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관광 DNA 변화와 新관광의 등장 12)

문서에서 제 출 문 (페이지 59-62)

▍ 관광 DNA 변화

m 관광산업의 융합화에 따라 미래의 관광은 현재와는 다른 특성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며, 관광객, 관광자원, 관광시장, 성장동력, 정부역할 등 관광 DNA 변화 측면에서 설명됨.

m 관광객은 수동적 관광객에서 능동적 관광객, 창조적 관광객으로 변화하여 스스로 창조성을 발휘하며 주체적으로 관광상품을 생산하고 관광시장을 창출하는 공급자로 전환되고 있음.

m 관광자원은 노동, 하드웨어, 자본 등 요소투입형 관광성장 모델에서 지식, 콘텐츠, 기술 등 창조형 관광자원으로 전환되고, 관광시장은 대규모 관광에서 소규모 그룹, 개별관광, 틈새관광시장으로 확대되고 있음.

m 성장동력은 물리적 자본 중심에서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정부 역할은 탑다운형 공급자와 촉매자에서 오그웨어형(orgware), 파트너십 등 협력적 특성이 고려된 추진체계 설정이 요구되고 있음.

구성요소 현재 미래

관광객 수동적 관광객 창조적 관광객

관광자원 유형, 하드웨어 무형, 관광콘텐츠

관광시장 대규모 관광 + 소수 개별관광 소규모 그룹 + 개별관광 + 틈새관광

성장동력 물리적 자본 인적 자본 + 사회적 자본

정부역할 탑다운형 공급자, 촉매자 오그웨어형, 파트너십 형성

자료 : 안희자·심원섭(2013), 창조경제시대 산업간 융합을 통한 관광산업 발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162

<표 Ⅰ-24> 관광 DNA 변화

▍ 3세대 관광개념으로서 창조관광 등장

m 창조산업과 경험경제의 성장, 창조계급의 등장 등 외부 환경과 관광 DNA 등 내부 환경의 변화와 함께 3세대 관광개념으로서 창조관광(Creative Tourism)에 대한 논의가 등장함.

m 창조관광은 지역 고유 자산과 문화적 다양성을 중시하고, 관광객의 능동적 참여와 진정 성 경험, 관광활동 참여 과정에서의 창조성과 성취가 강조된다는 점에서 1세대의 대중관 광, 2세대 문화관광과 구별됨.

­ 대규모 개발과 도시관광을 중심으로 하는 1세대 대중관광은 관광개발의 문제점과 관광 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확대됨에 따라 문화관광 세대로 전환

­ 소규모 개발, 전통문화 및 역사가 중시되고, 문화・유산시설 방문이 중심이 되었던 2세

12) 이하 내용은 안희자·심원섭(2013)의 창조경제시대 산업간 융합을 통한 관광산업 발전방안, 김형곤(2013)의 창조관 광의 개념과 전략, Creative Cities Network(en.unesco.org/creative-cities), Richards & Wilson(2006)의 Developing creativity in tourist experiences: A solution to the serial reproduction of culture?, 심진범·김지선 (2014)의 도시재생과 연계한 융합관광 육성방안 연구 : 인천 개항창조도시를 중심으로를 참조하여 작성함.

대 문화관광은 경험의 정형화, 복제화 문제가 부각되며 3세대 창조관광 세대로 전환

【그림 Ⅰ-7】 관광세대 발전론

자료 : 김형곤(2013); Creative Cities Network(2006); Richards & Wilson(2006) 참조 작성

▍ 융합을 통한 관광 영역의 확장과 콘텐츠 혁신

m 융합이 혁신, 창조성,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수단이자 전략적인 개념으로 조명되 는 가운데 관광과 타 영역간 결합, 복합화를 통해 新가치를 창출하는 관광부문의 융합 가속화가 진행되고 있음.

m 지역관광 차원에서 융합관광은 기능 복합, 기술 결합, 가치 융합으로 유형화할 수 있으 며, 각 유형은 결합・복합하는 가운데 혁신성이 강화되고 영역이 확대될 수 있음.

