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V. 바람직한 정책방향

4. 경영권 방어제도의 보완

□ 효율적인 M&A 관련법제의 구축

○ 효율적인 M&A 관련법제는 제1종 오류(Type I Error) 및 제2종 오류 (Type II Error)를 최소화하는 것임.

- 제1종 오류는 경영권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기업이 M&A 당하 는 오류를 말하고, 제2종 오류는 반대로 경영권의 교체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기업이 M&A 당하지 않는 오류를 말함.

- 제2종 오류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M&A 촉진정책이 필요하고, 제1종 오류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경영권 방어제도가 필요

• 단, M&A 촉진정책이 파탄적 M&A를 초래해서는 아니 되고, 다양 한 경영권 방어제도가 방어권 남용을 초래해서는 아니 됨.

□ 향후 바람직한 정책방향은 「규제완화+제1종 오류의 최소화」

○ 외환위기 이후 현재까지의 주된 기업정책 방향은 「규제강화+제2종 오류 의 최소화(M&A 촉진)

- 이에 따라 보수경영과 투자위축이 초래되고, 기업과 경제가 모두 어려 움을 겪는 결과를 초래

○ 향후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은 「규제완화+제1종 오류의 최소화(경영권 방 어제도의 확충)

- 이는 기업들에게 경영권 방어수단을 주고 성장엔진을 가동시키는 것 이며, 기업과 경제 모두에 활력을 불어넣게 될 것임.

□ 우선 의무공개매수제도의 부활을 긍정적으로 검토

○ 우리나라는 지난 1997년 1월 증권거래법 개정을 통해 ‘25% 의무공개매수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지배권 획득에 필요한 자금부담을 가중시켜 기업 인수를 어렵게 하고 기업구조조정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1998년 2월 폐지

* 25% 의무공개매수제도: 본인과 특별관계자의 지분을 합하여 새로이 25% 이상의 주식을 취득하거나 이미 25% 이상을 취득하고 있는 자가 추가로 주식을 취득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공개매수에 의하여 의 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50%+1주 이상을 의무적으로 취득하도록 하는 제도

○ 그러나 의무공개매수제도는 기업지배권이 변동할 경우 지배주식의 양도 과정에서 형성되는 지배권 프리미엄을 일반주주와 공유하도록 강제함으

로써 소수주주의 권익을 보호하는 한편, 투기적 기업매수를 규제하고 적 대적 M&A로부터 기업의 경영권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

- 더욱이, Bebchuck(1994)과 송옥렬(2005)에 따르면 의무공개매수제도는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의 규제와 효율성의 관점에서 다른 방어수단들 보다 우월

○ 과거의 25% 의무공개매수제도가 기업인수를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음을 감안하여 구제도의 부활대신 일본형의 1/3 의무공개매수제도를 도입하 는 것도 한 가지 방안24)

- 일본의 1/3 의무공개매수제도는 60일 이내에 10인 이하의 자로부터 주식을 매수하더라도 발행주식총수의 1/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드 시 공개매수에 의하도록 강제

- 이 제도는 영국이나 EU법에 비해 주식의 소유집중으로 인한 폐해도 줄일 수 있고, 지배권 취득에 따르는 비용부담을 무리하게 가중시키지 도 않으며, 지배권 확보 이후에도 지배권 거래의 여지를 남김으로써 M&A의 활성화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파탄적 M&A와 방어권 남용에 대한 규제장치도 필요25)

○ 파탄적 M&A(Bust-Up M&A)란 매수자가 투입자금의 회수를 위해 대상 회사를 인수한 후 중요자산을 매각하거나 명목회사와의 합병을 통하여 대상회사를 소멸시키거나 극단적으로는 대상회사를 해산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M&A를 말함.

24) 송종준(2006, p.11)

25) 송종준(2006, pp.12-13, pp.15-18) 참조.

○ 미국에서는 주법 차원에서 파탄적 M&A를 규제하기 위한 입법(모라토리 움법)이 이루어진 바 있는데, 이는 지배주식을 취득한 이후 일정기간 동 안 기업결합을 금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음.

