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치성을 배제시키기 위해 도입된 현 교육감 선출제도는 오히려 정치의 극단화 현상을 부추기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정이 시급

교육감은 현장 교육정책에 절대적 영향력을 미치며 미래세대의 가치관 성립에 주요

󰠏

변수로 작용

진보나 보수라는 정치성을 완전히 배제시키기 어려우나 기본적으로 중립성을 보장

󰠏

하지 않는 선출제도로 인한 극단적 편향성은 교육정책의 정상화를 막는 방해 요소 미래세대가 갖는 정치적 중립성과 다양함을 보장하기 위해서라도 현 선출제도의 개

󰠏

선안이 시급하며 민의를 반영할 수 있는 선출제도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

교육감 선출제도로 직선제를 유지한다면 예비선거와 같은 공천제도를 도입해 교 육감 후보자의 자질에 대한 검증이 필요

교육감 후보와 정당과의 관계를 막고 있는 현 직선제하에서는 당선자의 정치적 편향

󰠏

성에 대한 우려감은 항상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예비선거의 도입으로 어느 정도의 중립성 강화가 가능

󰠏 예비선거를 포함한 공천제도의 도입은 민의를 완벽히 반영할 수 있는 즉 중위투표자, 성향에 따르는 결과를 도출하는데 부족하지만 적어도 편향성을 제한할 수 있는 제도 또한 후보의 자질에 대한 사전적 검토를 통해 유권자는 적어도 차적 검증을 받은1

󰠏

후보 중 선택할 수 있는 정보의 비대칭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본 연구의 결과는 정치성의 배제를 위해 도입된 정당과 교육감 후보와의 분리제도가 정치성을 오히려 증폭시켜 정치적 선택에서도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존재함을 반증

흔히 경제정책의 부메랑으로만 간주되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라는 문제점에는 정치

󰠏

제도의 선택에도 존재하며 경제주체만이 아닌 정치주체도 고려해야 하는 사안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대한 심각한 고려 없이 도입되는 많은 정치제도로 인한 사회

󰠏

적 문제점을 파악해 규제타파와 같은 맥락에서 개혁방안도 고려할 필요

참 고 문 헌

[ 국내문헌 ]

강인수 김성기 ・ , 「 교육감 선출제도 개선방안 연구 」 , 교육행정학연구 , 23(2), 261-280, 2005.

고전 (Ko, Jeon), 「 제주특별자치도 실시에 따른 교육자치제 변화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 , , 25(3), 197-218, 2007.

고전 (Ko, Jeon), 2007 「 년 교육감 주민직선 결과 및 쟁점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 , , 26(2), 133-152, 2008.

고전(Ko, Jeon), 교육선거 교육감 교육의원 의 개선방안에 대한 토론 교육감 교육의원선거의 실 ( ・ ) , ・ 태와 개선방안 토론회 자료집 사회통합위원회 한국지방자치학회 공동 주최 , ・ , 2010.

교육과학기술부 , 「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 조직 및 교육감 선출 방안 연구 」 , 2011.

교육부 지방교육지원국 지방교육자치제 개요 , ‘ ’, 2010.

국가법령정보센터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시행 , 「 」 ( 2014.7.1, 법률 제 12394 , 2014.2.13. 호 일 부개정).

국회입법조사처 , 「 주요국의 교육감 선출제도 및 시사점 」 , 이슈와 논점 291 , 2011. 호 문부과학성, 교육위원회 현황조사 ‘ ’(2010.3.9-4.7) 결과 발표자료.

송기창 , 「 현행 교육감 직선제에 대한 평가와 개선과제 」 , 한국교육개발원 , 2009.

송봉섭 , 「 교육감 교육위원 선거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 , 2009.

윤상호 . 2013. “ 인구고령화와 유권자 정치 성향의 변화 ”, KERI Insight, 2013-14, 한국경제연구원 . 이기봉 교육인적자원부 ( ), 「 지방교육자치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 , 인터넷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2014. “ 선거통계시스템 ”, URL http://info.nec.go.kr/.

