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논문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도입으로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된 사진의 주 요 쟁점들을 오늘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자 한다. 사진의 수정, 조작 이 일반화되면서 아날로그 시대의 사진이론을 지배했던 개념들은 점차 실효성을 잃어가고 있다. 아날로그 시대의 사진이 ‘도큐먼트’, ‘기록’, ‘실재’, ‘흔적’과 같은 개념에 의지하고 있었다면, 디지털 시대의 사진은 ‘시물라크룸’, ‘허구’, ‘가상’과 같 은 전혀 상반된 개념들로 설명된다. 즉 시물라크룸으로 가득 찬 포스트 포토그래 피의 시대에 사진은 더 이상 현실의 흔적이라는 ‘고전적’ 지위를 갖지 못한다. 그 에 따라 사진이론의 주요 쟁점들도 불가피하게 수정을 요청받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사진 논의를 주도적으로 이끌었던 지표이론이 그 중심에 있다. 지표이론은 사진의 ‘존재론’과 맞물려 아날로그 시대의 사진이론을 지배해 왔지만 분명한 한 계 또한 갖고 있다.

지표이론을 수정해야 한다는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진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관점으로 여기에서 지표이 론은 여전히 부분적으로 유효하다. 둘째, 디지털 사진은 아날로그 사진과 생성 원 리 자체가 다르다는 입장으로, 그에 따르면 지표 패러다임은 시대착오적이다. 원 칙적으로 아날로그는 유사(연속성), 디지털은 차이(불연속성)를 이미지 생산의 원 리로 삼고 있다. 아날로그 사진이 실재의 흔적인 데 비해 디지털 사진이 실재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관점은 이 원리에 의지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유사도 차이도 동일성을 갖지 못한다. 그것이 모든 사진 이미지(아날로그, 디지털)의 속 성이다.

지표이론은 ‘전통적인’ 사진의 특수성을 규정하고자 하는 강박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러나 사진은 생성의 관점에서 지표성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지표기호와 동일시될 수 없으며 이미지의 속성 또한 함께 갖고 있다. 포스트 포토그래피의 시물라크룸이 아날로그 사진에도 있었던 이유는 그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테 크놀로지가 열어놓은 허구성이 사진 이미지의 세계에서 ‘본질적으로’ 새롭다고 할

수 없다. 그 변화를 낯설게 받아들이는 이유는 오히려 사진의 ‘존재론’에 대한 집 착이 만들어 놓았던 편향성 탓이다. 따라서 우리는 바쟁의 통찰력 있는 사고를 차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사진의 발명으로 회화가 리얼리즘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났다면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도입으로 사진은 지표성(증명과 기록) 에 대한 강박으로부터 해방됐다고.

핵심어

로잘린드 크라우스, 롤랑 바르트, 시물라크룸, 앙드레 바쟁, 지표, 필립 뒤부 아, 흔적

ABSTRACT

Index Paradigm and Modification Theory in Post-photography

Pyung-Jong Park*6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in issues of photography regarding digital technology. If the photography in the analog era depends on the concept of ‘document’, ‘record’, ‘reel’, ‘trace’, etc., the photo in the digital era is explained by the concept of ‘simulacrum’, ‘fiction’, ‘virtuality’, etc. We know that these concepts are incompatibles. So, the photograph don't have the classic position of trace of reel in the digital era so-called ‘post-photography’.

Accordingly, main questions of theory of photography require a modification.

The core is the theory of index that led the discussion about photography since 1980'. This theory was, in fact, predominant in the analog ara, but has a apparent limit.

There is two viewpoints which admit this limit : the one accept partially the theory of index. According to this, digital photo is not different,

‘intrinsically’, from analog photo. The other that admit a fundamental difference of both sides call for revision of index paradigm. In principle, analog is continuous(resemblance), digital is discontinuous(difference). But, resemblance and difference are, ultimately, not sameness. That is inherent quality of all

* Lecture Professor, Chung-Ang University

photographic image(analog, digital).

The theory of index had a compulsive impulse to determine the specificity of photography. But, even if a photograph has some characteristic of index, it can not be identified to index. Rather it has various characteristic of image. Thus simulacrum of post-photography is not originally new. Therefore, we can suggest, according to the thought of Bazin, as follows : if the painting is liberated from compulsion of realism by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the photography is liberated from compulsion of index by digital technology.

Key Words

André Bazin, index, Philippe Dubois, Roland Barthes, Rosalind Krauss, simulacrum, trac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