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제발전과 기업가정신 가. 경제 성장의 원동력

▶ 우리나라가 빠른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원동력은 근로자의 근면성실이라고 인식

- 우리나라 경제가 지금까지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근로자의 근면 성실 때문이라는

응답이 지난 2년간의 결과와 큰 차이 없이 가장 높음.

- 정부주도 경제개발 정책을 선택한 비율이 지난 2년간 보다 큰 폭으로 상승하여 2순 위로 꼽히고, 높은 교육수준과 기업가정신을 지목한 응답은 상대적으로 감소 - 근로자의 근면성실을 택한 비율은 30대(52%), 40대(56%), 대기업 종사자(56%)에서

높고 진보 성향에 가까울수록 상승하는 경향

- 정부주도 경제개발 정책이라는 응답은 경제발전 과정을 경험한 50대 이상에서 30%

이상으로 높게 조사됨.

[그림 13]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원동력에 대한 인식

(단위: %)

▶ 앞으로 우리나라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국민 전체의 기업가정신이 중

요하다는 의견이 42%로 크게 증가

- 지난 2년간 향후 경제성장의 견인차로 높은 지지를 받았던 중소기업이라는 응답은 거의 절반으로 감소한 반면, 기업가정신은 두 배 이상 늘어 42.4%로 가장 높고, 정 부의 역할을 강조하는 의견도 두 배 이상 증가한 13.3%를 기록

- 창조경제, 경제혁신, 규제개혁 등으로 경제 살리기에 적극적인 정부 정책의 영향으 로 인해 기업가정신 및 정부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보임.

[그림 14] 향후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

(단위: %)

Ⅱ. 주제별 조사 결과 43 - 기업가정신은 40대(46%), 전문직 종사자(50%), 공무원(47%)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 으며, 중소기업이라는 응답은 남성(28%), 중소기업 종사자(32%), 자영업자(28%)에서 높게 나타남.

[그림 15] 직업별 경제성장의 견인차에 대한 인식

(단위: %)

나. 기업가정신

▶ 현재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 수준에 대한 인식 역시 긍정적으로 변화

- 국내 기업가정신 수준이 낮다는 응답은 54.9%로 전년 대비 10.5%p 감소하였으며, 20대(63%)와 30대(59%), 진보 성향으로 갈수록 낮다는 의견이 많았음.

- 지난 2년간 기업가정신 수준에 대해 가장 부정적으로 응답했던 중소기업 종사자들 의 인식이 가장 많이 바뀌었고 대기업 종사자의 인식 역시 개선되었으나 공무원은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 국내 기업가정신이 미흡하다는 의견이 59%에 이름.

[그림 17] 국내 기업가정신 수준이 낮다면 그 이유는?

(단위: %)

[그림 16] 국내 기업가정신이 미흡한 수준이다

(단위: %)

▶ 국내 기업가정신 수준이 낮은 이유는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와 제도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음.

- 한번 실패하면 재기하기 어려운 사회적 분위기와 제도를 지적한 응답자가 43.3%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창의와 혁신의 기업문화 부재(25%), 금융투자, 지적재산권 보 호 등 제도적 지원 미흡(16%)의 순서로 나타남.

- 사회적 분위기와 제도라는 응답은 대기업 종사자(47%)에서 다소 높고 자영업자 (37%)에서 낮으며, 정치성향이 진보에 가까울수록 그 비율이 높았음.

Ⅱ. 주제별 조사 결과 45 - 창의와 혁신의 기업문화 부재 때문이라는 응답은 50대(31%), 공무원(32%)에서 높고,

제도적 지원 미흡을 지적한 응답은 20대(20%)에서 높게 나타남.

▶ 앞으로 기업가정신은 현재에 비해 어떨 것으로 기대하느냐는 질문에 낮아진다는

의견보다는 높아진다는 의견이 다소 높음.

- 비슷할 것이라는 의견이 66.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광주/전라(74%), 여성(69%) 에서 높고 사회/정치/경제 관심도가 낮을수록 그 비율이 높아짐.

- 높아진다는 의견은 23.9%로 청년층보다 50대(27%)와 60대 이상(29%)에서 높고, 자 영업자(28%)와 연봉 4,600만 원~8,800만 원(29%) 집단에서도 높게 나타남.

- 낮아질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은 남성(13%), 중소기업 종사자(14%)에서 높음.

- 진보 성향의 응답자는 중도나 보수 성향보다 높아질 것(27%)과 낮아질 것(12%)이라 는 두 가지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됨.

[그림 18] 향후 우리나라 기업가정신 수준에 대한 기대 (단위: %)

3. 시장 경제에 대한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