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 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54)

B. 균형감각의 변화

Ⅵ. 결 론

참 고 문 헌

강동훈, 유일영, 이건철(2013). 다양한 지지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무릎관절 근력 및 위치감각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1(2), 47-57.

권동일(2011). 유․무산소성 복합운동 순서가 대사율 및 호르몬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오범(2012). 여성 노인의 코어안정화 운동이 척추형태 및 낙상관련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은겸(2010). 코어 안정화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낙상관련체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영(2009). 폐경 전․후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및 염증지표 변화와 골대사의 관련.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남수, 김승환(2017). 10주간의 유산소운동이 비만성인여성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산화스트레스 및 hs-CRP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6), 1007-1017.

김인숙(2004). 중년여성의 노후생활준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재홍(2008). 12주간의 테니스 운동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중림(2015). 전기근육자극요법이 근 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백승옥, 오윤선, 신윤정(2007). 저강도 유산소성 운동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건강 관련체력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6(1), 737-749.

석민화, 왕승용, 신윤아(2014). 외발스쿼트 시 부하여부와 지지면의 불안정성이 하 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6(3), 133-142.

소위영, 송미순, 조비룡, 박연환, 김연수, 임재영, 김선호, 송욱(2013). 탄력밴드 운 동이 노인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지속적 효과. 한국노년학회지, 29(4), 1247-1259.

신재숙(2019). 하타요가가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일상생활체력 및 혈중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상균(2020). 기구필라테스 운동이 성인여성의 신체변화와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영은(2014). 운동 참여여부와 종목에 따른 중년 여성의 체력, 노화, 삶의 질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6(2), 1053-1062.

오세진(2018). 바른체형운동이 정신장애인의 신체조성, 자세, 정적 평형성 및 족저압 균형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진호, 정선미, 박형수(2013). 일부 여대생의 세 가지 균형조절 훈련 효과 비교.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8(4), 619-629.

윤철수(2016). 중년여성의 대둔근 트레이닝을 병행한 8주간의 코어운동이 기초체력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미선, 이충휘, 조상현, 권오윤(2000). 최대하 트레드밀 운동에 의한 피로가 신체 동요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7(2), 35-54.

이상은(2011). 8주간 코어 트레이닝이 20대 척추 측만증 여성의 Cobb’s 각, 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구(2005). 중년 남성의 유산소운동과 온열요법 참여시간에 따른 혈압과 혈관

이제승(2013). squat 운동시 지지면 상태와 부하량에 따른 코어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나(2011). 요가시 호흡 길이와 지면의 종류에 따른 자세, 자세 근육 활성도 및 자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하얀(2015). 12주간 코어 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 체력, 혈중지질 및 바른자세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영복(2013). 코어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건강체력, 균형능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재민(2012). 진동자극과 균형훈련프로그래이 여성 노인의 무릎관절 위치 감각과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경화(2012). 중년여성의 규칙적인 운동과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승욱(2013). sarcopenic obesity 여대생의 운동형태가 동맥경직도 및 hs-CRP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2), 1229-1238.

한지연(2012). 안정한 지면과 불안정한 지면에서 엉덩관절 폄 시 후방경사고리 이론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ltman, J. (2002). Weight in the balance. Neuroendrocrinol, 76, 131-136.

Bruunsgaard, H., & Pedersen, B. K. (2000). Effects of exercise on the immune system in the elderly population. Immunology and Cell Biology, 78, 523-531.

Deeks, A. A., & McCabe, M. P. (2004). Well-being and menopause: and investigation of purpose in life, self-acceptance and social role in premenopausal,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Quality of Life Research, 13(2), 389-398.

Goran, M. I. (1998). Measurement issues related to studies of childhood obesity: 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body fat distrivbution, physical activity, and food intake. Pediatrics, 101(Supplement 2), 505-518.

Harlow, S. D., Gass, m., hall, J. E., Lobo, R., Maki, P., Rebar, R. W., Sherman, S., Sluss, P. M., Villiers, T. J., & STRAW+ 10 Collaborative Group. (2012). Executive summary of the 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 10: addressing the unfinished agenda of staging reproductive aging.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97(4), 1159-1168.

Kenny, W. L., Willmore, J., & Costill, D. (2013).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Champaigh Urbana: IL, Human Kinetics.

Lemura, L. M., & Maziekas, M. T. (2002). Factors that alter body fat, body mass , and fat-free mass in pediatric obes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4(3), 487-496.

Medical Encyclo-pedia. (2003). Aging changes, Medline plus. Last updated : 9 september.

Mesch, V.R.; Boero, L.E: Siseles, N.O.; Royer(2006). Metabolic syndrome throughout the menopausal transition: influence of age and menopausal status. CLIMACTERIC-CARNFORTH 40-48.

Nassis, P., Geladas, D. (2003). Age-related pattern in body composition changes for 18-69 year old women. The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43(3), 327-333.

Nicola, O., Rino, B., Matteo, B., Marcello, P., & Alicja, W. (2006). Age and temporal trends of total physical activity among Swedish women.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5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