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시장규모 예측

문서에서 (10대 품목) 기술/시장 (페이지 146-196)

이와 같은 배경 하에 신청기술의 수요예측은 2006년경 윈도우 환경의 구 현시기와 맞물려 스마트폰에 우선 장착될 것으로 판단되며, 시장규모는 카메 라 핸드폰이 출현하면서 일반핸드폰을 대체해 나갔던 비율을 적용하여 산출 하였다.

국내에서 출시되는 제품의 경우 이미 카메라 기능 이외에 다른 부가기능 이 더해지면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나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판단 되며, 업계는 이미 윈도우 환경구현에 대비한 연구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즉, 2년 후 카메라폰의 출현이 보여주었던 시장구도의 변화 를 네트워크화 제품들이 대체할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하고 있어 동 일한 비율을 적용하는 것에 무리가 따르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표 2-5> 국내 스마트 폰 시장

(단위 : 천대, 백만원) 구 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CAGR

('01~'06)

스마트폰 1,055 1,687 2,189 3,918 7,013 12,555 79%

신 제 품

장착비율 - - 15% 30% 45% 60%

-총 대 수 - - 329 1,175 3,156 7,533 64%

금 액1) - - 2,303 8,225 22,092 52,731 자 료 : 이동통신 업계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작성

주1) : 필기입력 포인팅장치의 금액임

2006년경, 삼성 등 리딩업계에서 우선적으로 고가의 핸드폰을 중심으로 신 청기술을 장착한 스마트폰을 출시할 것으로 예측되며, 필기입력 포인팅 장치 의 경우 1개당 7,000원 정도의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전제할 경우, 2009년경 500억 원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향후 Post-2G에는 UIM이나 SDR기술로 인해 이용자가 복수의

단말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될 것이며, 이 경우 PAN등으로 다양한 주변장 치와의 통신이 Key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즉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구 현시키고, 보안장치를 갖춘 단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06년 에 WiBro(휴대인터넷), HSDPA, 802.16e 등 다양한 광대역 무선망이 서비스 를 시작하게 되면, 현재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핸드헬드 PC, 스마트 폰, PDA 등 다양한 Device들이 활성화됨에 따라, 포인팅 장치가 필요할 것 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음성인식 기술, 인공 지능, 가상 현실 등을 활용한 기술로 User Interface가 구현되는 경우에는 포인팅 장치의 필요성은 그만큼 감소할 수 있 으며,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스마트폰에의 적용만을 기준으로 시장 수 요를 예측하였다.

제 1 장 기술동향 분석

제 1 절 기술 개요

1. 개념 및 특성

일반적으로 안전, 보건, 환경의 영역을 관리하고 다루는 것을 EHS(Environ -ment, Health, Safety), HSE(Health, Safety, Environment) 등으로 칭하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중요시되어 각 기업 혹은 단체에서 중점관리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경영관리 시스템의 일부로 도입되고 있는 추세 이다.

EHS시스템은 환경, 보건, 안전에 관한 데이터를 모니터링, 수집, 저장하여 현장 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재해 발생시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생산 제품의 품질 향상에 최대한 기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경영관리시스템이다.

이는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각종 데이 터 및 정보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Database를 구축하 고, 적절한 적용업무시스템의 개발을 통하여 EHS 업무의 제반사항을 신속, 정확 하게 처리하여 주는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넓은 의미로는 EHS 관리시스템 은 국가, 공공, 기업에서 발생하는 모든 환경, 안전, 보건에 관한 정보를 컴퓨터의 도움으로 관리, 통제를 발전시킨다는 개념으로 볼 수도 있다.

특히 EHS 관리에서 보건, 안전 영역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필수적인 시 스템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라 하며 이는 기업이 산업재해 예방과 쾌적한 작 업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모든 조직원 및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근로자, 하청업자 및 방문자의 안전 및 보건의 유지, 증진을 위하여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 기 위하여 조직, 책임, 절차를 규정(문서화)하여 조직내 물적, 인적자원을 효율적 으로 배분하여 조직적으로 관리하는 경영시스템을 말한다.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사업주가 자율경영방침에 안전보건정책을 반영 하고, 이에 대한 세부 실행지침과 기준을 규정화하여, 주기적으로 안전보건계획에

대한 실행 결과를 자체평가 후 개선토록 하는 등 재해예방과 기업 손실감소 활동 을 체계적으로 추진토록 하기 위한 자율안전보건체계를 말함“.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국내는 물론 영국,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초 기에는 제도와 규제에 의한 수동적 접근방식과 함께 기술적인 방식으로 산업재해 를 꾸준히 감소시켜 왔지만, <그림 1-1>과 같이 사망재해 등 중대재해는 오히려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안전보건에 대한 노력의 결과 로 전체적인 재해율은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사업장에는 잠재된 위험요인 (Hazard)및 위험성(Risk)이 존재하고 있다.

