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아미리 660-1번지 소재의 소․돼지도축장인 신영 축산(주)에서 예냉실에 보관 중인 돼지 도체 54두에 대하여 좌, 우측 경부, 복부, 둔부, 등부 4개 부위별 일반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도축공정에서 일반미생물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52두에 대하여 방혈 후, 탈모 후, 최종세척 후 그리고 탕박조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검사하였다.

시료는 도체의 좌경부에서 채취하였으며 매일 2시간 간격으로 하루 4회를 검사하였다. 탕박조는 작업 전의 오염도를 추가로 검사하였다.

시료는 가로×세로 10×5㎝의 멸균된 스테인레스 격자를 사용하여 면봉 으로 채취하였다. 탕박조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멸균된 tube로 10㎖

채취하였다. 실험방법은 축산물가공처리법에 의한 축산물의 성분규격 및 개별기준에 의한 시험법을 따랐다.

본 연구는 돼지도체에 있어 좌, 우 도체의 4개 부위별 오염도를 조사 하였다. 도축공정에서는 탕박․탈모 후와 최종세척 후의 시간에 따른 오염도 변화, 탕박조 오염도의 시간/작업량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방혈 후와 탕박조 오염도, 탕박조 오염도와 탈모 후, 최종세척 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4두의 도체 부위별 오염도는 평균이 좌경부가 1.1×104CFU/㎠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좌복부로 1.0×104CFU/㎠였다. 도체 좌, 우측의 복부,

둔부, 등부, 경부 4개 부위별 오염도 차이는 없었다. 4개 부위를 합하여 좌,

분변에 의한 2차 오염방지와 계류장에서의 충분한 세척으로 탕박조의 오염도 증가를 감소시켜 도체의 미생물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침지식 탕박기를 사용하는 소규모의 작업장인 경우 탕박수를 일정 빈도로 교체하는 것도 도체의 오염도를 줄이는 방법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의 개인위생, 작업장의 위생, 세척․소독시설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도 그리고 내장파열의 빈도를 줄여주는 것도 도체의 오염도를 감소시키는 근복적인 방안이다.

도체 오염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탈모기에서의 분변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축 전 절식이 필요하며, 절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돼지유통에 있어 생체중량단위가 아닌 지육중량단위로 유통구조가 변경되어야만 전반적인 미생물 오염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미생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육류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spp, E. coli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도축과정 이후의 과정에서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위해를 감소시키는 방안 으로 예냉실에서 온도와 시간의 변화에 따른 미생물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 2002

농림부. 축산물의 생산 및 소비현황, 2002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 발생현황 및 예방대책, 2003

Bolton DJ, Pearce RA, Sheridan JJ, Blair IS, McDowell DA, Harrington D. Washing and chilling as critical control points in pork slaughter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HACCP) systems.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2002 ; 92(5) : 893-902

Bryant J, Brereton DA, Gill CO. Implementation of a validated HACCP system for the control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pig carcasses at a small abattoir. Can Vet J. 2003 ; 44(1) : 51-5

Childers AB, Keahey EE, Kotula AW. Reduction of Salmonella and fecal contamination of pork during swine slaughter. J Am Vet Med Assoc. 1977 ; 171(11) : 1161-1164

Davies RH, McLaren LM, Bedford S, Distribution of salmonella

contamination in two pig abattoirs, In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epidemiology and control of salmonella in pork. 1999 ; pp. 267-272

Eggenberger-Solorzano L, Niebuhr SE, Acuff GR, Dickson JS. Hot water and organic acid interventions to control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n hog carcasses during processing. J Food Prot. 2002 ; 65(8) : 1248-52

Gill CO, Bedard D, Jones T, The decontaminating performance of a commercial apparatus for pasteurizing polished pig carcasses. Food Microbiology. 1997 ; 14 : 71-79

Jericho KW, Bradley JA, Kozub GC. Microbiologic evaluation of carcasses before and after washing in a beef slaughter Plant. JAVMA 1995 ; 206(4) : 452-455

Marvin L. Speck.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c., 1984

Miller MF, Carr MA, Bawconry DW, Ramsey CB, Thompson LD, Microbiology of pork carcasses from pigs with differing origins and feed withdrawal times. J Food Prot. 1997 ; 60(3) : 242-245

Morrow WE, See MT, Eisemann JH, Davies PR, Zering K. Effect of withdrawing feed fro swine on meat quality and prevalence of Salmonella colonization at slaughter. J Am Vet Assoc. 2002 ; 220(4) : 497-502

