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금까지 우리철학 총서의 유교분야 연구내용을 정리해보았다. 각 연구 들은 아직 진행 중이며 기집필분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보완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근대전환기 전통철학을 고찰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 째는 그 당시에 이미 전통철학과 외래철학의 우리철학화가 시도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동안 근래 가장 변화무쌍했던 시기에 이러한 시도 가 있었다는 점을 간과해왔다. 우리철학 총서에서는 현대학자들이 이를 의 미있는 선례로 검토할 수 있도록 면밀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둘째는 진정한 우리철학이 부재함을 고민하게 된 현 상황의 근본적 원인 또한 상당부분 근대전환기로부터 소급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는 근대기 우리철학화의 시도가 어떤 이유로 단절 혹은 좌절되어 여기에 이르게 되었 는가를 검토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이 문제를 탐구하면서 동시에 과거로부터 연속되지 못한 우리철학의 빈 공간을 채워가는 작업의

일환이다. 본 연구의 유교분야에서 현재까지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리의 철학’은 선행연구에서 일부분만 진행해왔던 호락논변의 남은 퍼즐 을 맞추기 위해, 200여 년간 진행된 호락논변의 전개와 변용을 주요 학자들 의 학설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검토하고자 하였다. 호락논변은 사람과 타 존재의 본성과 미발심(未發心)에 대한 학설 대립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논의가 진행되면서 점차 호론과 낙론을 종합 지양하는 학설과 호락논변을 재정리하며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학설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아울러 서학 의 영향 속에서 새로운 인물성론을 제기하는 학자들도 등장하였다. ‘리의 철학’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부진하였던 근대전환기의 호락논변을 폭넓게 검토하고 있다. 향후 호락논변의 전개 과정에서 드러나는 근대적 가치를 지 속적으로 탐색해 나갈 것이다.

‘심의 철학’은 조선의 양명학 수용자들 가운데 후기 하곡학파의 사상과 실천을 살펴보았다. 후기 하곡학파는 개인 수양 중심의 실심실학에서 사회 비판이론을 포함한 일진무가의 실학으로 확장되고 1930년대 조선학 운동 을 주도하였다. 이후로는 하곡학파 이외에도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근대 기 양명학 수용자들을 발굴․정리할 것이다.

‘기의 철학’에서는 홍대용․이규경․최한기의 기 철학이 전통 철학 가운데 이단시되었던 양명학, 노장학을 매개로 서양과학과 철학을 변용하여 현실에 접목 가능한 기 철학을 구상했음을 밝혔다. 이들은 때로는 서양의 신(神)관념 과 사원소설 등을 비판하고 때로는 전통적인 음양오행론과 형이상학적 요소 를 부정하면서 주체적이고 독창적인 기 철학 체계를 수립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기 철학의 현실대응 논리와 현대적 적용에 대해 좀 더 심도 깊은 검토를 진행할 것이다.

‘실의 철학’은 먼저 특정 학문 사조를 지칭해왔던 ‘실학’이 본래 전통 유 교철학, 특히 조선 성리학에서 출발함을 확인했다. 유교적 가치의 계승으로 서 현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를 고민한 ‘실의 철학’은 1920년대 등장한

‘실학’보다 상위 개념이었다. 서구문명화의 치중했던 ‘실의 철학’은 을사늑 약과 한일합병을 거치면서 서구문물을 수용하면서도 국가공체와 민족공동 체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이후에는 ‘실’의 기준과 그 변화에 대 한 당시 지식인들의 관점을 연구할 것이다.

지금까지 정리한 바와 같이 근대전환기 유교에서 현실문제 타개의 관건 으로 다루는 개념과 사상은 분야별로 각기 다르다. 그러나 전통사상의 계승 과 변용을 통해 새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보편성을 획득함과 동시에 우리 의 주체적인 각성과 실천을 강조한 것은 공통된 지점이다. 현실변화에 대응 하는 이러한 태도는 현대에도 매우 유효하다. 실용과 실업을 중시하는 물질 주의적 풍토는 근대 이래 자본주의 발달과 더불어 지속되고 있으며, 현대사 회의 첨단 기술 발전과 함께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가까운 미래 사 회는 인간 사회의 모든 조직과 환경체제가 인공지능발달에 맞추어 변화하 고 연결되는 전대미문의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한다. 그러나 전혀 경험하 지 못한 새로운 시대라 할지라도, 그것은 우리가 이제껏 경험하고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 속에 편입되는 것이기에 현재의 문제해결이 우선 과 제가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지금까지 해온 바와 같이 공공성, 민주주의, 인권, 복지 등에 대한 고민과 우리철학을 발전시키는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 다. 그리고 이러한 바탕 위에서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과 실용을 근본적으로 성찰하고 제어할 수 있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철학의 연 속성을 다시 회복하고 발전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가올 현실 변 화에 대한 주체적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데도 일조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원전류 뺷南塘集뺸 뺷湛軒書뺸 뺷巍巖遺稿뺸 뺷孟子要義뺸 뺷壺山集뺸 뺷霞谷集뺸 뺷考亭人物性考뺸 뺷五洲衍文長箋散稿뺸 뺷人政뺸

뺷明美堂集集뺸 뺷蘭谷存稿뺸 뺷邦禮草本뺸 뺷薝園鄭寅普全集뺸 뺷白巖朴殷植全集뺸 뺷天主實義뺸 뺷靈言蠡勺뺸

2. 근대매체류 뺷漢城旬報뺸 뺷大韓每日申報뺸 뺷韓國學報뺸 뺷海東佛報뺸

3. 단행본류

裵宗鎬, 뺷한국유학의 철학적 전개(下)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5, 64면.

