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교육과정 4.성과

3. 교육 과정

■ 평가 결과

■ 평가 분석

○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의 목적에 맞게 각 학과, 전공에서 교과목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 수요에 맞게 매 학기 회의를 통해 신규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음

○ 이러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재학생의 만족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계획을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음

○ 비교과 교육과정의 운영이 일부 학과에서는 모범적으로 매우 우수하게 운영되고 있지만, 전체적인 학과에서 고르게 운영되고 있지 않아 적합이라고 평가하였음

○ 대학원의 모든 학과에서 비교과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지는 않지만, 학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의 일부 학과에서는 비교과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음

○ 일반대학원에서는 재학생들의 연구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술제에 참석하여 발표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역의 초중고에 방문하여 진로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써 연구 역량 및 실무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음

구분 매우 우수 우수 적합 보완 요망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계획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계획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실적

학생 성폭력•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51

○ 글로벌대학원의 상담심리치료학과에서는 매년 학술제와 임상실습사례발표회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연구 및 실무역량을 키우고 있으며, 참여 학생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

○ 특수대학원의 경우 학과별로 소수의 학생들이 야간에 수업만을 목적으로 입학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학생지도체계를 구축ㆍ운영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지도체제가 마련될 필요는 충분하지만 현 여건상 공식적인 체제마련에는 어려움이 있음

○ 현재 주임교수를 통해 학과의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이 전달되고 있어 적합으로 평가하였음

○ 2018년도에 처음 실시되었지만, 향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기 때문에 적합으로 판정하였음

○ 대부분 특수대학원의 학생들로 주1~2일 출석하여 수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 학과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더라도 일부 학과의 학생들만 참석할 수 있는 상황임

■ 개선방향

○ 특이사항 없이 현 운영체계 대로 교육 수요에 맞는 새로운 교육 과정 개설 요청 및 신규 교과목 회의를 통해 승인 후 교과목 개설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이 유지되어야 할 것임

○ 대학원의 모든 학과, 전공에서 대학원생들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공에 부합하는 비교과 교육과정을 신설, 운영해야 할 것임

- 일반대학원생들의 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논문작성법 특강, 영어논문작성법 특강 등 기획이 요구됨

- 대학원 전공별 팀워크 증진 및 연구ㆍ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워크숍 등 기획이 요구됨

○ 대학원 각 전공에 적합한 학생지도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 원우회조직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면 SNS를 활용한 단체 채팅방을 공식적으로 만들어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겠음

○ 학기별 1회 이상의 전공 간담회를 통해 학과 전체적인 욕구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마련하고, 개인별 애로사항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개인 상담 시간을 마련함

○ 상ㆍ하반기로 나누어 년 2회 실시하고, 학과별로 수업일이 다르므로 요일을 달리 실시하여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임

53 4. 성과

■ 평가 결과

■ 평가 분석

○ 입학정원이 많은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의 신입생 충원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신입생 충원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도입되어야 함

○ 중도탈락 비율은 인근 경쟁 대학과 비교하여 현재까지는 심각하지 않으나, 연도별 중도탈락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대학원 재학생 증가를 위해 중도탈락 학생 감소를 위한 정책이 필요함

○ 인근 경쟁대학 3개 대학원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비율

연도 신입생 충원율 중도탈락 학생비율

2017 96.1 6.33

2018 90.87 13.37

○ 분야별 만족도는 교육강사 4.76, 대학인식 4.48, 행정 4.36, 진로지도 4.25, 교육지원 4.16, 시설 3.87 순으로 나타남

○ 시설에 대한 총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중 도서관(3.57)과 편의시설(3.72)이 가장 낮게 나타남

방법

구분

경쟁대학 3개 대학원의 평균값 대비

매우 우수 우수 적합 보완 요망

신입생 충원율

중도탈락 학생비율

재학생 만족도

환류 노력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