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선진국의 공간데이터 개방의 시사점과 개방정책 방향

국내 공간데이터 개방은 정부 3.0정책에 따라 앞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 다. 앞으로의 공간데이터 개방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해외 선진국의 공간데이터 개방전략에 대한 벤치마킹이 필요하다. 미국, 영국 등은 이미 오래전부터 공간정보 를 구축·활용해 온 공간정보 선진국으로서 국가공간정보인프라 구축에서부터 공간데이터 개방에 이르기까지 기술과 제도 등 여러 측면에서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해외 선진국의 경우 사회경제 상황과 제도적 특성이 상이하므로 해외 선진국의 공간데이터 개방전략을 무조건 추종하기 보다 는 선택적으로 벤치마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는 국가공간정보인프라(NSDI) 정책 고도화를 통한 공간데이터 품질 향상 이 바람직하다. 국내 공간데이터의 경우 실시간 갱신이 되지 않고 측량과 지적 간의 불일치와 그 동안의 측량과 지적 간의 좌표체계의 차이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어 데이터의 융합 활용이 쉽지 않다. 2010년 세계측지계로의 전면 전환에 좌표체계의 차이로 인한 측량과 지적 간의 불일치가 점차 해소될

것으로 전망되나 지적재조사사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당분간 측량과 지적 간의 불일치에 따른 불편을 감수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공간정보인프라 고도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공간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공간정보 공유 및 사용자 측면의 공간데이터 구축을 위해 표준화된 방식으로 공간데이터 제작 및 오픈소스 기반의 포맷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간정보 융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개방을 확대하고 개방된 공간데 이터에 대한 가공 공간데이터의 저작권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공간데이터 개방 확대를 위하여 데이터의 개방 일정을 법제에 명시한다 든가 공간데이터의 품질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이 고려되어야 한다. 현재 공공데이 터 추진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에서 데이터 개방일정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므로 일정이 지체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도 하다.

이와 함께 저작권법 등과 연계하여 공간정보의 2차 활용 관련 라이선스 제도를 정비하여 공간정보기반 융합 산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내 공간데이터 는 레이어간의 불일치, 데이터모델과 포맷이 서로 달라 중첩활용을 위해서는 추가로 가공해야 하고 이로 이한 시간 및 비용문제로 융합 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표준화된 공간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공간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는 미국, 영국 등 해외선진국은 최근 부상하고 있는 데이터 융합산업의 트렌트에 발 맞추어 정부가 개방한 데이터를 가공 및 융합한 2차 가공 공간데이터에 대한 저작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도 공간데이터의 개방 확대와 함께 개방된 공간데이터를 가공한 2차 가공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등에 대한 제도정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공간데이터 개방을 위한 플랫폼의 개방화 및 오픈소스화를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정보기술측면에서는 우리보다 앞서 공공데이터 개방을 추진하고 있는 미국·영국 등은 공공데이터 관련 플랫폼기술 및 서비스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미국·영국은 데이터 플랫폼까지 오픈소스로 개방해 데이터를 더욱 자유롭고 긴밀히 연동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국내 포털개념의 국가공간정보유통센터와 브이월드 등 공간정보 오픈플랫폼(브이월드), 온맵(On-Map) 등 데이터 개방통

로가 중복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으므로 개방통로의 정비 및 연계가 필요하다.

그리고 공간플랫폼과 공공데이터플랫폼과의 연계 강화 추진이 필요하다. 사용자 를 고려한 공간데이터 개방 확대를 위하여 해외 선진국의 클라우드 컴퓨팅기반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 구축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회경제 측면에서의 해외 선진국 공간데이터 개방전략의 시사점으로는 공간 정보기반 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간데이터에 대한 가격체계 재정비가 추진되 어야 한다는 점이다. 현행 공간데이터의 유상판매 방식이 아니라 데이터의 재활용 과 관련하여 무상 공개하되 2차 활용 및 판매에 대하여 수익의 일정비율을 공간데 이터 정비를 위한 기금으로 납부하는 방식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R | E | F | E | R | E | N | C | E

참고문헌

공공기관정보공개법.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2014.9). 공공데이터 개방 발전전략.

국가공간정보 보안 관리규정.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국토교통부. (2013). 정부 3.0 추진계획.

이재진, 미디어 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p

정보산업진흥원. (2014). 주요국의 오픈데이터 정책추진 현황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정부 3.0.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운영규정.