­ 기능 복합은 관광산업 영역 내 하부구조 간 기존 기능을 융합하는 형태로 관광 편의와 이용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며, 에어텔, 카텔, 에어카텔 등

­ 기술 결합은 관광산업 영역과 기술 영역 간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관광 서비스를 제공 하고, 첨단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관광경험을 제공하는 유형으로 스마트관광 안내체계, 3D 프린터 관광 기념품 등

­ 가치 융합은 관광자원 및 콘텐츠가 타 영역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관광콘텐츠를 개발하

고, 새로운 관광시장과 산업 창출을 도모하는 유형으로 예술관광, 의료관광 등

▍ 최근 관광 트렌드의 다양한 관점들

13)

m 최근 관광 트렌드는 새로운 경험을 원하는 관광객의 니즈(needs)와 함께 창조관광, 융합 관광 등 창조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OR(Outdoor Recreation) 여행, 슬로우 트래블 등 관 광의 질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m 중국인, 중장년층, 밀레니얼 세대가 주요 관광 시장으로 부상함에 따라 이들이 선호하는 칩시크(Cheap Chic), 공유경제 기업 등 관광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m 관광의 기본 가치(NEW 3S)인 안전의 가치(Safe), 환경적 가치(Sustainable), 사회적 가치(Social) 를 존중하는 여행이 확산되는 가운데, 최근 전염병, 각종 사고가 관광 산업의 변수로 작용함에 따라 관광 안전 위협 요소에 대비한 국가 간 협력의 중요성이 확대되는 추세임.

1. 중국, 한국 관광 시장의 지형을 바꾸다

- 중국인의 국제 관광 시장 규모의 확대 및 방한 외래 관광 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매력성 강화 및 정책 마련 요구

2. 관광, 경계를 허물다

- 다양한 산업 분야가 창조적 아이디어와 결합하여 新 관광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융합관광의 가속화 3. 관광의 기본 가치(NEW 3S) 존중 여행 확산

- 안전의 가치(Safe), 환경적 가치(Sustainable), 사회적 가치(Social)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존중 여행 확산 4. 모바일이 주도하는 새로운 관광생태계

- 스마트폰의 보급률 확대에 따라 관광산업에서 온라인 예약의 강세와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 증대 5. 즐거운 불편함, OR(Outdoor Recreation) 여행

- 건강에 대한 관심과 이색적인 체험 욕구 증가로 아웃도어 레저스포츠 수요 증가 6. 지역의 숨겨진 매력(hidden jewels)을 찾아 떠나는 여행

- 관광객의 경험 증가에 따라 지역의 일상 생활공간에 대한 여행 경험과 가치지향적 소비 추구 7. 여유로움과 행복을 추구하는 여행문화, 슬로우 트래블

- 킨포크(Kinfolk) 라이프가 확산되는 가운데 느림과 힐링을 추구하는 여행방식을 선호하는 경향 8. 스스로 결정하고 떠나는 DIY 여행

- 인터넷의 발달과 개별관광이 보편화되면서 독특한 여행 경험을 추구하는 창조관광(creative tourism) 성장 9. 관광의 新소비층으로 부상하는 중장년층

- 고령화시대에 여가문화 소비계층으로 중장년층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10. 칩시크(Cheap Chic)를 추구하는 실속형 관광소비 정착

- 세계경제 침체에 따라 저가항공(LCC), 비즈니스 호텔, 소규모 부티크 호텔 등 칩시크형 관광상품 성장 11. 국제관광시장에서 밀레니얼 세대의 부상

- 1980~2000년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가 2020년까지 국제관광객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경험, 저렴한 가격, 셀프서비스, 높은 기술 등을 중시하는 관광산업이 성장할 전망

12. 비즈니스(Business)와 레저(Leisure)가 결합된 블레저(Bleisure) 계층의 확산

-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업무차 타국·지역을 방문하여 휴가를 즐기는 현상 13. 관광산업내 공유경제(Sharing economies) 기업의 확산

- 밀레니얼세대와 중국인 관광객의 선호도로 인해 관광산업 내 Airbnb, 우버 등 공유경제 기업이 증가 14. 관광 안전 위협 요소에 대비한 국가 간 협력 필요성 증대

- 메르스, 에볼라 등 고위험군 질병, 방사능 유출, 선박 및 항공기 사고 등이 관광 산업의 변수로 작용

<표 Ⅰ-25> 최근 관광 트렌드

13) 관광트렌드는 최경은·안희자(2014)의 최근 관광트렌드 분석 및 전망, 현대경제연구원(2014.12.12.)의 2015 글로벌 10대 트렌드, 한국관광공사(2014)의 해외여행 트렌드 조사 보고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1.15.)의 키워드로 보 는 2016년 세계관광트렌드를 토대로 작성함.

문서에서 제 출 문 (페이지 5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