- 예컨대, 1985년 뉴욕주 회사법은 회사의 의결권 있는 주식총수의 20%

이상을 취득한 자는 그 후 5년간 기업결합을 금지하고 5년이 경과한 후에 기업결합을 하기 위해서는 잔여주주에게 공정한 대가를 지급하 도록 규정(N.Y. Bus. Corp. Law 제912조)

• 단, 기업결합에 대한 이사회의 승인이 있거나 단일거래에서 90% 이 상의 의결권 있는 주식을 취득한 경우에는 예외

- 델러웨어주 회사법은 뉴욕주법과 유사하지만 기업결합의 제한을 15%

이상의 주식을 취득한 경우에 적용하고 그 유예기간은 3년으로 규정 (Del. Gen. Corp. Law 제203조)

○ 이와 같은 미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도 국제적으로 허용되는 수준의 파탄적 M&A 방지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이와 함께 방어권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어권 남용 여부를 판단 하기 위한 기준 또는 원칙을 명시할 필요가 있음.

- 미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Unocal 판결상의 비례성 기준(Proportionate Standard)26)과 Time 판결상의 중간성 기준(Intermediate Standard)27)이 널리 적용됨.

26) Unocal Corporation v. Mesa Petroleum Co., 493 A 2d. 946(Del. 1985).

27) Paramount Communications, Inc. v. Time Incorporate, 571 A 2d. 1140(Del. 1990).

• 비례성 기준은 방어의 동기 및 정도에 있어서 합리성 요건이 충족 되는 경우에 한해 방어권 행사가 이사의 적법한 경영판단에 해당한 다고 간주하는 판단기준

• 중간성 기준은 주주의 이익 외에도 회사의 경영전략적 이익을 위하 여 합리적인 방어는 적법한 경영판단이라고 간주하는 판단기준

- 일본의 경제산업성 및 법무성이 발표한 기업가치ㆍ주주공동이익의 확 보ㆍ향상을 위한 방어수단에 관한 지침(2005. 6.)은 방어수단이 적법하 기 위해서는 기업가치ㆍ주주공동이익의 확보ㆍ향상의 원칙, 사전공시 ㆍ주주의사의 원칙, 필요성ㆍ상당성의 원칙이 준수되어야 한다고 명시

<표 18> 향후의 바람직한 정책방향

구분 주요 내용

규제철학 및 시각의

전환

- 로컬 관점에서 글로벌 관점으로의 시각 전환

•글로벌 경쟁시대에 국내적 시각에 입각한 경제력집중억제정책이나 대규모기업집단에 대한 차별규제 지양

- 대기업에 대한 부정적 시각에서 긍정적 시각으로의 전환 •기업(집단)의 규모를 기준으로 한 규제는 경제적으로 불합리 •대기업(집단)이 더욱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규제환경 조성

정책중심의 전환

- 경제력집중억제정책 중심에서 경쟁정책 중심으로 전환

•경제력집중 자체를 규제하기보다 경쟁제한행위나 불공정행위를 규제 - 직접규제 중심에서 시장규율 중심으로 전환

•정부는 기업의 출자 등 전략변수에 대한 직접규제를 피하고 기업의 자 율성을 높여주되, 잘못된 선택에 대해서는 시장이 규율하도록 보조 제도정비의

우선추진

- 새로운 규제 및 제도의 도입은 규제의 오버슈팅 초래

- 외환위기 이후 지난 10년간 서둘러 도입된 제도의 정비를 우선 추진

경영권 방어제도의

보완

- 효율적 M&A 관련법제의 구축

•제1종 오류의 최소화(경영권 방어제도의 확충) 및 제2종 오류의 최 소화(M&A 촉진)

- 향후의 주된 정책방향은 「규제완화+제1종 오류의 최소화」

•경영권 방어수단을 주고 성장엔진을 가동

- 파탄적 M&A와 경영권 남용에 대한 규제장치 마련

<참고문헌>

강신욱, 「상법개정 방안 정책토론회 토론문(1)」,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한 상법개정 방안 정책토론회 발표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2006. 7.

