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기상기술정책』 (페이지 41-44)

조기경보 차원의 태풍 영향예보를 통한 태풍 재해 리스크 관리, 태풍의 잠재적 영 향을 예보하는 영향예보를 통한 태풍 재해대응 의사결정 지원의 가능성, 그리고 태 풍 영향예보를 위한 단계별 개발 요소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상청 예보국 영향예보팀은 이미 2016년에 제주 지역에 대한 태풍 영향예보 시 범서비스를 실시해 태풍 영향예보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개선사항들에 대한 의

1  SOPs: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모든 가능한 시나리오마다 조치를 취할 모든 담당자 및 이해당사자의 책임과 역할을 정리하여 적어놓은 것이며, 영향예·특보가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한 주요 요소임.

Very low risk Low risk Medium risk High risk

- Alert: 태풍이 이 지역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 - Action: 날씨 및 홍수예보에

계속 관심 가질 것

- Alert: 태풍이 일부 지역 홍수 및 강풍 피해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 Action: 최신 날씨예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인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조치를 취할 준비를 할 것

- Warning: 태풍에 의해 넓은 지역에 홍수와 강풍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 Action: 재산과 생활자산의 안전에 유의. 만약의 경우를 위한 대피 준비 필요. 당신의 지역에서 산사태 및 범람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 지자체의 지시를 따를 것.

최신 뉴스를 들을 수 있도록 라디오/방송시청을 유지할 것

- Warning: 확실히 태풍에 의해 넓은 지역에 홍수와 강풍 피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 - Action: 지자체에 의해 대피

명령이 떨어지면 대피할 것.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방법을 강구 할 것

Very low risk Low risk Medium risk High risk

- Alert: 태풍이 이 지역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 - Action: 날씨 및 홍수예보에

계속 관심 가질 것

- Alert: 태풍이 일부 지역 홍수 및 강풍 피해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 Action: 현재 예상되는 수위는 별다른 조치 필요 없음. 하지만 수위가 증가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

- Warning: 태풍에 의해 넓은 지역에 홍수와 강풍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 Action

: 댐과 부속구조물의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주황색 경고단계(orange alert)에 수반되는 표준 운영 절차를 가동시킬 것

: SOPs1) 에 따라, 잠재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에게 경고메세지를 보내기 위한 모든 방법 고려

- Warning: 확실히 태풍에 의해 넓은 지역에 홍수와 강풍 피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 - Action

: 댐과 부속

구조물의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심각단계(read alert) 에 수반되는 표준 운영 절차를 가동시킬 것

: SOPs에 따라, 잠재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에게 경고메세지를 보내기 위한 모든 방법 고려

영향예보 파트너십의 좋은 사례는 영국의

Natural Hazards Partnership

견을 수렴한 바 있다.

성공적인 태풍 영향예보를 위해서는 태풍에 의해 발생하는 각 재해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영향 및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져야하며, 각 수요자에게 구체적인 행동 권 고사항이 전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태풍 영향예보는 기상청만의

노력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기상/

기후/수문/방재학 등 다양한 학문적 협력뿐만 아니라 사회기반시설 관리 기관, 재해관리유관기관, 지자체, 서 비스를 전달하는 언론기관 등 다양 한 관련 분야 기관들과의 긴밀한 협 력(Partnership)이 필수적이다.

영국 자연재해 파트너십(NHP, Natural Hazards Partnership)은 영국의 정부 부처 간 재해관리의 일 관성, 재해에 대한 계획·준비 및 특보 발표와 대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협 력체로서, 영향예보 파트너십의 좋 은 사례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국민안전처, 2006-2015: 2006-2015년 재해연보.

기상청 국가태풍센터, 2014: 2013년 태풍 분석보고서, 301pp.

WMO, 2015: WMO Guidelines on Multi-hazard Impact-based Forecast and Warning Services, 23pp.

Zhang, J., 2014: Concept of Multi-Hazard Early Warning in China and Overview of Shanghai MHEWS.

GFDRR and World Bank, 2016: Implementing Multi-Hazard Impact-based forecast and Warning Services, 76pp.

[그림 8] 영국의 자연 재해 파트너십(NHP, Natural Hazards Partnership)

정 책 초 점

정 책 초 점

산림분야에서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기온상승에 따른 식생분포의 변화를 정밀하게 예측하는 모델 이 개발되어야 한다. 기후변화로 인해 침엽수림의 쇠퇴 및 북상, 혼효림의 증가, 활엽수림의 북상을 예상할 수 있는데, 이때 농림·관광업 등 다양한 연관 분야로의 파생적 영향을 고려해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 이다. 한편, 기상자료는 산불연무영향예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산불연무는 단기적으로는 항공 및 차량의 교통안전 측면에서 악영향을 주고, 장기적으로는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기 때문에 공중보 건 측면에서도 대응이 필요하다. 평지와 비교하여 산악에서의 기상이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국립산림 과학원은 산악기상 모니터링 및 자료수신 체계를 갖춘 산악기상관측망을 전국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미래 에는 수목의 생리적 현상과 환경, 미기상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하여 자료의 분석과 의사결정을 수행함으로써 모든 나무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조밀화된 산악기상관측망, 우주·항공 원격탐 사기술과 AI 기술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산림재해에 대해 보다 신속·정확한 대응시스템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

Ⅰ. 들어가며

Ⅱ. 기후변화 대응 시대의 산림과 기상정보

Ⅲ. 산림재난대응을 위한 기상정보의 활용

Ⅳ. 산악기상관측망의 구축 현황과 활용

Ⅴ. 마치며

기상, 기후 그리고 숲과 사람

박주원 경북대학교 임학전공 조교수 joowon72@knu.ac.kr

문서에서 『기상기술정책』 (페이지 4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