 형뜨기 기법 성형( 原型 에 포를 씌우고 타날 후 조정), 鼎形· 화분형토기 등 취사용기

③ 석영혼입계 백색토기 : 기본형 따로 만들지 않고 1 차 성형단계부터 곧바로 완성된 모양 만들어나감, 호· 옹 등

대부분 중대형 저장용기

니질계토기

석영 혼입계토기

활석 혼입토기 (형뜨기:화분형토기)

樂浪禮官명문

[ 와당]

1) 전국시대 반와당 → 진한교체기 원와당 2) 와당 성형

① 와당면과 수키와 별주 접합, 泥質系와 당 : 각종 문자와 고사리문, 四葉座文 ⇒ 다양한 기법 제작, 제와 공정 정형화수준 비교적 낮음,

② 형뜨기 방법 : 틀에 포를 대고 와당면과 수키와 동시에 만듦, 고사리문만 장식, 특 징적으로 활석 혼입(형뜨기로 만든 화분 형토기 등도 활석혼입) ⇒ 瓦土 제작 동일 공인 집단 추정 가능

3) 樂浪禮官, 四葉座文 와당 등이 古式

[ 와당]

1) 전국시대 반와당 → 진한교체기 원와당 2) 와당 성형

① 와당면과 수키와 별주 접합, 泥質系와 당 : 각종 문자와 고사리문, 四葉座文 ⇒ 다양한 기법 제작, 제와 공정 정형화수준 비교적 낮음,

② 형뜨기 방법 : 틀에 포를 대고 와당면과 수키와 동시에 만듦, 고사리문만 장식, 특 징적으로 활석 혼입(형뜨기로 만든 화분 형토기 등도 활석혼입) ⇒ 瓦土 제작 동일 공인 집단 추정 가능

3) 樂浪禮官, 四葉座文 와당 등이 古式

송산리1,정백리2,양동리5,송산리1 전평양, 신천군

1) 성형 : 조립식 거푸집 이용 장씩 만듦, 점토 채우고 타날하여 한쪽에서만 승문 타날 2) 종류 : 敷塼(바닥 까는 것, 활석 혼입이 특징). 장방형전(쌓기 전용)

3) 문양 : 기하학문, 능형문

4) 편년 : 장측면 폭/길이 비율 시기 내려올수록 작아져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 ⇒ 시문 공간 작아져 문양 조잡하게 퇴화(문양 복잡→퇴화), 중량 감소로 운반 노동력 절약 (高久健二)

명문 漆耳杯 ( 정백동 19호분)

1) 종류 : 耳杯, 盒, 盤 案, 皿, 염(화장상자), 협, 偏壺, 향로 등(鼎·鍾 등 청동용기 모 방품 없음)

2) 방법 : 木胎(木心에 칠 바름), 內紵胎(천에 칠을 발라 여러 번 겹쳐 굳힘),

木胎內紵(목심에 포를 덧씌운 다음 칠을 함) ⇒ 낙랑 대부분 확인, 토기 칠한 예도 있음

3) 낙랑지역 (紀年銘)칠기 지금 사천지방인 漢 廣漢郡과 蜀郡 제작품이 주로 유통

칠반 ( 정백동

127 호분)

封 泥

1) 행정기관에서 문서나 물건을 보낼 때 진흙으로 봉하고 도장을 찍어 밀봉 2) 200여점 출토, 대부분 낙랑토성 출토, 낙랑 25縣 중 22개현 관련 봉니 (樂浪太守章, 樂浪大尹章 - 위조?)

청동기

1) 非漢式 : 한국식 세형동검, 車馬具 등

2) 漢式 청동기 : 무기(弩 부속구·동과

·동모·동검·동촉), 용기(銅 ·銅鍾

·銅 : 술 담거나 데우는 용기, 銅 복·銅鼎·銅釜 : 음식물 끓이거나 데움), 銅鏡, 香爐, 銅錢 등 ⇒ 현 지 제작 多(동전 거푸집 발견, 납 동위체 분석 결과 청동기 현지 자체 조달 또는 중국에서 수입한 동과 지금을 합금하여 만듦)

1) 非漢式 : 한국식 세형동검, 車馬具 등

2) 漢式 청동기 : 무기(弩 부속구·동과

·동모·동검·동촉), 용기(銅 ·銅鍾

·銅 : 술 담거나 데우는 용기, 銅 복·銅鼎·銅釜 : 음식물 끓이거나 데움), 銅鏡, 香爐, 銅錢 등 ⇒ 현 지 제작 多(동전 거푸집 발견, 납 동위체 분석 결과 청동기 현지 자체 조달 또는 중국에서 수입한 동과 지금을 합금하여 만듦)

博山爐 (석암리9호분)

석암리9 호분 : 銅鍾( 좌) 銅鐏( 우)

弩( 석암리 219 호분)

성운문경(전평양) 방격규구경(정백리127호) 반룡경(정백리24호)

성운문경(전평양) 방격규구경(정백리127호)

반룡경(정백리24호)

신수경(

전 평양)

金製 鉸具( 석암리 9 호분)

금동 곰모양 상다리 ( 석암리9 호분)

金銅 馬面

( 석암리 219 호분)

상 : 교구 ( 남정리116 호분) 좌 : 옥류 ( 정백리17 호분,

석암리219 호분)

<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유적 분포도>

中部地方 出土 樂浪系 文物

강릉 교항리유적 동해 송정동유적

영일군 출토

「晉率善穢佰長」獸鈕銅印

양양 가평리유적 명주 안인리유적

강릉 교항리유적 동해 송정동유적

영동지역 출토 낙랑계 유물

중도식토기의 속성

中島式土器

口緣部 : 斷面 方形 → 外反 → 外反+口緣內面 調整 順 花盆 形土器 와 연동(高久健二 1995)

胴 最大徑 : 中央 → 上位 의 變化 打捺文土器

口緣部(直立→ 外反), 胴體部(偏球形→球形), 肩部 强調→ 둥

근 것), 打捺(繩文→繩文․格子-平行

한강유역 원삼국시대 토기 편년

양양가평리주거지(강릉대)

5.

문서에서 樂浪 과帶方 樂浪 과帶方 (페이지 42-8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