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장 공간인지 능력이 있는 전시 콘텐츠 설계

제1절 전시 콘텐츠 개요

다양한 전시품과 체험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서 공 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관람객에게 다양한 감각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 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시 콘텐츠는 현실 공간과 거리를 인지해 가상객체 를 정확한 위치에 정합할 수 있으며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의 전달 매체로 전달할 수 있는 전시 콘텐츠를 제안한다.

제안한 콘텐츠는 공간인지능력이 있어 가상객체를 정확하게 정합해 사용자가 이질감 없이 전시 콘텐츠에 몰입할 수 있는 높은 현실감을 제공한다. 또한 전시 물정보제공을 위해 뷰어(Viewer)를 설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림4-1>와 같이 개요를 도식화 하였다. 관리자는 스마트폰 에 보여지는 현실사물 표면을 터치하면 증강현실로 구현될 3D 객체와 객체에 대 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관리자가 사전에 등록한 가상객체의 위치에 일정거리 도달하면 화면에서는 가상객체가 현실 사물 위에 가상객체가 올려진 것처럼 증강된다. 또한 화면에 증강된 가상객체를 손으로 터 치하면 해당 전시물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림 4-1> 전시 콘텐츠 개요도

26

공간인지능력이 있는 증강현실 기술을 설계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탱고와 Unity 3D엔진을 이용하여 가상객체를 구현하고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화면과 버튼을 제작한다. 또한 관리자와 사용자 화면으로 나누어 관리 자화면에서는 가상객체 배치 및 정보입력 및 공간 정보를 저장 하고 사용자 화 면에서는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관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2절 전시 콘텐츠 구조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현실세계를 인지하고 가상객체를 정확하 게 정합할 수 있으며, 콘텐츠 등록과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관리자 와 사용자 화면을 분리하여 구축하였다.

전시 콘텐츠는 <그림4-2>와 같은 구성도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 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ADF에 접근한다. 그 후 사용자 위치정보 분석으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해 현실사물에 배치한 가상객체의 위치정보와 전시물 정보 뷰어를 제공한다.

<그림 4-2> 전시 콘텐츠 구성도

27 제3절 전시 콘텐츠 기능 설계

제안한 콘텐츠는 Lenovo의 Pahb 2 Pro가 보유한 3개의 카메라(일반카메라, 어안카메라, 적외선카메라)와 센서들을 이용해 현실 사물을 인지해 가상객체를 정확한 위치에 정합을 수행하며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림 4-3> 전시 콘텐츠 기능 구성도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콘텐츠의 기능 구성도는 <그림 4-3>와 같이 일반 카메 라로 보여진 현실세계와 가상객체를 증강시켜주고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가상버튼에 이벤트 호출하게 한다. 또한 어안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공간의 특징점을 저장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는 현실 사물의 거리를 인식하고 공간을 3D스캐닝할 수 있다.

이 전시 콘텐츠의 장점은 현실 사물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상객체가 엉 뚱한 곳에 증강되거나 공중에 떠다니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증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가상객체의 위치정보를 기억하기 때문에 특별히 마커가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따로 마커를 인식해야 하는 작업 없이 적정 위 치에 사용자가 도달하면 가상객체와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가상버 튼도 증강된다.

28

<그림 4-4> 전시 콘텐츠 구조도

다음 <그림 4-4>는 제안한 전시 콘텐츠의 동작 절차이다. 이 전시 콘텐츠의 동작절차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관리자와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다. 먼저 관리자는 공간학습기능을 실행시켜 새로운 공간을 만든 다.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탱고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3D 공간을 스캐닝한다. 적외선센서와 스캐닝한 공간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가상객체 를 배치하고 가상객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가상버튼을 제작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후 저장을 누르면 스캐닝 된 공간과 가상객체의 위치 정보, 입력 받은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공간데 이터를 사용자가 선택해서 불러온다. 이때 스마트폰은 현실에 존재하는 사용자 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저장된 3D공간데이터와 비교분석 후 가상객체의 위치 정보와 입력된 데이터 뷰어를 제공해준다.

2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