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3)

E. 약사 수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의 연관성

Ⅴ. 결론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하는 병 원약사회 등록된 마약 담당 약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n수가 작은 한계 성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전체 병원 마약 담당 약사들의 특성을 대표하는 표본으 로 부족할 수 있으므로 일반화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의 직무만족 도 도구로 사용한 설문지는 역변역의 과정을 거치지 못해 표준화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NIMS 시행 당시 연구자의 중소병원 근무 경험이 바탕이 되었 고 중소병원의 지원 부족에 대한 문제 인식으로 시작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정책 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그러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와 약사 수와 의 유의한 연관성을 밝히지 못하였다. 더구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인 상수값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직무스트레스에 있어서 행정 처분에 대한 심적 부담 및 업무 특성상 전산팀이나 원무팀 등 타부서와의 협력 에 대한 부분을 연구에 담지 못한 아쉬움이 있으며 많은 약사님들이 보고기간에 대한 부담으로 긴 휴가를 보내지 못한다는 다수의 의견을 보내주셨다.

마약류 담당 약사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는 약사 수 보다는 높 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이는 업무요구도에 대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 향후 연 구의 진행 방향이 될 것이다.

I. 참고문헌

강동묵, 고상백, 김성아 등. 2판 부분개정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고려의학;2016.

김대성, 박정선.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2.

나현오, 이정선, 한옥연. 국내 8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병원약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분석. 병원약사회지 2013;30(1):20-33.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Abailable from http://www.nims.or.kr 박숙영, 박소연.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우울증상 매개효과. 지방정부연구 2018;21(4):123-142.

박정란, 이연경. 서울과 경남지역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9;33(2):309-320.

서영준, 신동영. 종합병원 약사의 이직이도 결정요인. 보건행정학회지 2002;12(3):36-53.

이영미. 응급실 중증도 분류 간호사의 업무현황,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08.

이주연. 제약기업 근무 약사의 직무만족도[석사학위 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2.

임현수, 김수진, 김훈희, 박선영, 이준섭. 마약류 통합관리시스템에 따른 병원약국의 마약류 업무 변화의 비교 [Abstract]. 병원약사회 추계학술대회 2019;P-31.

최용정. 마약류 의약품의 오남용 근절을 위한 RFID 기반 정보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2014;22(1):185-188.

한경애. 의약분업 후 종합병원 약사의 이직요인분석[석사학위 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1.

한영자.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경북: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Awalom. M. Eritrean pharmacists’ job satisfaction and their attitude to

re-professionalize pharmacy in to pharmaceutical care. Int J Clin Pharm 2015;37:335-341.

Cox. E. Pharmacists’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utilization of skills. Am J Health-Syst Pharm 1999;56(1):1733-1737.

Locke EA.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76.

Slavitt D.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1978;27(2): 114-120.

Park SA, Yun SN. A study for development of a tool measur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m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3;36(3):31-37.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