시마다 겐지 저, 뺷주자학과 양명학뺸, 김석근․이근우 옮김, 까치, 1991.

劉明鍾, 뺷한국유학연구뺸, 이문출판사, 1998.

이종란, 뺷의산문답뺸, 한설연, 2017.

______, 뺷기란 무엇인가뺸, 새문사, 2017.

알폰소 바뇨니 저, 뺷공제격치뺸, 이종란 옮김, 한길사, 2012.

최한기 저, 뺷운화측험뺸, 이종란 옮김, 한길사, 2014.

홍정근, 뺷호락논쟁의 본질과 임성주의 철학사상뺸, 한국연구원, 2007.

4. 논문류

김윤경, 「정인보 ‘조선얼’의 정체성」, 뺷양명학뺸 제45호, 한국양명학회, 2016.

______, 「정인보와 장병린의 주체론 비교」, 뺷인문학연구뺸 제52집, 조선대학교 인 문학연구원, 2016.

______, 「근대기 현실인식 및 개혁에 관한 불교와 하곡학의 교섭」, 뺷인문학연구뺸 제54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______, 「후기 하곡학파의 眞假論과 實學」, 뺷유학연구뺸 제42집, 충남대학교 유학 연구소, 2018.

문석윤, 뺷朝鮮 後期 湖洛論辨의 成立史 硏究뺸,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5.

유봉학, 「18~19세기 연암파 북학사상의 연구」, 서울대박사학위논문, 1993.

이경구, 「개념사와 내재적 발전: ‘실학’ 개념을 중심으로」, 뺷역사학보뺸 제213집, 2012.

______, 「특집 근대전환기 개념의 운동과 변주 : 19세기 말∼20세기 초 한, 중, 일 삼국의 실학개념」, 뺷개념과소통뺸 제15호,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5.

李楠永, 「호락논쟁의 철학사적 의의」, 뺷동양문화 국제학술회의 논문집뺸 第二回,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80.

이종란, 「기독교철학에 대한 최한기의 비판적 수용」, 뺷인문학연구뺸 제52집, 조선 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조성산, 「18세기 호락논쟁과 노론 사상계의 분화」, 뺷한국사상사학뺸 제8호, 1997.

최영진, 「茶山 人性․物性論의 사상사적 위상」, 뺷哲學뺸 제68집, 2001.

Abstract

Reflection and Prospect on Korean Confucianism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Focused on a series of Woori Philosophy

-74)Kim, Yun-kyeong*ㆍHong, Jung-geun**

ㆍLee, Jong-lan***ㆍKim, Hyon-woo****

This thesis is a summary of the mid-results of the interim study, "Woori Philosophy, How do we study it?" of the Confucianism field of Woori Philosophy Institute, Chosun University. In the field of Confucianism, we studied the theoretical assumption, the change, and the practical question of each, by subdividing into ① the philosophy of Li(), ② the philosophy of Sin(), ③ the philosophy of Gi(), and ④ the philosophy of Sil().

The philosophy of Li studied deeply about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late Ho-Rak theory(湖洛論辨)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in previous studies. The theory was originally born out of difference in perspectives on human and animal, but in the late period, it became a new theory that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wo, focusing on the synthesis of the two schools. We will continue to explore the modern values contained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Ho-Rak theory.

The philosophy of Sim examined the later thought and practice of the Hagok school(霞谷學派) of the Yangming school(陽明學) of Joseon. The late Hogok school expanded the realist school(實學) included social criticism, and led the movement of Chosun Studies(朝鮮學) in the 1930s. In addition to the Hagok school, we also search for and sort out the modern Yangming scholars who have not been known.

* Institute of Humanities, Chosun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 General department, Seoil University, Lecturer

*** Institute of Woori Philosophy, Chosun University, Researcher

**** Institute of Humanities, Chosun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The philosophy of Gi studied philosophy such as Hong Dae-yong(洪大容), Lee Gyu-Gyeong(李圭景), and Choi Han-gi(崔漢綺), which received and accepted the West School(西學) which was valued as a heretic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 They denied the idea of worship in the West and the theory of traditional pentagram, and instead established a fundamental and philosophy of Gi. In this study, we will proceed with a deeper examination of the philosophy of Gi and its contemporary application.

In the philosophy of Sil, we first clarifi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Silhak(實學) and the original Silhak(實學). Silhak have come out in Moderation(中庸) and do not simply mean science technology.

In this study, we criticized the current "practice" or “reality” concept known only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lained the development of philosophy of Sil, which criticizing blind Western acceptance in modern times and giving priority to the nation and the people. we will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Silhak and the view of the nation after the 1920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each field are different, but it is the same as that which emphasized Korea's subjective awakening and fulfillment in the modern period through the inheritance and change of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e philosophical works to deal with the actual change is very effective in modern times.

Key Words : Korea philosophy, the philosophy of Li(理), the philosophy of Sin(心), the philosophy of Gi(氣), the philosophy of Sil(實), the Ho-Rak theory(湖洛論辨), Chosun Studies(朝鮮學), West School(西學), Silhak(實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