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樂浪 과帶方 樂浪 과帶方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樂浪 과帶方 樂浪 과帶方"

Copied!
10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樂浪 과 帶方

(2)

낙 랑 군

[ 연구사 ]

1) 1906년 關野貞 석암동전실묘 발굴

2) 1913년 金西龍이 谷井 낙랑토성 답사, 樂浪禮官 와당과 봉니 발견 治地 비정 3) 191년 關野貞 주도 정백리, 석암리일대 발굴 : 석람리9호분(순금제 교구, 은제 장신구,

동기 다량 출토)

4) 1924∼ 고적조사위원회, 1931∼조선고적연구회(총독부 외곽단체) 주도 : 1931 횡혈식 목실구조 채협종(남정리 116호분), 1932 인장 발견된 정백리 127호분(왕광묘)

5) 1935·1937년 : 조선고적연구회 낙랑토성 발굴 6) 해방후 : 북한한계 주도

- 50∼60년대 낙랑군 평양 존재 인정

- 1963 리지린 고조선연구” 고조선 在요령설 공식화 - 1975 강서 태성리유적 본격 발굴조사

- 1981∼84 낙랑고분 328 발굴

- 90년대 고조선 평양설 회귀 : 副都 개념 도입 [ 연구사 ]

1) 1906년 關野貞 석암동전실묘 발굴

2) 1913년 金西龍이 谷井 낙랑토성 답사, 樂浪禮官 와당과 봉니 발견 治地 비정 3) 191년 關野貞 주도 정백리, 석암리일대 발굴 : 석람리9호분(순금제 교구, 은제 장신구,

동기 다량 출토)

4) 1924∼ 고적조사위원회, 1931∼조선고적연구회(총독부 외곽단체) 주도 : 1931 횡혈식 목실구조 채협종(남정리 116호분), 1932 인장 발견된 정백리 127호분(왕광묘)

5) 1935·1937년 : 조선고적연구회 낙랑토성 발굴 6) 해방후 : 북한한계 주도

- 50∼60년대 낙랑군 평양 존재 인정

- 1963 리지린 고조선연구” 고조선 在요령설 공식화 - 1975 강서 태성리유적 본격 발굴조사

- 1981∼84 낙랑고분 328 발굴

- 90년대 고조선 평양설 회귀 : 副都 개념 도입

(3)

한사군 설치

1. 한사군

낙랑 : BC 108 ~ AD313

진번 : BC 108 ~ BC82 낙랑군에 통합, BC 75 이후 낙랑군남부도위 설치하여 15 중 7 관할하다가 후한 광무제 때(AD 30년) 폐지, 황해도 일대?,

임둔 : BC 108 ~ BC 82년, 현토군에 합쳐졌다 BC 75 무렵 낙랑군에 귀속, 원산만 일대?

현토 : BC 107 ~ BC75(제1현토, 고구려현 일대) => 제2현토(혼하 상류 흥경로성?)

=> 제3현토(무순?)

1. 한사군

낙랑 : BC 108 ~ AD313

진번 : BC 108 ~ BC82 낙랑군에 통합, BC 75 이후 낙랑군남부도위 설치하여 15 중 7 관할하다가 후한 광무제 때(AD 30년) 폐지, 황해도 일대?,

임둔 : BC 108 ~ BC 82년, 현토군에 합쳐졌다 BC 75 무렵 낙랑군에 귀속, 원산만 일대?

현토 : BC 107 ~ BC75(제1현토, 고구려현 일대) => 제2현토(혼하 상류 흥경로성?)

=> 제3현토(무순?)

(4)

*

* 임둔군 임둔군: : 강원도 강원도∼ ∼ 함경남도 함경남도( ( 군치 군치 동이현 동이현: : 강릉 강릉 ) )

1. 군현의 위치 문제

*

* 낙랑군

1) 요동설 : 평양의 중국 문물을 최리의 낙랑국으로 간주(북한 학계 : 고조선의 수도에 낙랑군이 설치되었기 때문에 최근 평양을 고조선 수도로 보는 입장과는 모순적)

2) 평양설

*

* 대방군 대방군: : 서울 서울 or or 황해도설 황해도설

*

* 현토군 현토군: : 第一 第一 - - 함경남도 함경남도・ ・ 압록강 압록강 유역 유역 요령성

요령성∼ ∼ 함경남도 함경남도(( 군치 군치 옥조현 옥조현: : 함흥 함흥) ) 第二

第二 - - 요령성 요령성 신빈현 신빈현

*

* 진번군 진번군: :北在說 北在說・ ・南在說 南在說 남재설

남재설: : 한국 한국 남부지역 남부지역・ ・ 황해도 황해도∼ ∼ 경기도 경기도

(5)
(6)
(7)

秥蟬縣神祠碑

(평남 溫泉郡 城峴里 (평남 용강군 해운면?)

□□年四月戊午秥蟬長□□□

建丞屬國會陵爲衆□□

□□神祠刻石辭曰

平山君德配代嵩承天出□□

□佑秥蟬興甘風雨惠閏土田

□□壽考五穀豊成盜賊不起

□蓋臧出入吉利咸受神光

* 1913 년 9 월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 때 발견

* 높이 151.5㎝, 너비 109㎝, 두께 12.1㎝

* 점제현의 長 이 산신에게 제사 지내는 내용, 점제현이 신 의 도움을 받아 바람과 비가 순조로워 농토가 기름지 고 백성들이 장수하며, 오곡이 풍성하게 익고 도적이 일어나지 않으며, 나들이를 해도 길하여 모두 神光 을 받게 해달라는 내용

