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1-54)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음악과에 대한 수행평가 결과 2)

첫째 평정자간 신뢰도에서는 전체 영역별로, 84~100%의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 로 분석되어 평정자간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영역 중 활동. ‘ ’ 영역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다소 낮은 신뢰도가 산출된 것으로 보아 음악교사가 평가에 대한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고 활동영역에서의 명료하고 세부적인 채점기준, 표의 제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활용의 용이성에서는 평가 결과에 따라 성취수준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활용의 용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행평가가 다른 평. 가방법에 비해 체계적이고 명확한 채점 기준을 가지고 있어 학생이나 학부모로부 터 정보를 제공하기가 용이하고 수행평가를 통해 학생의 성취결과 뿐 아니라 과정 도 추론해 볼 수 있으므로 학생에 대한 정보 및 수업의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피드백의 질에서는 수행평가를 통하여 학생의 강점과 약점을 잘 알 수 있, 어 피드백의 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는 개별학생의 교육적 성취를 체. 계적이고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학생의 수행에 대한 특징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학생이나 학부모 또는 학교 및 교사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제언 2.

첫째, 본 연구는 장애유형이 지체장애 1, 2급의 학생들 중 상지 하지의 장애, 정도가 다소 경미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중증 장애학. 생 뿐만 아니라 다른 장애유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수행된다면 모든 특수교육대상자들에 대한 평가의 질이 높아질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는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음악과의 내용체계를 바탕으로 연구자, 가 국악요소만 추출하여 재조직한 단원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와 같이 교. 과서가 없는 교과나 재량활동 등을 평가할, 때 적용될 수 있도록 많은 기본학습지 의 예가 개발된다면 학교 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음악과를 중심으로 지체장애 학생에게, 적용한 연구이다 후속연구에서는 기본교육과정 음악과에 대한 수행평가 연구가 실. 시되어 기본교육과정을 사용하는 장애학생에게도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음악 교과는 특성상 평가자의 주관적인 관점이 내포되어 평가되어지기 쉽, 다 본 연구에서도 나타나 있듯이 평가자간 신뢰도 중 활동 영역의 신뢰도가 낮은. ‘ ’ 이유도 그에 따른다 이를 위해 음악과 수행평가를 실시할 경우 활동 영역에 대해. , ‘ ’ 좀 더 명세한 평가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다섯째, 2007년 음악과 개정 교육과정은 평가영역 중 생활화 영역을 추가하여‘ ’ 학생들이 일상 속에서 음악을 즐기는 태도를 갖게 해 주고 삶에서 음악을 활용하 고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음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정. 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생활화 영역의 평가는 음악 교사들이 풀어야 할 과제 중 하 나로서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에 대한 연장선상으로 장애학생의 학교. 내외의 음악행사 참여하기나 음악 발표하기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등의 활동, , 에 대한 다양한 학습활동의 개발과 함께 활동에 적합한 수행평가 기준 또한 모색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이 연구는 수행평가를 실시하여 그에 대한 절차 및 결과를 살펴본 연구, 이다 그러므로 교수 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생과 학부모에 대한 피드백은. -고려되지 않았다 이후에 이루어지는 후속연구에서는 수업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사. 이에 이루어지는 피드백을 포함하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1-5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