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48)

계절이 목적격 관계절보다 인식하는데 시간이 더 짧게 소요가 되었고 이는 선행사와 관계절 내 공백 사이의 구조 거리에 따라 습득 난이도가 결정된다는 구조거리 가설 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물론 t 검증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도 출되었다.

연구 질문2와 관련하여 관계절을 습득할 때 학습자 변인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mixed effect model을 활용하였다. 사전 설문지에서 조사한 학년, 해외경험 그리고 토익점수가 관계절을 찾는 정확도나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종합하면 주격과 목적격의 정확도는 크게 차이가 없이 두 관계절 모두 높았고, 단지 시간에서는 주격을 찾는 시간이 목적격을 찾는 시간보다 덜 소요가 되는 등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논문에서 언급한 구조거리 가설과 선형거 리 가설을 지지하는 결론인 것이다.

5.2 교육적 함의

구조거리 가설과 선형거리 가설에 따르면 주격 관계절이 목적격 관계절보다 비교적 습득이 쉽다고 하였고 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으 며, 그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와 차별점을 두기 위해 시간의 제약이라는 심리언어학적 장 치를 설정하였다. 시간의 제약이 있는 환경이 학습자에게 불안을 느끼게 만들어, 불 안이 높아지면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마찬가 지로 본 연구에서도 학습자들이 시간의 제약이 있을 때 없을 때보다 정확도가 낮아 지는 등 시간의 제약이 있는 환경의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시간에 대한 제약과 더불어 남아 있는 시간이 계속 줄어드는 상황에서 문제의 답을 빠르게 선택하면서 정확도가 떨어지고, 문제들에 대해 고민해 보는 시간이 줄어든 결과라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했지만 우리는 살면서 수많은 시험과 마주한다. 대부분의 시험에 는 시간의 제약이 있고 우리는 그것을 극복해야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다. 최지영(2015)의 연구에 따르면 학습자가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

라 시간의 제약의 부정적인 효과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한다. 목표를 이루기 위 해서 여러 가지 수행 전략을 탐색하고 노력을 하고 집중을 하여 목표를 이루기 위하 여 최선의 행동을 하게 된다고 한다. 즉 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자의 잠재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시간의 제약으로 인한 불안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5.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영어교육과에 재학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의 관계절 습득 시 구 조거리 가설과 선형거리 가설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두 가지로 나 누어 진행하였고, 그에 따른 상관관계도 조사하였다. 주격과 목적격을 찾을 때 학생 들은 주격을 찾는 시간이 목적격을 찾을 때보다 더 짧았고, 정확도에 있어서는 주격 과 목적격의 정답률이 비슷하여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영어교육과 학생 20명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기에, 정확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에 는 연구 참여자 수가 매우 적었다. 그리고 실험에 나온 주격과 관계절 문장들이 영어 교육과 학생들의 수준에는 쉬운 편이어서 연구 결과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그리고 20명 모두 시간의 제약이 있는 실험을 먼저하고 시간 의 제약이 없는 실험을 후에 진행하였다. 시간의 제약이 있는 실험이 시간의 제약이 없는 실험보다 정답률이 낮은 이유는 학생들이 시작이라 긴장도 하였고 시간의 제약 이 있으니 심리적 불안감이 있었던 것 같다. 그 후의 실험은 연구자가 학생들에게 같 은 실험이고 단지 시간의 제약이 없다고 알려주었고 학생들의 심리적 긴장 상태가 없기 때문에 정답률이 더 높았다. 만약 실험에 참가한 학생이 20명이므로 절반으로 나누어 순서를 바꾼 실험을 진행하였더라면 두 가지 연구 결과를 비교해 볼 수 있어 또 다른 결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5.4 후속 연구 제언

앞서 언급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이번 연구에 있어서 참여자의 수가 적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 어내지 못하였다. 그리고 참여자 또한 영어 수준이 높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전 체적으로 정확도가 높아서 주격과 목적격에 따른 차이를 크게 찾을 수 없었다. 향후 연구에는 영어 수준이 다양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고 본다.

두 번째로 본 연구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주어 관계절과 목적격 관계절 이외 에 다른 관계절 유형(전치사의 목적어, 소유격, 비교급의 목적어 관계절)의 습득하는 순서에 대한 실험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또한 본 실험은 이해 능력만을 알아보 기 위해 문장에 따른 그림 찾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Izumi(2003)는 2언어 학습자들 이 언어 습득함에 있어 산출과 이해 능력의 차이는 중요하다고 한다. 이 두 능력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자의 언어 발달을 촉진한다고 한다. 즉 이해 능력뿐만 아니 라 산출 능력도 알아볼 수 있는 다양한 과제를 실험하면 보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4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