* 중국 후한시대인 AD85 년( 원화 2) 경으로 비정

□□年四月戊午秥蟬長□□□

建丞屬國會陵爲衆□□

□□神祠刻石辭曰

平山君德配代嵩承天出□□

□佑秥蟬興甘風雨惠閏土田

□□壽考五穀豊成盜賊不起

□蓋臧出入吉利咸受神光

* 1913 년 9 월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 때 발견

* 높이 151.5㎝, 너비 109㎝, 두께 12.1㎝

* 점제현의 長 이 산신에게 제사 지내는 내용, 점제현이 신 의 도움을 받아 바람과 비가 순조로워 농토가 기름지 고 백성들이 장수하며, 오곡이 풍성하게 익고 도적이 일어나지 않으며, 나들이를 해도 길하여 모두 神光 을 받게 해달라는 내용

* 중국 후한시대인 AD85 년( 원화 2) 경으로 비정

(8)

낙랑토성

(9)

낙랑토성

(10)

낙랑토성

(11)

智塔里土城

(12)

智塔里土城

(13)
(14)

2. 樂浪古墳 의 變遷

평양시 낙랑구역 일대의 고분 분포도

(15)

평양시 낙랑고분군

(16)

평양시 낙랑고분군

(17)

1) 목관묘

①정백동 494호, 토성동 113호등 : 세형동검 관련 청동기부장 무덤과계승관계

②목곽묘등장 이후에도 하위계층 무덤으로선호 : 석혼입계의 화분형토기와소형 타날문단경호 등의 토기류 set 부장 2) 목곽묘

①단장목곽묘

-판재식목곽묘 :: 세형동검등의 청동기류와화분형토기, 타날문단경호 등, 평양 上里, 梨峴里, 토성동 486호목곽묘등 ⇒ 낙랑군 설치이전(위만조선)?

-귀틀 목곽묘(귀틀무덤, 목실묘) : 각재로 곽을만든 것

②합장목곽묘

-이혈합장 : 병혈합장과 순수이혈합장, 대개부부합장묘, 세형동검·화분형토기·異體字銘帶鏡등 부장 BC 1세기 중심 시기 (정백동 37호, 정백동 53호등)

-동혈합장 : 장형이나 장방형의 묘광내부에 복수의목관 안치, 단장이나 이혈합장에비해 묘광규모 크고 모두 귀틀로조립, 목관 3 기이상인경우 목곽내부 구조 고치거나 곽외부에또 다른공간 만들기도함., AD1∼2세기중심 (정백동 2화, 정백동 27호, 석암 리 205호등)

3) 전실묘

①단실묘와 二室墓·側室 달린경우도 있음, 3橫1竪축조가일반적, 중심연대 AD 2∼4세기

② 木蓋천정(나무 천정) 또는목곽 천정이나 벽에 부분적으로전돌 이용하는경우도 :

③ 石蓋천정(돌천정) 또는 벽면 일부 돌로축조 : 낙랑 전실묘가 고구려석실묘로 변해가는 과도기적현상(북한) ⇔ 낙랑지역에 수용 된고구려석실영향으로 나타난일시적현상 (張撫夷墓)

4) 기타 : 옹관묘(합구식 : 타날문단경호+화분형토기), 와관묘, 전곽 1) 목관묘

①정백동 494호, 토성동 113호등 : 세형동검 관련 청동기부장 무덤과계승관계

②목곽묘등장 이후에도 하위계층 무덤으로선호 : 석혼입계의 화분형토기와소형 타날문단경호 등의 토기류 set 부장 2) 목곽묘

①단장목곽묘

-판재식목곽묘 :: 세형동검등의 청동기류와화분형토기, 타날문단경호 등, 평양 上里, 梨峴里, 토성동 486호목곽묘등 ⇒ 낙랑군 설치이전(위만조선)?

-귀틀 목곽묘(귀틀무덤, 목실묘) : 각재로 곽을만든 것

②합장목곽묘

-이혈합장 : 병혈합장과 순수이혈합장, 대개부부합장묘, 세형동검·화분형토기·異體字銘帶鏡등 부장 BC 1세기 중심 시기 (정백동 37호, 정백동 53호등)

-동혈합장 : 장형이나 장방형의 묘광내부에 복수의목관 안치, 단장이나 이혈합장에비해 묘광규모 크고 모두 귀틀로조립, 목관 3 기이상인경우 목곽내부 구조 고치거나 곽외부에또 다른공간 만들기도함., AD1∼2세기중심 (정백동 2화, 정백동 27호, 석암 리 205호등)

3) 전실묘

①단실묘와 二室墓·側室 달린경우도 있음, 3橫1竪축조가일반적, 중심연대 AD 2∼4세기

② 木蓋천정(나무 천정) 또는목곽 천정이나 벽에 부분적으로전돌 이용하는경우도 :

③ 石蓋천정(돌천정) 또는 벽면 일부 돌로축조 : 낙랑 전실묘가 고구려석실묘로 변해가는 과도기적현상(북한) ⇔ 낙랑지역에 수용 된고구려석실영향으로 나타난일시적현상 (張撫夷墓)

4) 기타 : 옹관묘(합구식 : 타날문단경호+화분형토기), 와관묘, 전곽

(18)
(19)

남정리116 호분

( 채협총 : 목곽묘)

(20)

석암리 205 호분(王 우墓, BC1 세기 후반) :

기년명 칠기(廣漢郡, 蜀郡 공방 제작)

(21)
(22)
(23)

전실묘

( 좌 : 평양 장진리 45 호

우 : 평양 도제리 50 호)

(24)

낙랑 전실묘

(25)

1) 1기 : 낙랑분묘맹아기, 목곽묘(단장) 출현(정백동 토취장과상리 등), 세형동검+거마구등의 非漢式청동기+철검과 弩+활석혼입계 화분형토기와니질계소형단경호+星雲文鏡(전한중기) 등 漢式 거 울, 낙랑설치 직후 BC2세기말∼1세기전반

