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동목표 설정

문서에서 여름 호 _ 2015. 7 (페이지 65-88)

2015년

4) 공동목표 설정

거버넌스형 주거복지의 궁극적인 목표는 주거복지 수요에 대한 탄력적인 대응과 주거복지효

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거버넌스 참여자간의 공동목표인식과 책임이 필요하

다. 인제군의 경우 사업의 성공을 위해 민간과 공동목표를 설정하고 세밀하게 사업을 계획하

부동산시장 변화와 진단 인포그래픽스심층분석정책과 시장지역 아파트 시장 동향지금 세계 부동산시장은?부동산시장 연구 동향

여 추진한 대표적인 사례다. 장성군은 주거안정이라는 민관의 공동목표를 설정하고, 운영관리 책임의 명확화와 시설사용자의 주도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종교단체에 의한 운영관리가 주목할 만하다. 영암군의 경우에는 주거복지서비스의 제공을 지자체의 책임으로 여기고 있지 만, 지역주민의 관심과 역량을 모으기 위해 노력한 점과 지역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점 등이 주 목할 만하다.

나가는 말

중앙정부에 의한 상의하달식의 주거복지정책은 그 울림이 다한 듯하다. 물론 재정적인 여력의

부족을 포함해서 그렇다. 또한 공공주도의 주거복지정책 효율성도 말만 장밋빛이지 그 실체를 가

늠하기 어렵다. 이제는 민간부문의 역할을 중시해야 할 때다. 특히, 주거부문의 복지서비스는 다

양하고 문제도 복잡하다. 주택 내・외부의 물리적인 환경문제를 포함해서 지역 내 기존 커뮤니티

와의 조화, 재정적인 부담주체 및 부담수준, 복지서비스 제공주체의 운영투명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하지만, 사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역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유도를 위한 정책

의 개방성, 민관의 대등한 참여를 통한 상호협력 시스템의 구축, 지역문제를 공유하고 지역주민

의 주거권 보장을 위한 민관 공동목표의 설정과 공동인식의 전개 등이 기존 주거복지정책의 패러

다임을 바꾸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라 생각된다. 퍼주기식의 복지정책에서 앞으로는 자생

적 복지가 실현될 수 있도록 민・관의 유기적인 협력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것이 주거복지

의 패러다임으로 바뀌어야 할 거버넌스형 주거복지모델의 모습이다.

지역 아파트 시장 동향

여름호 _ 2015. 7 VOl. 10부동산시장 조사분석 KRIHS 국토연구원

지역 아파트 시장 동향

함영진 (부동산 114 리서치센터장)

올 2/4분기 지역 아파트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상승을 기록했으며 특히 대구의 상승폭이 컸다.

충청권, 매매가격 ‘보합’

충청권 아파트 매매시장은 대전, 세종시, 충북, 충남 모두 소폭의 변동성만 나타내며 안정적

지역별

분기 매매가격 변동률 추이(%)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주요 등락 지역(%)

-1.0 -0.5 0.0 0.5 1.0 1.5 2.0

충남논산시

충남계룡시

대전유성구

대전대덕구

대전서구

대전동구

충남서산시

충남당진시

충남청양군

-1.0 0.0 1.0 2.0 3.0 4.0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2014년 2015년

부동산시장 변화와 진단 인포그래픽스심층분석정책과 시장지역 아파트 시장 동향지금 세계 부동산시장은?부동산시장 연구 동향

나면서 상대적으로 충청권 아파트 시장은 안정적인 모습이다. 충청권의 3분기 입주물량은 2분 기(9,937가구)보다는 소폭 증가한 1만294가구가 예정돼 있다.

대전 아파트 매매가격은 0.19%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 약세를 보이며 하 락세가 지속되었다. 유성구(-0.33%), 대덕구(-0.30%), 서구(-0.28%)에서 하락을 이끌었다.

세종시는 0.29% 상승하며 2분기 연속 상승했다. 아파트 입주물량이 분기 별로 약 5,000여 가 구씩 이어지고 있지만 세종시 내 기반시설이 확충되며 안정적으로 소화되는 추세다.

충북은 2009년 2분기 이후 25분기 만에 0.1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증평군(-0.42%) 일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충남은 직전 분기(0.20%)대비 둔화된 0.14% 변동률을 기록했다. 매매가격 상승은 당진시 (0.77%), 서산시(0.55%), 보령시(0.31%)가 주로 이끌었다.

대전은 모든 면적에서 약세를 나타냈으며, 특히 99-132㎡미만과 165㎡이상이 0.24% 하락해 매 매가격 약세를 주도했다. 세종시는 99-132㎡미만 면적에서 0.49% 상승했다. 충남은 66㎡미만 소 형면적이 0.38% 상승해 상승을 이끈 반면, 충북은 66-99㎡미만이 0.51% 하락하며 지역 평균 매매 가격의 하락을 이끌었다.

