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소비자를 대상으로 환경활동 경험,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정도를 분석 하고,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 하위개념과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과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대 한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을 구매, 사용, 처분행동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관련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과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소비자들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 악하고, 청소년소비자를 대상으로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소비자들은 환경문제에 관련하여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정 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환경문제 심각성, 환경지식, 환 경활동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문제 심각성이 소비가치와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매개요인으로 서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비와 환 경오염과의 관계인식은 전체 소비가치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 식 정도가 높았으며, 환경친화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환경활동 경험이 많을수록 환경지식 수준,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및 소비 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의 하위개념은 절약성, 과시성, 차별성, 친환경성, 심미․향유성의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소비가치의 5개 차원을 중심으로 청소 년소비자의 전반적 가치성향을 분석한 결과 절약성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친환경성, 과시성, 차별성, 심미․향유성의 순이었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절약성과 친환경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절약성, 차별성, 친환경성, 심미․향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절약 성은 환경활동 경험, 환경지식 수준,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수준, 소비와 환경오염과 의 관계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과시성, 차별성 및 심미․향유성은 환경지식 수준,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친 환경성은 환경활동 경험과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환경친화적 구매행동은 월평균 용돈, 종교, 모연령, 환경활동 경험, 환경 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 를 나타냈다.

여섯째, 환경친화적 사용행동은 성별, 월평균 용돈, 환경활동 경험, 환경지식, 환 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 냈다.

일곱째, 환경친화적 처분행동은 성별, 월평균 용돈, 주거형태, 부직업, 환경활동 경험,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에 따라 유의 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덟째, 환경친화적 구매, 사용행동에 가장 큰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절 약성이었으며, 환경친화적 처분행동에는 친환경성이 가장 큰 인과적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소비자의 소비행동을 보다 환경친화적으로 변화시 키기 위한 소비자 교육의 방법과 내용을 다음과 같이 모색해 볼 수 있다.

첫째, 환경활동 경험이 환경친화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그러나 환경활동 경험정도는 2.04로 비교적 낮았으며, 환경활동 경험 중 대중매체의 활용경험, 시청각 자료를 본 경험이 다른 경험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양 한 방법의 환경활동 경험 즉, 매체를 적극적으로 구성, 활용하며 견학 및 토론의 기 회가 제공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경문제 심각성은 소비가치유형과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매개요인으로 서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은 환경친화적 사용행동과 처분행동에 매개요인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소비자의 환경교 육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학교에서 교과목을 통한 환경교육 뿐만 아니라 방과후 학교활동 및 특별활동을 통하여 환경오염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직접적인 실험 과 측정 등 체험학습의 환경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정도와 전체적인 환 경친화적 소비행동 및 환경친화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 수준이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 사회가 성별 역할이 공유되는 점을 생각할 때, 남학생의 보다 많은 환경친화적 의식 전환 및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의 강화를 실현 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이 학교뿐만 아니라 사회, 가정과 함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절약성과 친환경성의 소비가치가 환경친화적 구매행동, 사용행동, 처분행 동에 일관되게 인과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치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가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환경친화적 소비행 동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청소년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을 강화하기 위하여 청소년소비자들의 절약성과 친환경성의 소비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가정, 학교, 대중매체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천구(1993).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민음사.

강희선(1993). 청소년소비자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계선자(1997). 아동기 소비자의 환경보호의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 회지, 1-17.

고범서(1992). 가치관 연구. 서울: 다남출판사.

곽유미(1999) 환경친화적 소비태도 및 소비행동: 광주목포시 기혼여성을 대상으 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인숙외 3인(2003). 도시주부의 행동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2).

권미화(2000).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복희(2000). 소비가치에 따른 제품가치 지각 및 재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세 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봉애․강이주(1995). 아동의 환경의식과 처분행동에 관한 연구: 도시와 농촌 간 의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35-46.

김기옥 외(1998). 소비자와 시장환경. 서울: 학지사.

김미선(1996). 물질주의 성향과 충동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부임(1998). 학교환경 교육 전․후에 따른 청소년소비자의 환경보전지식과 환 경보전행동 - 중학교 1학년 환경교육중심으로.

김시월(2003). 청소년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지, 41(6), 105-117.

김양희 외 1인(1993). 여성과 환경. 한국여성개발원.

김연혜(1995). 중학생의 환경보전의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순(1997). 중학생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김영신(1989). 소비자사회화 관점에서 본 청소년들의 강박적 구매성향, 충남과학 연구지, 40-58.

김영신․임경희(1998). 청소년소비자의 강박적 구매성향에 대한 인과분석, 소비 자문제연구, 21호.

김영희(1995). 환경보존을 위한 소비자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문.

오연옥 외 3인(1995). 환경보전에 관한 인지와 관리행동, 대한가정학회지,

한국소비자보호원(1998). 청소년의 소비생활실태 및 의식조사, 한국소비자보호원.

홍은경(1996). 청소년의 의류제품 충동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서울시내 중․고등 학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환경부(1997).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환경부.

황경혜(1989). 어머니의 환경보전행동이 아동기 자녀의 환경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인창(1990). 생태적 마케팅의 효율적 전개를 위한 환경의식적 소비자의 특성분 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Anderson, W. T. & Cunningham, W. H.(1972). The socially conscious consumer, Journal of Marketing, 36, 23-28.

Antil, J. H.(1984). Socially responsible consumer: Profile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Journal of Macromarketing, Fall, 18-36.

Braithwaite, V. A. & Law, H. G.(1985). Structure of human value: Testing the adequacy of the rokeach value surve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1), 250-263.

Brooker, G.(1976). The self-actualizing socially conscious consume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3), 107-112.

Dawis, R. V. (1994). Vocational Interests, Values, and Preferences. In M. D.

Dunnette and L. M. Hongh(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 833-871

Fetterman, E. & Klamkin, C.(1976). Consumer education in practice, New York: John Wily & Sons, Inc.

Fisk, G.(1993). Criteria for a theory of responsible consumption, Journal of

Marketing, Vol. 37. January.

Henion, K. E.(1992). The effect of ecologically relevant information on detergent sa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9, 10-14.

Kahle, L. R(1983). Social values and social change: adaptation to life in

Kahle, L. R(1983). Social values and social change: adaptation to life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