<그림 1-1> 우리나라 재해율과 사망만인율의 변화

자료 : 대한산업안전협회

이러한 잠재적 위험성은 산업재해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전에 위험 성 평가를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안에서 안전보건을 다른 경영기능들과 통합하 여 관리하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영국을 시작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영국의 HSE(산업안전보건청)와 DNV Korea에서 연구 조사한 결과 지속적인 재해율 절감

근방안이 지속적으로 재해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그림 2-2>와 같 이 얻게 되었다.1) 이에 따라 1991년에는 안전보건에 관한 경영 시스템적 접근방식 인 성공적인 안전보건경영(Successful Health & Safety Management)이라는 HS(G)65지침(guide)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1992년도에는 위험성평가에 관한 사업 장 안전보건경영규정(management of Health & Safety at Work Regulation, 1992) 을 제정하게 되었다.

<그림 1-2> 안전보건 개선의 단계 및 국내외 기업 관리 현황

안전보건관리의 경영시스템에로 이행 결과를 영국 산업안전보건청(HSE)에서 조사 분석한 결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실행하고 있는 기업에서 시행 초기에는 재해율 감소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목표인 지속적인 위험 성관리를 통해 <그림1-3>과 같이 재해율이 3년이 지난 후에 서서히 감소됨을 입 증하게 되었다.2)

1) American Industrial Hygiene Conference, "International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Symposium" , HSE

2) American Industrial Hygiene Conference, " International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Symposium" , HSE

<그림 1-3>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실행결과

또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필요성은 위의 <그림 1-2>와 같은 재해율 감소는 물론 기업의 가치제고를 위한 각종 규제 및 법규에 대한 자발적 대응, 기업의 글 로벌화에 따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연장으로서의 안 전에 대한 고려, 산업재해에 대한 각종 소소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대응, 지속적 인 개선을 위한 측정 및 모니터링, 기업인의 의무, 글로벌 대중관계, 이해자 집단 (NGO)에 대한 책임 등에 따라 그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1978년 DNV의 ISRS 시스템평가도구 1st Edition, 1996년 영국 표준협 회(BSI)의 BS 8800, 1999년 DNV를 비롯한 국제적 인증기관들의 OHSAS 18001 (Occupational Health & Safety Assessment Series) 등 국가나 인증기관들이 각각 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개발 도입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1999년 산업안전 공단의 KOSHA2000(2003년 KOSHA 18001로 개정), 2001년도 한국인정원의 K-OHSMS 18001, 한국가스안전공사의 KSG 18001이라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개발 보급하고 있다.

이러하듯 세계 각국이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을 유 도 권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증시스템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각 기업체에서는 사용목적에 맞는 안전경영시스템의 경영관리 시스템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 국내외 안전보건 시스템

<표 1-1> 각 국의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비교

일반적 규격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평가 및 인증 목적의 안전보건경영정보시스템 을 필요로 하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검토된 OHSAS 1800과 K-OSHSMS규격이 현시점에서 국제적으로 또는 시장에서 현실적으로 사용되는 가장 사실상(de facto) 규격과 공인(de jure)규격으로 사실상 규격에 해당된다. 이 두 규격의 시스템적 접근 방안은 아래의 그림과 같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안전보 건경영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다.

<그림 1-4>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구축 접근 방안

일반적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영역을 관리한다.

1) 안전관리

■ 시설관리 : 배관 및 개스킷 사양, 안전밸브 및 파열판 사양, 공정별 대기, 수 질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정보

■ 작업환경측정 : 작업공정별 유해요인 실태표, 작업환경측정결과 작성

■ 안전운전절차/시운전전 검토 ; PLANT별, 공정별 안전운전 및 시험운전 점 검사항 체크

■ 위험성관리 ; 정성적 위험성 평가, 정량적 위험성 평가

■ 사고관리 ; 물질별, 업체별, 연도별 사고사례 관리

2) 보건

■ 근로자 건강관리 ; 건강진단관리, 건강진단결과 설명, 직업병관리, 질병유소견 자관리, 만성질환자관리

■ 건강상담 및 건강증진 ; 질병조기발견, 질병자 및 유소견자 지도, 건강생활의 실천에 관한 지도, 질명의 예방에 관한 지도, 영양 및 식생활에 관한 지도

■ 보건교육 ; 근로자 정기보건교육, 관리감독자 정기 보건교육, 채용 시 및 작 업내용 변경 시 교육, 특별 보건교육대상 작업별 교육

■ 응급처치관리 ; 사업장 특성에 맞는 응급관리체계 수립

■ 응급처치관리 ; 사업장 특성에 맞는 응급관리체계 수립

문서에서 (10대 품목) 기술/시장 (페이지 146-19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