강원ㆍ신현한ㆍ장진호, 「대규모기업집단의 지배-소유 괴리도와 기업가치 및 경영성과간의 관계분석」, 󰡔재무연구󰡕, 제18권 제2호, 2005.

, 「소유ㆍ지배 괴리도와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Issue Paper, 삼성경제 연구소, 2004. 5.

권종호, 「적대적 M&A 방어와 상법 개정방안」, 바람직한 상법 개정방안 세미 나 발표논문, 대한상공회의소, 2006(a). 6.

, 「적대적 M&A 법제의 일본의 최근 동향 - 신회사법상의 방어수단과 동경증권거래소의 상장규정을 중심으로」, 󰡔증권󰡕, 제127권, 증권업협회, 2006(b).

김건식, “주제발표(2)”, 상법(회사편) 개정 공청회 자료, 법무부, 2006. 7 김경수ㆍ김우택ㆍ박상수ㆍ장대홍, 「상호주식보유와 기업재무정책」, 󰡔경제학연

구󰡕, 제46집 제4호, 1998.

김기영, 󰡔업종전문화시책의 현황, 평가 및 향후 금융지원정책의 방향󰡕, 한국조 세연구원, 1996. 9.

김대규, 「지배회사주주의 이중대표소송」, 󰡔증권법연구󰡕, 제5권 제2호, 한국증 권법학회, 2004.

김진방, 󰡔재벌의 소유구조󰡕, (주)나남출판, 2005.

, 「재벌의 소유구조: 통계, 개념, 분석」, 󰡔경제학연구󰡕, 제48집 제2호, 2000.

, 「출자총액제한의 비교정학」, 󰡔사회경제평론󰡕, 20, 2003.

김현종, 󰡔순환출자금지에 대한 최근 논의와 대안적 검토󰡕, 한국경제연구원, 정 책연구 2006-01, 2006. 1.

박상인, 「대규모 기업집단 규제」, 비공개 발표자료, 2006. 7.

박양균, 「이중대표소송 도입의 득실」, NGO 모니터, 자유기업원, 2006. 6.

배 도, 󰡔이중대표소송의 도입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대학 원 법학과, 2005. 6.

송옥렬, 「지배주주 소유구조와 경영권 방어법제」, 󰡔기업경영권에 대한 연구:

실증분석과 제도정비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2005. 12.

송종준, 「M&A법제를 둘러싼 최근의 쟁점과 과제」, 기업법학회ㆍ상사판례학 회 공동하계학술세미나 발표논문, 2006. 6.

이인권ㆍ김현종, 「출자 및 투자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기업지배구조와 출자 규제 제도의 법리적, 실증적 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05. 1.

이철송ㆍ조성봉,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회사법 개정 방안」, 󰡔기업지배구 조와 출자규제 제도의 법리적, 실증적 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05. 1.

이한득, 「적대적 M&A에 안전한 기업 10% 미만」, 󰡔LG주간경제』, 제817호, LG경제연구원, 2005. 2. 2.

전국경제인연합회, 「안정적 경영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 FKI Issue Paper, 2004. 8.

, 「해외 투기자본 유입 증가에 따른 적대적 M&A위협 및 대응 방향」, 2006. 3.

전삼현, 「기업지배구조 관련 상법 개정의 쟁점과 개선방안」, 바람직한 상법 개 정방안 세미나 발표논문, 대한상공회의소, 2006(a). 6.

, 「집행임원제도의 도입에 관한 대응방안」, 한국경제연구원 원내세미나 발표자료, 2006(b). 2.

전성훈, 「상호출자행렬의 정보내용에 대한 소고」, 󰡔산업조직연구󰡕, 제3권, 1994.

정병휴ㆍ양영식, 󰡔한국 재벌부문의 경영분석󰡕, 한국개발연구원, 1992.

정윤모, 「주요국의 M&A 규제 비교검토 및 한국 제도의 발전방향」, 세미나 자 료, 한국증권연구원, 2006. 6.

정찬형, “주제발표(1)”, 상법(회사편) 개정 공청회 자료, 법무부, 2006. 7.

조성봉, 󰡔경제력집중 억제정책과 경쟁정책의 모순󰡕, 시장경제 Issue Paper, 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