최영출 , 「 지방교육자치제도 개선방안 교육감 선출제도를 중심으로 : 」 , 2011.

홍민식 교육인적자원부 ( ), 「 지방교육자치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 , 인터넷 .

제 회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와 후보 이념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미발간 한국

SBS. 2014. “ 6 ”,

정당학회 용역보고서.

해외문헌

[ ]

Alvarez, R Michael and Betsy Sinclair. 2012. “Electoral Institutions and Legislative Behavior: The

Effects of Primary Processes”.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65(3):544-557.

Ballotpedia(http://ballotpedia.org/Superintendent_of_Schools).

Bifulco, Robert and Helen F Ladd. 2006. “Institutional change and coproduction of public services:

The effect of charter schools on parental involvement”.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6(4):553-576.

Black, Duncan. 1948. “On the Rationale of Group Decision-Making”.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56 (1):23-34.

Congleton, Roger D. 2004. “The Median Voter Model”. In The Encyclopedia of Public Choice.

Springer, 707-712.

Congleton, Roger D. and William F. II Shughart. 1990. “The Growth of Social Security: Electoral Push or Political Pull?” Economic Inquiry 28 (1):109-132.

Cox, Gary W. 1994. “Strategic Voting Equilibria under the Single Nontransferable Vot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08-621.

Downs, Anthony. 1957. “An Economic Theory of Political Action in a Democrac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5 (2):135-150.

Duverger, Maurice. 1963. Political Parties: Their Organization and Activity in the Modern State.

Science editions. Wiley.

. 1972. “Factors in a Two-Party and Multiparty System”. In

――――

Party Politics and Pressure

Groups: A Comparative Introduction. New York: Thomas Y. Crowell, 23-32.

Gerber, Elisabeth R and Rebecca B Morton. 1998. “Primary election systems and representation”.

Journal of Law Economics and Organization 14 (2):304-324.

Grofman, Bernard. 2004. “Downs and Two-Party Convergence”.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7:25-46.

Grofman, Bernard and Thomas L. Brunell. 2001. “Explaining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U.S. Senators Elected from the Same State: An Institutional Effects Model”. In

Congressional primaries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Pub Inc, 132-142.

Hall, Andrew B. 2014. “What Happens When Extremists Win Primarie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forthcoming.

Hirano, Shigeo and James M. Jr Snyder. 2014. “Primary Elections and the Quality of Elected Officials”. Unpublished Manuscrip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Hotelling, Harold. 1929. “Stability in Competition”. Economic Journal 39 (153):41-57.

Kim, HeeMin and Richard C Fording. 1998. “Voter Ideology in Western Democracies, 1946-1989”.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33 (1):73-97.

. 2003. “Voter Ideology in Western Democracies: An Update”.

――――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42 (1):95-105.

KIM, Young-hwa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Present Superintendent Election System-Centered on Co-Registration Direct Election by Residents”, KEDI Educational Policy Forum, 2011.

Laakso, Markku and Rein Taagepera. 1979.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 Measure with Application to West Europe”.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12 (1):3-27.

LEE, Sang-chul, “An Analysis of Major Issues and Future Tasks on the Direct Superintendent Election by Residence”,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41, 2011.

Lijphart, Arend. 1984. Democracies: Patterns of Majoritarian and Consensus Government in

21Countri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 1994.

――――

Electoral Systems and Party Systems: A Study of Twenty-Seven Democracies, 1945-1990. Comparative European poli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Merrill, Samuel and Bernard Grofman. 1999. A Unified Theory of Voting: Directional and Proximity

Spatial Model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Mueller, Dennis C. 2003. “Multipart System”. In Public Choice I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4-302.

Ostrom, Vincent and Elinor Ostrom. 1999. “Public Goods and Public Choices”. In Polycentricity

and Local Public Economies. Readings from the Workshop in Political Theory and Policy Analysis, edited by Michael McGinni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75-105.

Palfrey, Thomas R. 1989. “A Mathematical Proof of Duverger’s Law”. In Models of Strategic Choice

in Politics, edited by Peter C. Ordeshook.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69-91.