면적별

KRIHS 국토연구원부동산시장 조사분석 여름호 _ 2015. 7 VOl. 10

임대차 수요 상승폭 둔화

충청권 아파트 전세시장은 실수요 중심의 임차수요 증가로 상승 흐름이 이어졌다. 다만 1분기 대비 상승폭은 다소 둔화됐다. 충청권 전세시장은 여타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흐 름을 이어가고 있다.

대전은 0.06% 상승했다. 2014년 2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 약세를 나타낸 이후, 2015년 들어 2개 분기 연속 상승했다. 동구(0.99%)를 중심으로 상승 흐름을 보였다. 동구 천동과 가오동, 용운동, 대 동 일대 아파트가 상승했다.

세종시는 0.48% 오르며 3개 분기 연속 상승했다. 2분기 입주물량(4,677가구)에 대한 임차수요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충북은 0.35% 하락했다. 음성군(-0.46%)과 청주시(-0.37%)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음성군은 대소 면 일대 중대형아파트의 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

충남은 0.35% 상승했다. 당진시(1.8%)와 공주시(0.65%), 논산시(0.60%), 아산시(0.45%), 서산시 (0.43%), 보령시(0.24%) 지역이 상승했다. 산업단지로의 출퇴근이 용이한 당진시 송악읍, 원당동, 송산면, 읍내동 일대 아파트들이 상승을 주도했다.

대전은 66-99㎡미만에서 0.10%, 99-132㎡미만 0.09% 상승했다. 세종시는 66-99㎡미만에서 0.31%, 99-132㎡미만에서 0.71% 상승하며 지역 전세가격의 상승을 이끌었다. 충북은 66㎡미만 소형을 제외한 모든 면적에서 하락했으며, 66-99㎡미만이 -0.90%의 변동률로 하락폭이 컸다. 충 남은 99-132㎡미만 중형면적을 중심으로 0.53% 상승했다.

지역별

면적별

분기 전세가격 변동률 추이(%)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주요 등락 지역(%)

-0.5 0.0 0.5 1.0 1.5 2.0

충남계룡시

충북청주시

충북제천시

대전유성구

세종

충남논산시

충남공주시

대전동구

충남당진시

-8.0 -6.0 -4.0 -2.0 0.0 2.0 4.0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2014년 2015년

부동산시장 변화와 진단 인포그래픽스심층분석정책과 시장지역 아파트 시장 동향지금 세계 부동산시장은?부동산시장 연구 동향

면적별

KTX호남선 및 혁신도시 영향, 2분기 광주 매매 1.70% 상승

광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1.70% 상승하며 직전 1분기(1.19%)에 비해 상승폭이 더 커졌다. KTX 호 남선 개통과 광주ㆍ전남공동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등의 영향이 계속됐고 여기에 분양시장 거 래가 증가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올해 상반기 광주지역은 평균 57.03대 1의 높은 청약경쟁 률을 보였다. 지역별 상승률을 보면 북구(2.11%)가 가장 상승폭이 컸다.

전북은 2분기 0.03% 올라 2013년 2분기 이후 7개 분기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전북은 6월말 기 준 광주(78.16%), 대구(76.39%)에 이어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76.25%)이 3번째로 높았 다. 지역별로는 익산시(0.23%), 전주시(0.11%) 등이 상승한 반면 군산시(-0.43%), 정읍시(-0.05%)는 하락했다.

전남은 2분기 0.08% 올라 3분기 연속 소폭 상승세를 이어갔다. 4~5월 봄 이사철 전세수요의 매 매 전환이 이어지면서 소폭 상승세가 계속됐다. 지역별로는 목포시가 0.20% 상승했고 대부분의 지역은 큰 변동이 없이 보합세를 나타냈다. 광양시(0.16%)는 매매가격이 2분기에 소폭 하락했다.

광주는 모든 면적 구간이 상승했다. 전북은 132-165㎡미만 구간과 165㎡이상 구간이 각각 0.20%, 0.17% 하락했고 다른 면적 구간은 상승했다. 전남 역시 66㎡미만 면적 구간이 보합세를 보 였을 뿐 모든 면적대가 소폭 상승했다.

지역별

분기 매매가격 변동률 추이(%)

광주 전북 전남

주요 등락 지역(%)

-0.5 0.0 0.5 1.0 1.5 2.0 2.5

전북군산시

전북익산시

전북전주시

전남목포시

전북익산시

광주서구

광주동구

광주광산구

광주남구

광주북구-1.0 -0.5 0.0 0.5 1.0 1.5 2.0 2.5 3.0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2014년 2015년

KRIHS 국토연구원부동산시장 조사분석 여름호 _ 2015. 7 VOl. 10

광주 전세가격 두드러진 상승폭

광주 아파트 전세가격은 2분기 1.49% 상승했다. 전세난 속에 집주인들의 월세 전환도 꾸준해 상 승폭이 직전 1분기(0.73%) 보다 컸다. 지역별로는 북구(1.84%), 광산구(1.63%), 남구(1.58%), 동구 (1.02%), 서구(0.96%) 순으로 상승했다.