2) 2기 : 단장목곽묘+이혈합장목곽묘가중심, 활석혼입계화분형 토기와니질계 단경호+호·옹등의중대형토기부장시작, 칠기 출 토수증가, 異體字 銘帶鏡 등 전한후기거울, BC1세기후반 [정백 동 2호 永始3년(BC14), 정백동 37호 地節4년(BC66)]

3) 3기 : 낙랑분묘 最盛期. 동혈합장목곽묘위주(정백동 3호분등 의병혈합장묘와정백동 36호분등의단장묘도 존재), 목곽을 전으 로둘러싼 것출현(석암리 6호분), 유물다량부장, 변형화분형토기 (굽) 등장+호·옹에신기종 추가, 方格規矩鏡과 四葉座 內行花文鏡·

獸帶鏡등 漢式 동경출토증가, 칠기 부장확대, AD1세기[석암리 9

호분 居攝3년(AD8), 貞梧洞 1호분 元始5년(AD5)]

4) 4기 : 낙랑분묘 쇠퇴기, 동혈합장목곽묘, 토광묘와 와관묘 등 단장묘(하위계층묘제), 완전한전실묘 출현(石巖洞전실묘는 胴張 구조 2室墓·궁륭형 천정, 석암리 120호분 胴張구조없는 2室墓·목 재덮은수평천정⇒칠기등에서 목곽묘가계층적 상위, 전실묘는 하위계층에서도입), 부뚜막등 토제 明器소수부장, 非漢式청동 거마구소멸, 圓座 內行花文鏡+盤龍鏡+四乳瓦文鏡과 四乳唐草文 鏡(후한후기) 등 공반(漢으로부터거울유입량 감소), AD1세기말

∼2세기[石巖里 205호분(王 ) 永平12년(AD69)]

5) 5기 : 전실묘 성행기, 명기부장 확대(부뚜막, 시루, 案·盤·耳杯등 칠기모방, 車馬具, 소형 木馬·마차), 浮彫式 獸帶鏡+畵文帶 神獸鏡 등후한말∼삼국시대거울, 南井里116호분(彩 塚)·정오동 12호분·

梧野里 19호분등목곽묘(상위계층), AD3세기전반

1) 1기 : 낙랑분묘맹아기, 목곽묘(단장) 출현(정백동 토취장과상리 등), 세형동검+거마구등의 非漢式청동기+철검과 弩+활석혼입계 화분형토기와니질계소형단경호+星雲文鏡(전한중기) 등 漢式 거 울, 낙랑설치 직후 BC2세기말∼1세기전반

2) 2기 : 단장목곽묘+이혈합장목곽묘가중심, 활석혼입계화분형 토기와니질계 단경호+호·옹등의중대형토기부장시작, 칠기 출 토수증가, 異體字 銘帶鏡 등 전한후기거울, BC1세기후반 [정백 동 2호 永始3년(BC14), 정백동 37호 地節4년(BC66)]

3) 3기 : 낙랑분묘 最盛期. 동혈합장목곽묘위주(정백동 3호분등 의병혈합장묘와정백동 36호분등의단장묘도 존재), 목곽을 전으 로둘러싼 것출현(석암리 6호분), 유물다량부장, 변형화분형토기 (굽) 등장+호·옹에신기종 추가, 方格規矩鏡과 四葉座 內行花文鏡·

獸帶鏡등 漢式 동경출토증가, 칠기 부장확대, AD1세기[석암리 9

호분 居攝3년(AD8), 貞梧洞 1호분 元始5년(AD5)]

4) 4기 : 낙랑분묘 쇠퇴기, 동혈합장목곽묘, 토광묘와 와관묘 등 단장묘(하위계층묘제), 완전한전실묘 출현(石巖洞전실묘는 胴張 구조 2室墓·궁륭형 천정, 석암리 120호분 胴張구조없는 2室墓·목 재덮은수평천정⇒칠기등에서 목곽묘가계층적 상위, 전실묘는 하위계층에서도입), 부뚜막등 토제 明器소수부장, 非漢式청동 거마구소멸, 圓座 內行花文鏡+盤龍鏡+四乳瓦文鏡과 四乳唐草文 鏡(후한후기) 등 공반(漢으로부터거울유입량 감소), AD1세기말

∼2세기[石巖里 205호분(王 ) 永平12년(AD69)]

5) 5기 : 전실묘 성행기, 명기부장 확대(부뚜막, 시루, 案·盤·耳杯등 칠기모방, 車馬具, 소형 木馬·마차), 浮彫式 獸帶鏡+畵文帶 神獸鏡 등후한말∼삼국시대거울, 南井里116호분(彩 塚)·정오동 12호분·

梧野里 19호분등목곽묘(상위계층), AD3세기전반

낙랑고분 편년안(高久健二)

(26)

221 221

(27)

북한의 목곽묘 편년( 리순진)

① 1부류 : 단곽묘

a. 장방형 수혈, 두꺼운 판재 또는 각재 사용 (평양 정백동 1·10·24·39·50·70·71·92·97, 평양 락랑동 3·4호, 남포시 태성리 6·8호, 황해남도 은율 운성리 2·3·4호, 신천군 청산 리, 은파군 갈현리, 황주군 순천리·천주리, 봉산군 송산리 1

b. 정백동 92호 : 목곽 270×72×70cm(바닥 270×20×10cm 판재 3매, 남북 장벽 270×20×10cm 판재 3 각각 사용, 동서 단벽 72×20×10cm 판재 3 사용), 목관 190×48×48cm

c. 부장유형

- 1형 : 세형동검·세형동모 + 철창검 + 철부·철착 + 마구·車輿具 + 화분형단지·배부른 단지 (정백동 96호, 부덕리, 갈현리, 운성리 9호)