Rahkio M, Korkeala H.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carcasses related to hygiene practice and facilities on slau호tering lines. Acta Vet Scand. 1996 ; 37(3) : 219-228

Rheault N, Quessy S. Comparison of host water wash and trimming of pork carcasses for reducing the level of bacterial contamination. Can Vet J. 1999 ; 40(11) : 792-795

Rivas T, Vizcaino JA, Herrera FJ. Microbial contamination of carcasses and equipment from an Iberian pig slaughterhouse. J Food Prot. 2000 ; 63(12) : 1670-1675

Yu SL, Bolton D, Laubach C, Kline P, Oser A, Palumbo SA. Effect of dehairing operations on microbiological quality of swine carcasses. J Food Prot. 1999 ; 62(12) 1478-1481

부록

일반미생물시험법

1. 일반사항

축산물의 미생물시험에 있어서 제일 유의하여야 할 점은 검사시료 중의 미생물의 상황이 시시각각으로 변하여 증식하거나 사멸하는 수가 있으며 원래 검사시료 중에 함유되어 있던 미생물 외에 별개의 미생물이 시험방법 중 오염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험상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험방법은 원칙적으로 무균조작이어야 하며 동시에 실험실내는 청결을 유지 하여야 한다.

1.1. 채취용기

1.1.1. 장갑, 검사시료(이하 “시료”라 한다)채취 용액, 시료채취용 스폰지 또는 가아제 등 모든 준비물은 반드시 멸균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1.1.2. 시료 채취기구인 핀셋, 스푼, 가위 등을 미리 몇 개씩 건열 및 화 염멸균을 한 다음 시료 1건 마다 바꾸어 가면서 사용해야 한다.

1.1.3. 소, 돼지의 도체 표면에서 시료채취시는 금속, 알루미늄 호일 또는 골판지 등으로 된 시료채취틀이 필요하다. 금속틀을 재사용할 경우 소독수에 담근 후 증류수로 세척 및 건조시켜 사용하고 알루미늄 호일, 골판지 등은 종이로 포장하여 멸균한 후 1회용으로 사용한다.

1.1.4. 시료채취틀은 항상 오염이 안되도록 보관하며 시료채취용 스폰지 또는 가아제를 댈 부분은 함부로 손을 대지 말 것이며 스폰지 또는 가아제 이외의 것이 묻지 않도록 한다.

1.2.시료채취

때에는 교반한 후에 채취하여야 하며, 여러 부위(최소 3개 부위)에서 약

1.4. 검사

2.1.3. 식육, 가공육 등은 원칙적으로 3개 부위 이상에서 약 300g(㎖) 이상을

용액으로 한다.

- 시험관 및 희석병(150㎖ 및 15㎖ 용량으로 경질초자의 마개가 있는 것)

5일 경우는 2번째 자리수가 홀수일때는 위로 반올림하고, 짝수일 경우는

구 분 희석배수

EAPC/g(㎖) 1 : 100 1 : 1,000

집락수 TNTC

TNTC

630

650 640,000

TNTC : too numerous to count EAPC : estimated aerobic plate count

3.3.4. 세균수 산출, 소 및 돼지 도체의 경우 균수는 도체 표면적당 집락수 (CFU/㎝2)로서 환산되어야 한다. 희석배수×10(배지 접종량이 0.1㎖일 경우)×

집락수×25(재료채취용량)/10㎝×10㎝(1개 부위 채취인 경우, 단 3개 부위를 채취할 경우는 300㎝2로 나누어 준다)로 산출한다. 닭의 경우는 ㎖당으로 집락수를 환산한다. 기타 시료는 집락수×희석배수로 ㎖당 또는 g당 세균수를 산출한다.

ABSTRACT

The changes of APCs during slaughter processes in the pig abattoir

Jae-Ryun Jo, D.V.M.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Dong-Gi Kim, Ph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erobic Plate Counts among abdomen, rump, back and neck i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arcasses. For the sum of each part of left and right carcas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Cs.

The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f the APCs after bleeding, dehairing and final washing in the process of slaughtering(P<0.01).

The Pearson Correlation in APCs between after bleeding and after scalding is 0.851 which is significantly high(P<0.01). The Pearson Correlation in APCs between after scalding and after dehairing / between after dehairing and after final washing are 0.853 and 0.852 each which are also significantly high (P<0.01).

APCs in the carcasses after dehairing and final washing were first decreased and then later increased, after scalding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ime/load of work.

The APCs after scalding do not significantly increase upon time/load of work.

Key word : Carcasses, Scalding Tank, Scalding․Dehairing, Pearson Correlation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