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 구 는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와 우울 또는 불안장애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 산 업 안 전 보 건 연 구 원 에 서 2010년 실시된 ‘2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누락이 없는 임금근로자 7,093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카이검정,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임금근로자 중 직무에 만족하는 경우는 70.6%, 불만족하는 경우 는 29.4%이었다. 직무 만족도와 우울 또는 불안장애의 관계를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을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직무 에 불만족한 경우 우울 또는 불안장애의 위험도가 3.84~4.23배(p<0.01) 높은 것 을 관찰하였다.

직무만족도는 기업의 생산성 및 근로자의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계승복. 호텔 종사원의 불안,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김순례, 정혜선, 이복임,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관련요인 분석,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2003;14(2):190-199

김혜영. 임상간호사의 근무환경과 건강문제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9.

류다현. 산업체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박규철, 이경종, 박재범, 민경복, 이규원. 한 자동차 회사의 남성 사무직 근로 자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 회지 2008;20(3):215-224.

박정아. 중앙 행정부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박형인. 근로자가 지각한 우울,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작업 생산성에 미 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박형직. 제조업 근로자의 교대근무가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

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엄태순.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여명희. 종합병원 행정직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경희 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오미숙.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이영미, 정문희. 근로자의 건강문제에 따른 경제적 손실정도. 대한간호학회지 2008;38(4):612-619.

이현정. 건강생활실천 행위가 성인의 우울 여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임혜현. 남성 생산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보 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정소영. 직무환경 요인으로 살펴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고려대학교 노동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2.

허용석. 근로자의 우울증상과 직무 스트레스가 결근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Burgard SA, Brand JE, House JS. Perceived job insecurity and worker health in the United States. Soc Sci Med 2009;69(5):777-785.

Burton WN, Chen CY, Conti DJ, Schultz, AB, & Edington DW.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risk change and presenteeism change. J Occup Environ Med 2006;48:252-263.

Edington DW. The association of health risks with on the job productivity. J of Occup Environ Med 2005;47(8):769-777.

Karasek RA.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79;24:

285-307.

Karasek RA, Theorell A.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New York, Basic Books 1990.

Locke EA. The Nature and Course of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Monally 1976.

Herzberg F. "Work and the Nature of Man", Cleveland, OH:World. 1966.

McCormick J and Tiffin J, Industrial Psychology, 6th(ed). (Engle-Wood Cliffs:Prentice-Hill Inc, 1974:298.

Justina AV Fischer, Alfonso Sousa-Poza.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Health - The Mediating Influence of Affectivity.University of St. Gallen Discussion Paper. 2007;31.

Schuler RS.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in organization.

OrganizationalBehaviorandHumanPerformance. 1980;25(2):184-215.

Smith, Patricia Cain, et al.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A strategy for the study of attitudes. 1969.

Petri Böckerman, Pekka Ilmakunnas. The job satisfaction-productivity nexus:

A study using matched survey and register data.

Industrial &Labor Relations Review

2012;65(2):244-262.

Porter, Lyman W.; LAWLER, E. Managerial Attitudes and Performance (Homewood, IL: Richard D. Irwin, Inc). 1968.

[ABSTRACT]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 of employees in Korea

Kim Shin Hy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Jae Bum Park, M.D.. Ph.D.)

Objective : Korean employees have been reported to work the longest hours among 34 OECD member states. The entire work force in Korea worked 2,285 hours on average last year, and approximately 1.6 times longer than Germans, That is, Koreans work 6.8 hours longer weekly on average in comparison to the OECD average of 1,770 hours. As people spend more time at work, job satisfaction has drawn much attention, and relevant studies have been extensively conducted. Yet,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 is not sufficient. Hence,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releva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

Method: Based on the data from the‘2n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10)', 7,093 employees were analyzed. Job satisfaction was defined based on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item, “How do you find your overall work environment?” ‘Very satisfied’ and ‘Satisfied’ were

classified as satisfaction, whilst ‘Hardly satisfied’ and ‘Very much dissatisfied’ were classified as dissatisfaction. The size of relevance between each of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 and job satisfaction was determined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analysis of the releva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ach depression/anxiety disorder showed job dissatisfaction increased risks by 3.84~4.23 times(p<0.01) in depressoion/anxiety disorders.

Discussion: The present findings shed light on the releva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s, and suggested job satisfaction could serve as a factor for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s.

Key words : Job Satisfaction,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