- 2형 : 철단검·철장검·철모 + 철부·철착 + 마구·車輿具 + 화분형단지·배부른단지 ( 백동 1호:쇠뇌·쇠극·철촉, 정백동 92호, 토성동 4호, 복사리 2호, 태성리 8호)

- 3형 : 환두소도·철장검·철모 + 철부·철착·철겸 + 마구·車輿具 + 화분형단지·배부른단 지·회백색단지·회색단지 (정백동 36·49·80·81호, 태성리 6호, 운성리 4호)

① 1부류 : 단곽묘

a. 장방형 수혈, 두꺼운 판재 또는 각재 사용 (평양 정백동 1·10·24·39·50·70·71·92·97, 평양 락랑동 3·4호, 남포시 태성리 6·8호, 황해남도 은율 운성리 2·3·4호, 신천군 청산 리, 은파군 갈현리, 황주군 순천리·천주리, 봉산군 송산리 1

b. 정백동 92호 : 목곽 270×72×70cm(바닥 270×20×10cm 판재 3매, 남북 장벽 270×20×10cm 판재 3 각각 사용, 동서 단벽 72×20×10cm 판재 3 사용), 목관 190×48×48cm

c. 부장유형

- 1형 : 세형동검·세형동모 + 철창검 + 철부·철착 + 마구·車輿具 + 화분형단지·배부른 단지 (정백동 96호, 부덕리, 갈현리, 운성리 9호)

- 2형 : 철단검·철장검·철모 + 철부·철착 + 마구·車輿具 + 화분형단지·배부른단지 ( 백동 1호:쇠뇌·쇠극·철촉, 정백동 92호, 토성동 4호, 복사리 2호, 태성리 8호)

- 3형 : 환두소도·철장검·철모 + 철부·철착·철겸 + 마구·車輿具 + 화분형단지·배부른단 지·회백색단지·회색단지 (정백동 36·49·80·81호, 태성리 6호, 운성리 4호)

(28)

② 2부류 : 합장목곽묘

a. 배치 : 북남 배치는 북쪽 곽 남자(정백동 37호), 동서 배치는 서쪽 곽 남자 (정백동 3호), 대체로 여자가 깊은 편

b. 異穴, 同穴(정백동 3호), 竝穴(정백동 37호) c. 부장 유형

- 태성리 10호 : 세형동검·세형동모 + 철모 + 철부·철착·철겸 + 거여구·거여 구 + 화분형단지·배부른단지 ⇒ 단곽묘의 1∼2형?

- 정백동 37호 : 환두소도·철단검·철장검·철모 + 철부·철착 + 마구·車輿具 + 화분형단지·배부른단지 + 각종 칠기(귀틀무덤 주로 출토) + 쇠뇌·쇠극·철촉

⇒ 단곽묘의 3형

- 정백동 44·62·79·58·60호, 태성리 7·15호, 운성리5·12호 :

환두소도·철장검·철모 + 철부·철착·철겸 + 마구·車輿具 + 화분형단지·배부 른단지·회백색단지 ⇒ 단곽묘의 3형

② 2부류 : 합장목곽묘

a. 배치 : 북남 배치는 북쪽 곽 남자(정백동 37호), 동서 배치는 서쪽 곽 남자 (정백동 3호), 대체로 여자가 깊은 편

b. 異穴, 同穴(정백동 3호), 竝穴(정백동 37호) c. 부장 유형

- 태성리 10호 : 세형동검·세형동모 + 철모 + 철부·철착·철겸 + 거여구·거여 구 + 화분형단지·배부른단지 ⇒ 단곽묘의 1∼2형?

- 정백동 37호 : 환두소도·철단검·철장검·철모 + 철부·철착 + 마구·車輿具 + 화분형단지·배부른단지 + 각종 칠기(귀틀무덤 주로 출토) + 쇠뇌·쇠극·철촉

⇒ 단곽묘의 3형

- 정백동 44·62·79·58·60호, 태성리 7·15호, 운성리5·12호 :

환두소도·철장검·철모 + 철부·철착·철겸 + 마구·車輿具 + 화분형단지·배부 른단지·회백색단지 ⇒ 단곽묘의 3형

(29)

③ 연대

a. 부장 1 형 [ 목곽묘 1 기] : BC2 세기 후반(BC2 세기 중엽 상한)

- 토광묘 1 형 세형동검+ 청동비수+ 세문경 ( 평양 남형제산, 대동군 반천리) : BC3 세기 후반( 봉산군 솔뫼골 위 석토광묘)

- 토광묘 2 형 세형동검· 세형동모· 동과+ 주조철부 ( 배천군 석산리, 함흥 회상구약 리화동, 북창군 하세동리, 금야군 용산리) : BC2 세기 전반

- 토광묘 2 형보다 철제 도구 늘어나고 車輿具 증가 b. 부장 2 형 [ 목곽묘 2 기] : BC2 세기 말∼1 세기 전반

- 정백동 1 호( 부조예군墓) : 철단검· 철장검· 철모 + 세형동검· 세형동모, 정백동 92 호· 토성동 4 호 보다 이름, 부 조는 영동 지역 ( 낙랑군 설치로 徙民?), BC2 세기 말∼1 세기 초

- 정백동 92 호( 소명경)· 토성동 4 호( 초엽문경) : BC1 세기 전반 c. 부장 3 형 [ 목곽묘 3 기] : BC1 세기 후반

- 정백동 37 호 : 地節4 년(BC66)銘 칠곽, 일광경· 소명경· 연호문경 등 BC1 세기대 동경

- 정백동 2 호( 고상현 墓) : 동혈합장, 초기 귀틀무덤(2 개 기둥 사이에 두고 동서 양쪽에 관 배치- 합장묘 전통), 永始3 년(BC14)銘 양산대 ⇒BC 1 세기말∼AD1 세기 초( 귀틀무덤 상한)

