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종성 발음에서 나 타나는 오류를 누락, 대치, 첨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기존의 계획된 단어나 문 장, 설문 위주의 조사를 벗어나 보다 실제적인 오류를 조사하기 위해 최대한 자연 스러운 발화상태에서의 자료를 수집하려고 하였고, 그것을 위해 지역어 조사에서 그 지역의 토박이를 통해 발화를 수집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인 구술 발화 조사 방 법을 한국어 연구 목적에 맞게 변형시켜서 차용하였다. 구술 발화 조사 방법은 자 연스러운 발화를 수집하면서 조사자가 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고, 이번 연구에서 조 사한 종성 발음 오류 이외의 다른 발음 오류나 문법적 오류와 같은 여러 오류 양 상을 연구하는 데에도 적절하다. 또 제보자 전체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오류뿐만 아니라 개인에게 특히 자주 나타나거나 다른 제보자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개별 적 오류 발견에도 용이하여 분석 결과를 통해 개개인에게 맞춤 지도를 해 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Ⅰ에서 선행 연구를 검토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오류를 연구하는 데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발화 자료의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Ⅱ에서 구술 발화란 무엇인지, 구술 발화를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 질문지 항 목과 제보자 선택, 전사 방법의 부분으로 나누어 고민하고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구술 조사 방식의 의의를 논하였다. Ⅲ에서는 실제 구술 발화 조사 자료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를 누락, 대치, 첨가로 나누어 다 양한 방식으로 분석해 보았다. Ⅳ에서 이번 연구를 통해 나타난 오류 양상을 종합 하여 정리하고 향후 과제와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부분을 간략히 논하였다. 구술 발화 조사 방식을 이용한 이번 연구 자료에서는 선행 연구들과 전체적인 맥락에서 는 비슷한 결과가 나왔지만, 그 오류 예와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발견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실제 발화 상태에서 체언의 경우 조사와 함께 쓰이는 환경에서나 다른 형태소와 결합할 때, 용언의 경우 활용형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발음되는지 다각 도에서 오류 예를 조사할 수 없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새로운 조사 방법을 시도 해 본 결과, 구술 발화 조사 방식은 한국어 연구에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고 앞으

로의 연구에도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번 연구에서 제보자의 수

참 고 문 헌

백소영(2008),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와 지도방법」, 『외국어교육연

이원(2010),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의 오류 양상 분석 및 교육 방

< Abstract >

A Study on the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errors of Chinese Korean learners

kyung-Hee Kim

Department of Korean Languae and Literatue Graduate School, Je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hwan ba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Chines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as error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additions. In an attempt to collect data in the most natural ignition state to investigate more practical errors, beyond the existing planned word, sentence or questionnaire-based survey, the oral method used to collect the ignition in the local language survey, was borrow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Korean study. Oral speech research methods are appropriate to investigate various error patterns such as phonetic errors and grammatical errors other than the bell sound pronunciation errors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because the investigator can appropriately intervene while collecting spontaneous utterances. In addition to the common mistakes that occur in the whole of the Speaker, it is also easy to find individual errors that are particularly frequent in individuals or can not be found in other Speakers, and can provide personalized guidance through individual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which was investigated using verbal spoken method,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whole context with previous studies,

but there were many examples of errors and patterns. In the previous methodology of investigating various erro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contrast with

informants, and errors appeared in the form of adding the same consonants, which seems to be misunderstood or misapplied to the Korean addition syllable rules.

Based on the error patterns revealed in the present study, it is necessary to teach pronunciation in the future by combining the vocabulary with the vocabulary considering the adjacent situations such as the survey or the morpheme frequent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each various forms of pronunciation more than a word or phrase that is used in actual speech rather than a single word or syllable. Also,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in the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onunciations that appear only in Korean, unlike their mother tongue.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not to limit the pronunciation learning to the beginner level, but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the phonological rules to be presented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and to recognize that it should be taught by the learner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