전북은 2분기에도 0.15% 올라 상승세가 지속됐다. 그러나 전북 역시 4월 봄 이사철이 마무리되 면서 5~6월에는 상승세가 크게 둔화됐다. 지역별로는 전주시(0.26%), 익산시(0.04%) 등이 상승했 고 이외 지역은 큰 변동이 없었다.

전남은 2분기에도 0.13% 올라 상승세가 이어졌으나 1분기(0.20%) 보다는 오름세가 둔화됐다. 4 월 봄 이사철이 마감되면서 5월과 6월에는 상승세가 주춤했다. 지역별로는 여수시(0.94%), 목포시 (0.07%) 등이 올랐고 이외 지역은 큰 변동 없이 보합세를 보였다.

전세난을 보이고 있는 광주는 모든 면적대의 전세가가 상승했다. 전북은 132-165㎡미만 구간이 0.01% 소폭 하락했고 이외 면적 구간은 모두 상승했다. 1분기에 이어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전 남은 66㎡미만 구간이 보합세를 보였고 다른 면적 구간은 모두 상승했다.

지역별

면적별

분기 매매가격 변동률 추이(%)

광주 전북 전남

주요 등락 지역(%)

-1.0 -0.5 0.0 0.5 1.0 1.5 2.0

전남군산시

전남목포시

전남목포시

전북전주시

전남여수시

광주서구

광주동구

광주남구

광주광산구

광주북구-1.0 -0.5 0.0 0.5 1.0 1.5 2.0 2.5 3.0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2014년 2015년

부동산시장 변화와 진단 인포그래픽스심층분석정책과 시장지역 아파트 시장 동향지금 세계 부동산시장은?부동산시장 연구 동향

면적별

삼척, 속초, 평창 매매가격 상승폭 증가

강원도 아파트 매매가격은 0.38% 상승했다. 2012년 1분기(0.40%) 이후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삼척시(0.93%), 속초시(0.82%), 평창군(0.71%), 강릉시(0.46%), 원주시(0.37%), 춘천시(0.29%)가 상 승했다.

삼척시는 지난 6월 분양에 나선 아파트들의 3.3㎡당 분양가격이 주변 시세(3.3㎡당 매매가격 446 만원) 보다 150만원 가량 높아 인근 아파트의 가격상승을 주도했다. 속초시는 조양동 일대 아파트 가 1,300만원, 교동 일대 아파트가 500만원 가량 상승했다.

면적대별 매매가격은 66㎡미만이 1.1% 상승했고, 66-99㎡미만은 0.67%, 99-132㎡미만은 0.2%

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지역별

분기 매매가격 변동률 추이(%) 주요 등락 지역(%)

-0.4 -0.2 0.0 0.2 0.4 0.6 0.8 1.0

평창군

삼척시

춘천시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평창군

속초시

삼척시-1.0 -0.5 0.0 0.5 1.0 1.5 2.0 2.5 3.0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2014년 2015년

KRIHS 국토연구원부동산시장 조사분석 여름호 _ 2015. 7 VOl. 10

원주 공공기관 이전, 임차 수요 증가

강원도 아파트 전세시장은 0.71% 상승하며 상승세를 유지했다. 지역별로는 강릉시(0.85%), 원주 시(0.83%), 춘천시(0.79%), 속초시(0.35%) 순으로 올랐다. 강릉시는 아파트 촌이 형성된 입암동 일 대 아파트가 1,500만원-2,000만원 가량 상승했다. 원주시는 혁신도시 내 한국광물자원공사가 지 난 6월부터 이전을 마치면서 임차수요가 증가했다. 태장동, 단계동, 단구동 일대의 아파트 전세가 격이 상승했다. 춘천시는 대학교 주변인 퇴계동과 석사동 일대의 아파트 전세가격이 상승했다.

면적별 전세가격은 66-99㎡미만이 1.18%의 상승률을 보였다. 다음으로 66㎡미만이 0.67%, 99-132㎡미만이 0.53% 상승했다.

지역별

면적별

주요 등락 지역(%) 분기 전세가격 변동률 추이(%)

0.0 0.2 0.4 0.6 0.8 1.0

강릉시

평창군

삼척시

속초시

춘천시

원주시강릉시

-0.5 0.0 0.5 1.0 1.5 2.0 2.5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2014년 2015년

문서에서 여름 호 _ 2015. 7 (페이지 65-8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