③ 연대

a. 부장 1 형 [ 목곽묘 1 기] : BC2 세기 후반(BC2 세기 중엽 상한)

- 토광묘 1 형 세형동검+ 청동비수+ 세문경 ( 평양 남형제산, 대동군 반천리) : BC3 세기 후반( 봉산군 솔뫼골 위 석토광묘)

- 토광묘 2 형 세형동검· 세형동모· 동과+ 주조철부 ( 배천군 석산리, 함흥 회상구약 리화동, 북창군 하세동리, 금야군 용산리) : BC2 세기 전반

- 토광묘 2 형보다 철제 도구 늘어나고 車輿具 증가 b. 부장 2 형 [ 목곽묘 2 기] : BC2 세기 말∼1 세기 전반

- 정백동 1 호( 부조예군墓) : 철단검· 철장검· 철모 + 세형동검· 세형동모, 정백동 92 호· 토성동 4 호 보다 이름, 부 조는 영동 지역 ( 낙랑군 설치로 徙民?), BC2 세기 말∼1 세기 초

- 정백동 92 호( 소명경)· 토성동 4 호( 초엽문경) : BC1 세기 전반 c. 부장 3 형 [ 목곽묘 3 기] : BC1 세기 후반

- 정백동 37 호 : 地節4 년(BC66)銘 칠곽, 일광경· 소명경· 연호문경 등 BC1 세기대 동경

- 정백동 2 호( 고상현 墓) : 동혈합장, 초기 귀틀무덤(2 개 기둥 사이에 두고 동서 양쪽에 관 배치- 합장묘 전통),

永始3 년(BC14)銘 양산대 ⇒BC 1 세기말∼AD1 세기 초( 귀틀무덤 상한)

(30)

낙랑 Ⅰ 기 (B.C.2 세기 후엽∼1 세기 전엽) => 위만조선과 관련 가능성은??

・ 장방형 단장목곽묘

・ 재지계 평저 화분형토기와 비한식유물 부장

・ 위만조선 시기의 고분 요소 계승

・ 한식유물이 적은 초창기

상리고분( 평양시 은정구역, 위만??)

정백리채토장 일괄유물(평양시 낙랑구역)

(31)

낙랑 Ⅱ 기 (B.C.1 세기 중엽∼ 후엽)

→대낙랑군 성립과 관련

・ 부부합장묘가 출현

평저 화분형토기와

광구단경호가 set 로 부장

・前漢 후기 동경이 부장

・ 한식 유물 많이 부장한 대형 목곽묘 출현→ 발전기

정백동1호분(부조예군묘)(평양시 낙랑구역)

(32)

석암리219호분(왕근묘)(평양시 낙랑구역)

(33)

낙랑 Ⅲ 기 (A.D.1 세기 전엽∼ 중엽)

・ 동혈합장목곽묘가 주류를 이룬다

・ 호 ・ 옹의 부장이 증가

・ 방격규구사신경, 내행화문경 등 후한 전기 동경이 부장

・ 대형 목곽묘가 많이 축조 → 최성기

석암리9호분(평양시 낙랑구역)

(34)

낙랑 Ⅳ 기 (A.D.1 세기 후엽∼2 세기 중엽)

・ 동혈합장목곽묘가 주류이지만, 전실묘가 출현

・ 세선식 수대경, 내행화문경, 반룡경 등 후한 중기 동경이 부장

・ 목곽 규모가 축소되며 한식유물도 감소→ 쇠퇴기

석암리205호분(왕우묘)(평양시 낙랑구역)

(35)

낙랑 Ⅴ 기 (A.D.2 세기 후엽∼3 세기 전엽) → 대방군 설치와 관련

・ 전실묘가 성행하지만, 상위 계층의 고분에서는 여전히 목곽묘 사용

・ 부조식 수대경, 화문대신수경 등 후한 후기 동경이 부장

・ 한식유물이 다시 증가→ 부흥기

남정리116호분(채협총)(평양시 낙랑구역)

(36)

석암리99호분(평양시 낙랑구역)

정백리24호분

(평양시 낙랑구역)

(37)

낙랑 Ⅵ 기 (A.D.3 세기 중엽∼4 세기 중엽) → 낙랑군 멸망기

・ 평양지역에서는 고분수가 감소

・ 황해도지역에서 많은 전실묘가 축조

・ 평양지역에서는 벽돌천정 전실묘, 돌천정 전실묘, 횡혈식 석실묘가 축조

・ 목곽묘는 소멸

벽돌천정 전실묘 돌천정 전실묘

금탄리고분 금봉리고분 동리묘:

永和九年

(A.D.353)

새날리고분:

嘉平四年

(A.D.252)

(38)

3.

