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력이 될 수도 있다.

둘째, 부부간 결혼만족도에는 부분적 영역에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 부부간 결혼만족도 차이 검증에서 남편은 공격행동에서 차이가 크고, 아내들은 관습적 반응에 차이가 크다. 이러한 현상은 앞 의 결론과 연결 지어 본다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난 두 개인이 결 혼을 하여 같이 하면서 사소한 의견 대립이나 견해차이가 부부간의 갈 등을 야기 시킨다. 이러한 갈등이 증폭되다 보면 분노가 폭발하게 되 고, 그 분노는 언어적, 신체적으로 표현이 되어 배우자에게 큰 상처를 주게 되어 그 형태에 관계없이 부부관계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러한 파괴적 영향은 불만족을 가져오게 되면서 결혼 생활을 종결하려 는 방향으로 결정 내리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즉 부부들은 부부 관 계가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 일생동안 힘들게 사느니 갈라서는 편이 낫다고 하면서 이혼으로 종결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아내들은 남 편과의 관계에서 불만족이 높지만 아내들이 가정사 노출을 꺼려하고 은폐하려는 경향이 높아 불만족이 있어도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보이 려는 왜곡된 행동을 한다.

째, 출생지역에 따른 결혼만족도는 부분적 차이가 있다.

출생지역에 따른 결혼만족도 차이에서, 타도가 제주지역보다 정서적 의사소통, 성적 불만족, 공유시간 갈등이 크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소통 과 결혼만족도에서 역기능적 대화와 문제해결 방법상의 문제와 같은 맥 락에서 볼 수 있기도 하지만 타도와의 다른 지역 문화차이와 지역 문화 적 특수성 때문에 오는 갈등일 수도 있다.

넷째, 일반적 대화 경향과 결혼만족도는 부분적 차이가 있다.

일반적인 대화경향과 결혼만족도 차이에서는 부부가 서로 대화하지 않을 때 결혼에 대한 불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대화의 중요성을 나타내 고 있다. 이는 박태영(2005)과 노익상(2002)은 논문에서 밝힌바와 같이 결혼생활을 만족하는 부부들은 결혼생활이 불만족하는 부부보다 더 많 은 시간을 함께 하고 있고, 배우자 만족에 정서적 행위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듯이 서로 대화가 잘 될 때 서로의 공통 관심사가 생기면서 신뢰감이 형성되어 정서적으로 서로 친밀감과 지지를 받았다 고 느끼면서 만족도가 상승하게 된다.

다섯째, 의사소통방식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결과에 따르면 기능적 의사소통 방식 및 역기능적 의사소통인 부정 적 대화유형과 문제해결 유형은 결혼만족도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부부들의 의사소통과 관련하여 결혼만족 도를 측정한 결과, 부부 의사소통 방식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특히 기능적 의사소통은 부부들이 결혼만족도 향상에 기여를 한다.

부부가 살아가면서 갈등은 필연적으로 있게 되지만, 원만한 부부관계 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부부 상호간의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통하 여 경험과 관심을 서로 나누고 사랑과 존경을 표현함으로써 더욱 친밀 하고 정서적으로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만 족스런 관계의 길은 부부간의 풍부한 대화가 그 지름길이라고 할 만큼 부부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하다.

따라서 의사소통은 부부 서로가 관계 향상을 위한 말하기기술, 상대

방을 배려하며 잘 듣는 기술,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