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금연프로그램 시작 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5-98)

프로그램 시작 전에는 운영 관계자 중에서도 특히 교육청과 학교의 역할

이 중요하다. 현재 중・고등학교는 금연프로그램을 운영함에 있어 외부 강사 에 대한 요구가 높기 때문에 교육청은 학교에서 금연프로그램을 진행할 전 문 상담사를 선발하여 학교에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학생 대상 초점집단토 의에서 일부 학생들은 상담사의 프로그램 진행 태도나 금연과 무관한 프로 그램 내용에 대해 불만을 드러냈다. 뿐만 아니라 학교의 금연교육 담당 교 사들은 과중한 업무로 인해 교내에서 금연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하지 못해 외부 강사에게 의뢰하고자 하여도 외부강사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여 이들 을 신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김수경, 2017). 건강관련 상담의 수행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 프로그램의 내용뿐만 아니라 상담사의 상담 능력에 대 한 확신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Kristina, Thavomcharoensap, Pongcharoensuk, & Prabandari, 2007) 금연프로그램이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담사 선발과정에서 그들의 전문성을 검증하는 과정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초점집단토의 결과 흡연 학생들은 이미 학교에서 부정적 인 피드백을 많이 받아왔고 강제적인 참여로 인해 폐쇄적 태도나 불만을 가 지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학교 교사들도 흡연 학생의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 해 관리가 힘들고 많은 에너지와 기술을 요구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김수 경, 2017). 따라서 학교 금연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상담사는 능숙한 프로그램 운영 능력뿐만 아니라 청소년 금연에 대한 전문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교육청은 금연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고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담사들이 현장에서 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된 금연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현재 교 육청에서는 END 교재와 동영상을 상담사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나 END 교 재는 교육 현장에서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향후 금연프로그 램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서는 END 교재의 단점을 보완한 금연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Dalum 등(2012)의 연구에 의하면 청소년 금

연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가 엇갈리고는 있으나 대체로 인지행동이 론에 근거한 중재 프로그램의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한다. 따라서 새로 운 금연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점을 반영하되 흡연청소년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중재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초점집단토의 결과 현재 학교의 담당교사는 금연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진행자는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학교 담당자와의 협 조나 조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장미란(2015)의 연구에서 는 학교흡연예방교육의 문제점으로 학교의 업무 담당자를 위한 연수 교육 이 부재하다는 문제가 드러났다. 따라서 교육청은 금연프로그램 운영 전반 에 대한 정보가 담긴 매뉴얼을 학교에 제공하여 학교 담당 교사에게 학교 흡연예방 및 금연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 운영주체들 간의 소통과 상호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금연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학교는 원활한 금연프로그램 진행을 위해 프로그램 시작 전 학교 금연사 업 운영 체계를 마련하고 프로그램을 일관적으로 운영할 담당자를 선정해 야 할 것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학교 담당 교사는 금연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흡연 학생에 대해 무관심한 것이 문제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금연프로그램의 효과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의무감에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문제가 있었다(김수경, 2017). 따라서 금연프로그램에 대한 학교 담당 교사의 이해를 높이고 흡연학생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기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학교에서 운영되는 금연프로그램은 참여 학생을 모집 시 대부분 흡연이 적발된 학생을 강제적 으로 참여시키는 경우가 많아 흡연 학생들이 금연 동기가 미처 형성되지 못한 채 프로그램을 시작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학 교 기반 금연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참여 학생 모집 방법에도 변화

가 있어야 할 것이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