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시스템사고와 시스템다이내믹스 접근법에 근거하여 공공정책학습과 조직학습 분야의 다양한 개념들을 포괄하고 통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그리고 특히 공공분야 조직을 겨냥한 이론적 틀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직이 왜 성공하고 실패하는지를 알려면 조직의 학습과정을 들여다보면 된다는 전제에

서 출발하였다. 조직학습은 조직이 언제, 어떻게, 무엇 때문에 성공하고 실패했는지를 밝혀 주는 캔버스이자 거울이고 조직의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직생존과 적응은 조직학 습의 또 다른 표현이다. 조직의 실패는 조직학습의 실패이고, 조직은 학습할 때 살아남는 다. 조직이 학습을 멈출 때 위기와 저성과를 경험하게 되고 브레이크다운에 빠지게 된다.

그간의 조직실패에 관한 연구들이 실패하였던 것은 조직에 내장되어 있는 생래적인 조직학 습을 무시하였던 데도 그 원인이 있다. 조직의 실패와 위기는 과민하게 보되, 그로 말미암 아 가리워진, 자연발생적인 조직학습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조직은 생존을 위하여 학습하면서 폐기학습을 한다. 조직이 학습하고 있다는 것은 조직 이 폐기학습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존의 학습논의는 주로 폐기학습이나 조직의 망각보다는 지식관리나 행동 이론적 학습과정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 공공조직에서 흔히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은 폐기학습을 방해하면서 동시에 조직학습을 더디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학습에 관한 논의는 조직학습 논의만큼이나 중요하다. 폐기학습은 조직 학습과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늘 동시에 존재해서 폐기학습을 보면 조직학습의 또 다른 면 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둘 다 조직변화와 혁신이기 때문이다.

조직학습은 조직의 경험, 조직인지, 조직 지능과 지식, 지식의 전이와 공유 등으로 이루 어진다. 이것들은 학습 플랫폼의 기반모듈에 해당한다. 이때 지식관리는 지식을 조직에 내 장시켜서 지식을 창조, 확산, 적용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정의되지만, 이는 조직학습의 또 다른 표현이다. 따라서 조직학습과 지식관리는 동시에 진화한 것이다. 조직학습과 지식 관리는 유질동형인 것이다.

[그림 4] 공공조직의 통합적 학습모델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공공조직의 학습을 논의함에 있어 조직의 학습과 폐기학 습, 그리고 지식관리를 동일한 맥락에서 통합시키고자 하였고, 이를 [그림 4]처럼 다이내믹 모델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모델은 민간영역과 달리, 특히 공공영역 조직의 특수성을 반영한 학습모델을 개발하고자 모색한 것이다. 시스템사고와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관점에서 가능한 한 전체론 적 시각에서 인과지도의 형태로 통합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경험적 검증을 위한 교시적 방법에 불과하다.

인간의 학습과 달리, 조직의 학습은 다양한 네트워크와 부서, 메카니즘 등을 통해 동시 에 병렬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그리고 공공조직은 이완된 연결이나, 조직화된 무정부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학습과 폐기 학습을 통하여 의미가 부여된 순간과 공간 을 찾아내어 오차를 탐색하고 수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공공조직 내에서 학습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조직 전체로 파급·확산되는 것도 쉽지 않다. 따라서 공공조직 의 학습은 자주 상징화되고 신화화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