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입춘춘경의례의 성립은 향리계층이 의례를 주도하였기에 가능하였다. 제주에

제주굿이라는 일률적인 관점에서 제주문화가 해석되어지는 것을 재고해보는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상과 같이 기록을 통해 살펴본 제주 입춘춘경 의례는 풍농을 기원하는 주 술적인 기능보다는 정치적인 행위에 무게가 더 실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입춘 춘경 의례는 도민에게는 풍농의 주술적 의미와 유희성을 담보한 의례였으나 호장을 위시한 향리계층에게는 통치행위에 필요한 의례였다. 중앙행정의 요구 에 호응하는 양식을 수용하기도 하였고 타 지역의 요소를 부분적으로 수용하 기도 하였다. 수용된 요소들은 제주의 방식으로 해석하여 타 지역과는 다른 방 식으로 문화를 축적하였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자료

구한국 관보 복식 관련 자료집 , 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연구소, 민속원, 20 11.

기록인 2012 winter Vol.21, 정부간행물, 2012

石器時代-鳥居龍藏 調査 琉璃乾板 , 국립중앙박물관소장유리건판8집, 국립 김해박물관, 2016

未開의 寶庫 濟州島 , 全羅南道濟州島廳, 1923.

우리나라 나무탈 , 한국민속극연구소, 개마서원, 2001.

유리원판목록집Ⅰ , 국립중앙박물관, 1997.

제주계록 , 제주연구원, 2012.

조선대세시기 , 국립민속박물관, 2007

제주생활문화100년 , 제주문화원, 일신옵셋인쇄사, 2014 한국고전용어사전 , 서울: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제주도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4.

한국사 21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국사편찬위원회, 탐구당, 2003.

한 권으로 읽는 제주특별자치도지 , 제주특별자치도, 2019.

해학과 익살의 탈 , 한국박물관연구회, 문예마당, 1999.

구글사전 https://www.google.com

국립국어원, https://www.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https://www.museum.go.kr 김영동 교수의 고전 & Life, https://kydong77.tistory.com

동북아역사넷, http://contents.nahf.or.kr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

일본어저널 2018. 10월호, 壬生狂言 미부 교겐, https://m.post.naver.com 제주신보, http://www.jejunews.com

제주특별자치도, https://www.jeju.go.kr

서연호, 한국 공연예술의 원리와 역사 , 연극과인간, 2011.

______, 한국전승연희학 개론 , 연극과 인간, 2004.

손태도, 한국의 전통극, 그 새로운 연구로의 초대 , 집문당, 2013.

심상교 외, 고성오광대 , 화산문화, 2000.

오창명, 탐라순력도 탐색 , 제주발전연구원, 2014.

운노 후쿠쥬, 한국병합사연구 , 논형, 2008.

이두현,『한국연극사 , 학연사, 2009.

______, 한국의 가면극 , 일자사, 1979.

이원조, 역주탐라록 , 제주문화원, 2019.

이상현, 전통회화의 색 , 가일아트, 2010.

이영권, 새로 쓰는 제주사 , 2012.

이익태 저, 지영록(知瀛錄) , 김익주 역, 제주문화원, 1997 이지선, 일본전통공연예술 , 제이앤씨, 2009.

이창배, 한국 가창 대계 , 홍인문화사, 1976.

이훈상, 조선후기의 향리 , 일조각, 1990.

李惠求, 韓國音樂硏究 , 國民音樂硏究會, 1957.

전성곤, 내적 오리엔탈리즘 그 비판적 검토 , 소명출판, 2012 정형호, 한국 전통연희의 전승과 미의식 , 민속원, 2008 조동일, 탈춤의 역사와 원리 , 기린원, 1989.

______, 한국의 탈춤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 문학과지성사, 1988.

진성기, 제주도무가볼풀이사전 , 민속원, 2002 한진오, 모든 것의 처음, 신화 , 한그루, 2019.

함동주외, 근현대 일본의 한국인식 , 동북아역사재단, 2009.

허남춘, 황조가에서 청산별곡 너머 , 보고사, 2010.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 각, 2007.

3.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

0.

이보람, 「가면극이 연행되는 전통축제의 유형과 특성 제주도 <입춘굿놀이>

의 축제성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53, 고려대학교한국학연구소, 201 5.

이지영, 「한국 농환 유형 연희의 역사와 연행양상」,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9.

이훈상, 「식민지기 경남 지역사회의 탈춤 ‘부흥’ 운동과 주도자들-동래 야류 연행의 문화정치학」, 대동문화연구 제79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 연구원, 2009.

조성윤, 「조선후기 제주도 지방의 신분 구조」, 한국사회사학회, 1991.

조성윤, 박찬식 「조선후기 제주지역의 지배체제와 주민의 신앙」, 탐라문화 19호,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98

최우석, 「도리이 류조[鳥居龍藏]의 식민지 조선조사와 일선동조론」, 동북아역 사논총 53호, 동북아역사재단, 2016.

한양명, 한양명, 「原典과 變換 : 도시축제로서 제주입춘굿놀이의 문제와 가능 성」, 한국민속학 37권, 한국민속학회, 2003.

한진오, 「제주도 입춘굿의 연행원리 연구」, 제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914년 6월 6일, 사료조사4, 제주입춘춘경 사진

<사진 4>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38번

<사진 5>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39번

<사진 6>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40번

<사진 7>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41번

<사진 8>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42번

<사진 9>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43번

<사진 10>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44번

<사진 11>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45번

<사진 12>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46번

<사진 13>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47번

<사진 14>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48번

<사진 15>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49번

<사진 16> 1914년 6월 6일 관덕정 마당 입춘춘경 - 50번

문서에서 제주 입춘춘경 기록의 재해석 (페이지 112-13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