3. 낙랑고분의 낙랑고분의 계층 계층 관계 관계

관모

청동제 차축두

철제 차축두

비한식 재갈

한식유물 비한식유물

빗· 비녀

동검

철장검

철모

비한식 재갈

한식 재갈

비한식 차마구

철겸

철착

칠기 인장

(39)

각 group의 묘광·목곽 규모

고분명 묘광면적(㎡) 목곽면적(㎡)

A group

석암리219호분 16 11.16

정백동2호분 10.54 7

석암리257호분 불명 10.24

정백동37호분 13.76 9.9

석암리52호분 불명 15.75

정백리17호분 불명 14.28

정백동88호분 10.26 불명

정백동58호분 8.88 4.69

정백동1호분 불명 불명

정백동62호분 9.51 불명

토성동486호분 7.2 2.16

B group

토성동486호분 7.2 2.16

정백동53호분 10.64 불명

운성리9호분 5.36 3.36

태성리10호분 9.06 불명

운성리1호분 불명 불명

운성리5호분 10.82 6.63

태성리6호분 6.57 불명

C・D group

마장리고분 9.56 불명

운성리5-3호분 8.97 불명

정백동36호분 2.16 불명

갈성리갑분 4.73 4.24

운성리4호분 3.48 1.85

송산리당촌고분 불명 2.3

(40)

각 group의 고분에서 출토된 인장 A

A group

석암리219호분

왕근묘)

정백동2호분

고상현묘)

석암리52호분

왕근신인」

구뉴은인)

부조장인」

동인)

고상현인」

은인)

왕운」

구뉴동인)

B

B group

정백동1호분

부조예군묘)

부조예군」

수뉴은인)

C

C group

정백동36호분

패류사인」

동인)

(41)

Ⅱ기의 고분에서는 한식유물이 상위 계층에, 비한식유물이 하위 계층에 집중한다.

사 회 계 층

상위

한 식 요 소

비 한 식 요 소 저

漢式 度

非 漢式 度 高

高 低

低 社会

階層

上位

下位

楽浪社会構造

낙랑 문화 구조 모델

사 회 계 층

하위

한 식 요 소

비 한 식 요 소

고 漢式

非 漢式 度 高

高 低

低 社会

階層

上位

下位

楽浪社会構造

(42)

4. 낙랑 목곽묘의 변화와 계층 관계

・ 목곽묘의 형식 분류

A 류: 목관을 목곽의 중축선상, 혹은 중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

AⅠ 형식 AⅡ 형식 AⅢ 형식 AⅣ 형식

(43)

A 類木槨墓

석암리219 호분(AⅣ 형식)

정백동389 호분(AⅡ 형식)

(44)

B類: 목관을 목곽의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

0 2

0 2

BⅠ 형식 BⅡ 형식 BⅢ 형식 BⅣ 형식

(45)

B 類木槨墓

정오동5 호분(BⅡ 형식) 정백리127 호분(BⅡ 형식)

(46)

전실묘가 주류를 이룬 Ⅴ 기(3 세기) 에서도 상위 계층은 목곽묘를 사용

0 2

0 2

남정리116호분(채협총)

* 목곽묘는 낙랑 상위 계층을 상징하는 묘제.

중국 한묘와 다른 낙랑 고분의 특징

(47)

니질계 토기 (좌 : 봉산 지탑리토성, 우 : 동해송정동주거지)

[태토차이는제작기법과밀접히관련, 형태와 제작기법은중국 漢代 토기와뚜렷이 구분}

① 泥質系 토기 : 노끈을 감은 내박자와 타날판으로 1 차 성형하며, 이 때 내면에 가로로 이어지는 노끈 압흔 남김( 서북지역에서만 확인), 원통형· 고배형· 완형· 盆形, 시루형 등 일상용기+ 소수 부장용토기( 부뚜막형, 耳杯 등)

② 활석혼입계 토기 : 형뜨기 기법 성형( 原型 에 포를 씌우고 타날 후 조정), 鼎形· 화분형토기 등 취사용기

③ 석영혼입계 백색토기 : 기본형 따로 만들지 않고 1 차 성형단계부터 곧바로 완성된 모양 만들어나감, 호· 옹 등

대부분 중대형 저장용기

(48)

니질계토기

(49)

석영 혼입계토기

(50)

활석 혼입토기 (형뜨기:화분형토기)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樂浪禮官명문

[ 와당]

1) 전국시대 반와당 → 진한교체기 원와당 2) 와당 성형

① 와당면과 수키와 별주 접합, 泥質系와 당 : 각종 문자와 고사리문, 四葉座文 ⇒ 다양한 기법 제작, 제와 공정 정형화수준 비교적 낮음,

② 형뜨기 방법 : 틀에 포를 대고 와당면과 수키와 동시에 만듦, 고사리문만 장식, 특 징적으로 활석 혼입(형뜨기로 만든 화분 형토기 등도 활석혼입) ⇒ 瓦土 제작 동일 공인 집단 추정 가능

3) 樂浪禮官, 四葉座文 와당 등이 古式

[ 와당]

1) 전국시대 반와당 → 진한교체기 원와당 2) 와당 성형

① 와당면과 수키와 별주 접합, 泥質系와 당 : 각종 문자와 고사리문, 四葉座文 ⇒ 다양한 기법 제작, 제와 공정 정형화수준 비교적 낮음,

② 형뜨기 방법 : 틀에 포를 대고 와당면과 수키와 동시에 만듦, 고사리문만 장식, 특 징적으로 활석 혼입(형뜨기로 만든 화분 형토기 등도 활석혼입) ⇒ 瓦土 제작 동일 공인 집단 추정 가능

3) 樂浪禮官, 四葉座文 와당 등이 古式

(61)
(62)
(63)
(64)

송산리1,정백리2,양동리5,송산리1 전평양, 신천군

1) 성형 : 조립식 거푸집 이용 장씩 만듦, 점토 채우고 타날하여 한쪽에서만 승문 타날 2) 종류 : 敷塼(바닥 까는 것, 활석 혼입이 특징). 장방형전(쌓기 전용)

3) 문양 : 기하학문, 능형문

4) 편년 : 장측면 폭/길이 비율 시기 내려올수록 작아져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 ⇒ 시문 공간 작아져 문양 조잡하게 퇴화(문양 복잡→퇴화), 중량 감소로 운반 노동력 절약 (高久健二)

(65)

명문 漆耳杯 ( 정백동 19호분)

