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관계절 습득의 시간 제약의 영향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40)

참여자들은 시간의 제약을 두고 진행한 실험과 시간의 제약 없이 진행한 실험, 두 가지로 나누어 똑같은 문제를 풀었다. 순서는 시간의 제약이 있는 실험을 먼저 실시 하고 시간의 제약이 없는 실험은 나중에 실시하였다.

학생 한 명당 시간의 제약이 있는 실험 10문제, 시간의 제약이 없는 실험 10문제 총 20문제를 실험하였다. 10문제 중 5문제는 주격에 관한 문제, 5문제는 목적격에 관한 문제이다. 20명의 학생이 문제를 맞히면 1점 틀리면 0점으로 계산하였기 때문 에 시간과는 상관없이 주격을 다 맞히면 각 100점, 목적격을 다 맞히면 각 100점이 다. 이는 문제를 맞히면 1점 틀리면 0점으로 계산하였을 때 기준이다. <표 3>은 주 격과 목적격을 맞힌 평균 개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 표 3 > 시간의 제약에 따른 정확도

평균 개수

주격 목적격

시간의 제약이 있을 때 4.3개 4.6개

시간의 제약이 없을 때 4.7개 4.95개

< 표 3 >을 보면 시간의 제약이 있을 때 평균적으로 주격을 맞히는 개수는 4.3개이 고 목적격은 4.6개로 목적격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그리고 시간의 제약이 없을 때

평균적으로 주격을 맞히는 개수는 4.7개이고 목적격은 4.95개로 이 역시 목적격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본 연구에 앞서 언급했던 구조거리 가설이나 선형거리 가설의 결과와는 다르게 목적격을 학생들이 더 잘 찾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표를 보 면 차이가 거의 나지 않기 때문에 의미가 없을 것이라 예측하고 t-test를 통해 유의 미한지를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시간 부분에서는 참여자들이 시간의 제약이 있을 때

< 표 3 >에 보면 알 수 있듯이 시간의 제약이 없을 때와 비교해서 주격과 목적격의 정답을 맞힌 평균 개수가 두 부분 모두 낮다. 이 부분 역시 앞서 다루었듯이 시간의 제약이 있을 때의 실험에서는 화면에 시간이 카운트가 되기 때문에 맞힐 수 있는 문 제도 심리적 긴장 상태가 되면 더 틀릴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가 나 왔다.

< 표 4 > 주격과 목적격 관계절 습득에 대한 정확도 t-test 결과

정확도에 대한 T-test

t 자유도 유의확률

시간의 제약 있을 때 1.355 187 .176

시간의 제약 없을 때 1.932 133 .055

< 표 4 >는 주격과 목적격 관계절 습득에 대한 정확도를 시간의 제약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두 가지 실험의 결과를 기준으로 한 t-test결과이다. 시간의 제약이 있을 때 t=1.3555, p=.176으로 주격과 목적격을 맞힌 개수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이 고, 시간의 제약이 없을 때 t=1.932, p=.055로 마찬가지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밝혀 졌다. 즉 시간과는 상관없이 주격과 목적격의 실험 문장들이 짧았기 때문에 어느 것 을 더 잘 처리한다는 것에는 의미가 없이 비슷한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 질문 1과 관 련하여 구조거리 가설과 선형거리 가설에 따르면 주격을 더 쉽게 인식할 것이라 하 였지만 실험 결과 학생들은 주격이나 목적격이나 비슷하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제약을 두지 않은 두 번째 연구에는 실험자들의 음성을 녹음하여 주격 관계 절을 찾는 시간과 목적격 관계절을 찾는 시간 중 어느 관계절을 찾는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지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앞서 언급한 두 가지 가설에 의하면 주격이 습득이 쉽다고 했으므로 주격을 찾는 시간이 적게 소요되야 한다.

< 표 5 >시간의 제약이 없을 때 주격과 목적격을 찾는 평균 시간

주격과 목적격을 찾는 평균 시간

주격 목적격

평균(초) 1.56 초 2.18 초

< 표 6 >시간의 제약이 없을 때 주격과 목적격을 찾는 시간에 관한 t-test결과

< 표 5 >와 < 표 6 >은 시간의 제약이 없을 때 주격과 목적격을 찾는 시간을 측정 하는 검사 결과로서, 이는 두 관계절의 습득 시간을 비교할 수 있는 자료이다. 먼저

< 표 5 >를 보면 실험자들의 주격을 찾는 평균 시간은 1.56초이고 목적격을 찾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은 2.18초로 주격이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 표 6 >은 t-test에 대 한 결과로 시간 측정 검사에서 t=3.134, p=.002로 두 관계절 습득 시간에 있어서 유 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앞에서 언급했던 구조거리 가설과 선형거리 가설 모두 지지하는 결론인 것이다. 따라서 실험 참여자는 주격 관계절을 목적격 관 계절보다 더 쉽게 인식한다고 볼 수 있다.

선형거리 가설에 따르면 선행사와 관계절 안 공백 사이의 단어의 수가 1개인 주격 관계절이 2개 이상인 목적격 관계절보다 습득이 상대적으로 쉽다고 하였다. 이를 두 관계절 중 어느 관계절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는지에 적용하여 생각해 보면, 선행사와

시간의 제약이 없을 때 주격과 목적격 시간 측정 t-test

t 자유도 유의확률

3.134 162 .002

관계절 내 단어 수가 1개인 주격 관계절을 더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실험 문장들이 간단했기 때문에 정확도에서는 주격과 목적격 모두 비슷한 결과가 나 왔지만 문장을 복잡하게 만들어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 나 두 번째 실험에서는 주격 관계절이 목적격 관계절을 찾는 시간보다 덜 소요가 되 었기 때문에 구조거리 가설과 선형거리 가설 모두를 지지하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 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4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