행정안전부. (2008).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 (https://www.nsic.go.kr/) Canadian Geosptial Data Infrastructure

(http://unstats.un.org/unsd/geoinfo/RCC/docs/rcca9/crp/9th_UNRCCA_ec onf99_CRP5.pdf)

FGDC (http://www.fgdc.gov/)

GeoConnections (http://geoconnections.nrcan.gc.ca/) Geospatial One Stop (https://explore.data.gov/) http://www.data.gov/

http://data.gov.kr/

http://data.gov.uk/sites/default/files/uk-location-strategy_10.pdf

http://www.ordnancesurvey.co.uk/business-and-government/products/bounda ry-line.html

NSDI CAP (http://www.fgdc.gov/grants)

http://wagner.nyu.edu/gov3. (2013). Government 3.0: Solving Public Problems with Technology

Openshaw, S. (ed). 1995, Census users’ handbook, GeoInformation International, Cambridge

Ordnance Survey A strategic approach to location for Great Britain: why place matters

Place matters: the Location Strategy for the United Kingdom’, November, 2008.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s, Geographic Information Panel.

UN. (2012). E-Government Survey

S | U | M | M | A | R | Y

SUMMARY

Keywords: Geospatial Data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and translate the research report “Analysis of Trends and Strategies on the Opening of Geospatial Data in the Developed Countries”. As basic direction for the governmental operation of the new administration, Government 3.0 and creative economy were presented. Government 3.0 is the paradigm shift on the new administrative management that have key values in openness, shar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ough geospatial data was released through NSDI policy for data sharing, the opening of geospatial data would be strongly pushed for the realization of Government 3.0. The government should open the geospatial data to private sector so to let them use it freely to accomplish the goal of Government 3.0.

Thus the convergence in the utilization geospatial data should be stimulated this and then, geospatial service industry must be promoted. The case studie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oul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strategies on the opening of geospatial data.

The current state and opening policy of geospatial data in Korea are reviewed in chapter 2. Those cases of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were analyzed in chapter 3. In the United States private sector could search and use government information on the base of “Freedom of Information Act”. However

full-scale opening of geospatial data got started with the inauguration of Obama administration in 2009. The opening of geospatial data policy in the United Kingdom also was pursued with the inauguration of new Labor Ministry.

The cases of geospatial data in the developed countries reveal that openness of public data was started with the goal of transparency and administation reform, however it was evolved to promote the convergence service industry using the geospatial data. Thus some strategies on the opening of geospatial data were developed to upgrade the quality of geospatial data, standardize geospatial data format, improve the geospatial data acquisition and storage, etc. To attain this goal, the developed countries adopted cloud computing, open-source SW development and using the open Geospatial platform.

In chapter 4, some policy implications on the opening strategies of the Korea’s geospatial data come up with the base of the developed countries cases. Goverement has continually to update and upgrade the quality of geospatial data for the user convenience and must enhance NSDI policy to achieve this goal. Geospatial data has to be opened on the base of Open Geo-platform, cloud computing, machine-readable, open source SW and etc. Then the effectiveness of geospatial data openness will be enlarged and operating cost could be reduced. In addition to this, some legal system improvement on the privacy and national security due to the full-scale opening of geospatial data are suggested.

In order to realize the Government 3.0, it is said that even in the fields of spatial information, the government should open the spatial data to the private sector so to let them use it freely, plus the convergence in the utilization of the spatial data should be stimulated through this, and then, geo-spatial service industry must be promoted. At the same time, spatial data market is also widening from the governmental field and data production field in the past to the spatial data service and private utilization field. Currently, spatial data field has constraints

on openings to the private due to the security management regulations on spatial data. In order to cope with the recent spatial information paradigm changes, the widening of the spatial data openness should be required.

The current research is to review how the Government 3.0’s core value of openness, shar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re reflected, and examined how it is materialized currently in the fields of spatial information part in each field.

And then reviewed in details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legal systems regarding the Government 3.0. After that, reviewed on ways and directions to resolve the legal system related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In order to materialize core value of the Government 3.0 in the openness, shar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erms of spatial information sharing of the spatial information should be required. Once sharing of the spatial inform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parts are fulfilled, the goal of spatial information policy in spatial information blending services will be promoted, and thus, spatial information industry’s advancement could be expected. And that is because there could be creation of jobs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is.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in some aspects even in terms of sharing of the information that are currently open due to lack of infrastructures such as standards of spatial information along with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related legal systems that conditions information openings on privacies and national security are regulated far too strict. This is due to lack of flexibilities in the legal system regarding spatial information and hierarchy between such, and in order to alleviate this matter, suggested methods on improvements of the related legal systems.

This research suggested improvements on the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nd reestablished herarchy of the related spatial information related laws such a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Act” and “Act on Cadastral Survey

of the Waterway Cadastre”. Through the improvements of the legal systems, it could be expected that new jobs could be created in this field due to revitaliza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blending service industrie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