1) 종류 : 耳杯, 盒, 盤 案, 皿, 염(화장상자), 협, 偏壺, 향로 등(鼎·鍾 등 청동용기 모 방품 없음)

2) 방법 : 木胎(木心에 칠 바름), 內紵胎(천에 칠을 발라 여러 번 겹쳐 굳힘),

木胎內紵(목심에 포를 덧씌운 다음 칠을 함) ⇒ 낙랑 대부분 확인, 토기 칠한 예도 있음

3) 낙랑지역 (紀年銘)칠기 지금 사천지방인 漢 廣漢郡과 蜀郡 제작품이 주로 유통

(66)

칠반 ( 정백동

127 호분)

(67)

封 泥

1) 행정기관에서 문서나 물건을 보낼 때 진흙으로 봉하고 도장을 찍어 밀봉 2) 200여점 출토, 대부분 낙랑토성 출토, 낙랑 25縣 중 22개현 관련 봉니 (樂浪太守章, 樂浪大尹章 - 위조?)

(68)

청동기

1) 非漢式 : 한국식 세형동검, 車馬具 등

2) 漢式 청동기 : 무기(弩 부속구·동과

·동모·동검·동촉), 용기(銅 ·銅鍾

·銅 : 술 담거나 데우는 용기, 銅 복·銅鼎·銅釜 : 음식물 끓이거나 데움), 銅鏡, 香爐, 銅錢 등 ⇒ 현 지 제작 多(동전 거푸집 발견, 납 동위체 분석 결과 청동기 현지 자체 조달 또는 중국에서 수입한 동과 지금을 합금하여 만듦)

1) 非漢式 : 한국식 세형동검, 車馬具 등

2) 漢式 청동기 : 무기(弩 부속구·동과

·동모·동검·동촉), 용기(銅 ·銅鍾

·銅 : 술 담거나 데우는 용기, 銅 복·銅鼎·銅釜 : 음식물 끓이거나 데움), 銅鏡, 香爐, 銅錢 등 ⇒ 현 지 제작 多(동전 거푸집 발견, 납 동위체 분석 결과 청동기 현지 자체 조달 또는 중국에서 수입한 동과 지금을 합금하여 만듦)

博山爐 (석암리9호분)

(69)

석암리9 호분 : 銅鍾( 좌) 銅鐏( 우)

(70)

弩( 석암리 219 호분)

(71)

성운문경(전평양) 방격규구경(정백리127호) 반룡경(정백리24호)

성운문경(전평양) 방격규구경(정백리127호)

반룡경(정백리24호)

신수경(

전 평양)

(72)

金製 鉸具( 석암리 9 호분)

(73)

금동 곰모양 상다리 ( 석암리9 호분)

(74)

金銅 馬面

( 석암리 219 호분)

(75)

상 : 교구 ( 남정리116 호분) 좌 : 옥류 ( 정백리17 호분,

석암리219 호분)

(76)

<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유적 분포도>

(77)

中部地方 出土 樂浪系 文物

(78)

강릉 교항리유적 동해 송정동유적

영일군 출토

「晉率善穢佰長」獸鈕銅印

양양 가평리유적 명주 안인리유적

강릉 교항리유적 동해 송정동유적

영동지역 출토 낙랑계 유물

(79)

중도식토기의 속성

中島式土器

口緣部 : 斷面 方形 → 外反 → 外反+口緣內面 調整 順 花盆 形土器 와 연동(高久健二 1995)

胴 最大徑 : 中央 → 上位 의 變化 打捺文土器

口緣部(直立→ 外反), 胴體部(偏球形→球形), 肩部 强調→ 둥

근 것), 打捺(繩文→繩文․格子-平行

(80)

한강유역 원삼국시대 토기 편년

(81)

양양가평리주거지(강릉대)

(82)

5.

5. 삼한 삼한·· 예와 예와 낙랑 낙랑·· 대방군과의 대방군과의 교역 교역

변· 진한 고분

편년도

(83)

변· 진한 Ⅰ 기 ・ 위만조선∼ 낙랑Ⅰ 기

(B.C.2세기∼1세기 전엽)

・ 변· 진한에서 철기와 한식유물이 아직 보급되지 않지만, 일부 지역에서 단조 철기가 부장.

・ 영남 각지에서 목관묘를 중심으로 한 집단묘지군이 형성.

변·진한 Ⅰ기의 적석목관묘(팔달동45호분)

(84)

변· 진한 Ⅱ 기 ・ 낙랑 Ⅱ 기

(B.C.1세기 중엽∼후엽)

・ 낙랑군과의 교역을 나타내는 한식유물이 증가

대락랑군의 성립과 관련

변·진한 Ⅱ기의 한식유물

새로운 교역이 시작한

전환기

(85)

경기도 가평군 달전리유적 평양시 정백동81호분(낙랑Ⅱ기)

(86)

・ 삼한에서는 한식유물의 원래 의미가 변용

・ 낙랑 고분은 상위계층에서 한식요소가 많고, 하위계층에서는 적다.

・ 조공( 견사와 하사)

삼한 낙랑

상위

한식유물은 낙랑 상위계층과 삼한 상위계층과의 교섭을 통해서 이동 위세품으로 변화

・ 조공( 견사와 하사)

・ 개별적으로 전파· 의미 변용

사 회 계 층

상위

하위

・ 한식유물이 이동

(87)

・ 낙랑군과의 교섭을 통해서 비한식 유물도 전파

삼한 낙랑

낙랑 Ⅱ 기와 변· 진한 Ⅱ 기의 비한식 유물

(88)

삼한 낙랑

・ 낙랑에서는 상위계층보다 하위계층에서 비한식 요소가 많다.

비한식 유물은 낙랑 하위계층과의 교섭을 통해서 삼한으로 유입

사 회 계 층

상위 한

・ 조공( 견사와 하사)

・ 개별적으로 전파· 의미 변용

・ 한식유물이 이동

・ 이주, 교역 등

・ 체계적인 문화로서 전파

・ 비한식 유물이 이동

* 결과적으로 낙랑군과의 밀접한 교섭에도 불구하고, 문화로서 정착한 것은 한식문화가 아니라 비한식 문화

사 회 계 층

하위 비

한 식

・ 개별적으로 전파· 의미 변용

(89)

변· 진한Ⅴ 기 ・ 낙랑Ⅴ 기

(A.D.2세기 후엽∼3세기 전엽)

・ 삼한 상위 계층의 고분에서 한식유물이 다시 증가

대방군 설치 등 군현의 재편성이 행해지며, 새로운 교섭이 시작 景初二年(238 년) 에 魏 는 낙랑 ・ 대방군을 접수하여 韓 의 수장에 邑君 ・邑 長 의 관직과

인수를 주다(『三國志』魏書 ・ 東夷傳 ・韓條)

변·진한 Ⅴ기의 한식유물

景初二年(238 년) 에 魏 는 낙랑 ・ 대방군을 접수하여 韓 의 수장에 邑君 ・邑 長 의 관직과

인수를 주다(『三國志』魏書 ・ 東夷傳 ・韓條)

・ 한식 유물은 낙랑 상위계층과 삼한 상위계층의 교섭을 통해서 들어왔다

삼한의 한식유물은 의미가 변용

(90)

・ 그러나 환두대도와 같이 삼한에서 생산되어 정착한 한식 유물도 있다.

・ 낙랑군은 하위계층까지 한식화가 진행

하위계층과의 교섭을 통해서 한식유물이 유입

낙랑의 환두대도 (도제리50호분)

삼한의 환두대도

하위계층과의 교섭을 통해서 한식유물이 유입

환두대도를 제작하는

새로운 기술이 도입

(91)

경기도 화성시

기안리유적

(3 세기 전반)

(92)

・ 삼한 각지에서 대형 목곽묘가 축조

영남지역 2 세기 후엽∼3 세기 중엽(Ⅴ 기) 의 목곽묘

양동리235 호

(93)

* 삼한과 낙랑군은 Ⅱ 기와 Ⅴ 기에 밀접한 교섭이 행해졌다

삼한 상위계층은 낙랑고분의 요소, 특히 부장품 조성· 배치 등 장송의례와 관련된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후장묘를 만들었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하여 최상위계층과 하위계층과의 격차가 증대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하여 최상위계층과 하위계층과의 격차가 증대

특히 Ⅱ 기와 Ⅴ 기에 계층적 격차가 급속히 증대

영남지역의 국가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94)

경남 사천시 늑도유적 長崎縣 壹岐市 原の辻(하루노쯔지)유적

(95)

경남 사천시 늑도유적

(96)

낙랑토기

정백동1호분 출토 낙랑토기

늑도유적 출토 유물

彌生時代 중기후반 토기(북부 구주)

四銖半兩錢

〔前漢文帝5年(B.C.175)〕

(97)

長崎縣 壹岐市 原の辻(하루노쯔지)유적

(98)

하루노쯔지유적

(99)

전라도계? 연질토기

낙랑토기

하루노쯔지유적 출토 유물 전라도계? 연질토기

무문토기 와질토기

내행화문경

大泉五十 정백동37호분 출토 화분형토기

五銖錢 한식경

(100)

상감 유리구슬

거마구 한식동촉

거마구

철추 다호리17호분 출토 철추 정백동1호분

출토 동촉 한식동촉

하루노쯔지유적 출토 유물

(101)

하루노쯔지유적 나루터

(102)

장거리 교역

낙랑·대방군

단거리 교역

기안리유적

중거리 교역

송정동· 교항리· 안인리 유적

임당동유적

장거리 교역

집적지

기안리유적

영남지역의 한식유물

일본 福岡 三雲南小路 유적

재분배

일본 大分 尼ヶ城 유적

(103)

1

2 4・5 3

6 7

8

9

10

12 11

청당동5호분

구지로42호분 성동리107호분

1

2 4・5 3

6 7

8

9

10

12 11

한국 출토 마형대구 송대리11호분

양동리384호분 구지로42호분

일본 長野市 淺川端유적

(104)

석암리9호분 출토 금제 용문 대금구 중국 신강위구르자치구 출토 용문 대금구

참조

관련 문서

개선 대상 프로세스를 선정하는 작업은 기존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행.. 그다음에는 선정된 프로세스를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은 주민들의 생활여건 개선에 필수적인 과제들을 추진하고, 지금까지 충분히 조명받지 못했던 농어촌의 가능성과 잠 재력을 되살리는 과제들을

예를 들면, 가난한 사람들은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 대신에 주로 계나 친척을 통해 필요한 돈을 마련함.... 이와 같은 관리기능의 감소는 미래의 이익보다

이환영(2000)은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듣기 지도가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언어 형식을 중요시해 온 문법-번역식(Grammar-Transl ati

이와 같은 적정기술 아이디어를 통해 태양광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독서등과 자외선 살균등을 만들어

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NIH는 RAC(Recombinant DNA Advisory Committee) 과 같은 첨단생명공학(emerging biotechnologies)과 관련한 안전성 이슈와 윤리적 이 슈에

• 젂자적읶 네트워크를 통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완성함으로써 젂자적으로 비즈니스를 하여, 물리적읶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위핚 정보를 대체하는 홗동 (Weill and

American Museum)'과 같은 다른 박물관과 연계하여 학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고 , 전체 박물관 관람객의 33%가 이와 같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