PARK, Sae-hoon, Mi-ae JO & Ga-in KIM, “Issues and Tasks of Superintendent and Education Board Member Election System”,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3), 2012.

Poole, Keith T. and Steven R. Daniels. 1985. “Ideology, party, and voting in the US Congress, 1959-1980”.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373-399.

Poole, Keith T. and Howard Rosenthal. 2000. Congress: A Political-Economic History of Roll Call

Voting.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Riker, William H. 1982. “The Two-Party System and Duverger’s Law: An Essay on the History of Political Scienc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53-766.

SONG, Ki-chang & So-young PARK, “The Ballot Order Effects in the 2010 Election for Superintendents and Councilor of Education”, 2011.

SUNG, Byung-chang & Dal-hyo KIM,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bout Inhabitants’ Direct Election for Superintend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5(2), 2007.

Taagepera, Rein and Bernard Grofman. 1985. “ethinking Duverger’ Law: Predicting the Effective Number of Parties in Plurality and PR Systems arties Minus Issues Equals One”. –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13 (4):341 52.

Taagepera, Rein and Matthew S. Shugart. 1989. Seats and Votes: The Effects and Determinants of

Electoral Systems.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The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http://www.ccsso.org) The Office of Superintendent of Public Instruction(http://www.ecs.org)

Volkens, Andrea, Pola Lehmann, Nicolas Merz, Sven Regel, and Annika Werner. 2013. The

Manifesto Data Collection. Manifesto Project (MRG/CMP/MARPOR). Version 2013b. Berlin:

Wissenschaftszentrum Berlin f¨ur Sozialforschung (WZB). With Lacewell, Onawa Promise

/ Schultze, Henrike.

부 록

중위투표자 정치이념 추정의 예시 경기도

A. :

본 부록은 수식 (4) 를 통한 중위투표자의 정치이념 추정방식을 경기도의 도지사 와 교육감 선거를 추정의 예로 제시

경기도의 도지사와 교육감 선거에는 각기 명과 명의 후보가 참여했으며 표2 6 [ A1]이

󰠏

적고 있는 정치이념을 표방하고 있다고SBS(2014)은 보고 중위투표자 정치이념의 추정방식

[ A1] : 경기도

도지사 선거 (a)

후보 정치이념 하한 상한 득표율 수정득표율 중위투표자 이념

김진표 3.6 0 3.9 49.57 49.57

3.952

남경필 4.2 3.9 10 50.43 50.43

교육감 선거 (b)

후보 정치이념 하한 상한 득표율 수정득표율 중위투표자 이념

이재정 2.7 0 3.85 36.51 40.21

4.871

김광래 5 3.85 5.15 11.32 12.47

정종희 5.3 5.15 5.65 7.25 7.98

조전혁 6 5.65 6.35 26.11 28.76

최준영 6.7 6.35 10 9.60 10.58

박용우 - - - 9.20

-또한 표[ A1]의 결과를5.2절에서 소개된 중위투표자 추정방식을 통해 설명한다면 그림[

󰠏

과 같은 예증이 가능 A.1]

그림 중위투표자 정치이념의 추정방식

[ A.1] : 경기도

그림 은 경기도 도지사와 교육감 선거에 참여하고 가 보고하고 있는

[ A.1] SBS(2014)

󰠏

각 후보의 정치이념을 순서대로 나열

두 명의 후보가 참여한 경기도 도지사 선거 결과에 근거해 추정된 중위투표자 정 치이념은 그림 [ A.1] 을 통해 다음과 같이 설명이 가능

가 보고하고 있는 이재정 후보 그리고 남경필 후보의 정치이념을

SBS(2014) 1

󰠏 – 의0

범위를 갖는 일차적 공간에 순서대로 배치

󰠏각기3.6과4.2라는 정치이념을 표방하는 이재정과 남경필 후보 간의 중간값은L = 3.9 이며 중간값을 기준으로 유권자의 선호관계를 적용한 각 후보의 투표구간을 설정

• 1 – 3.9 라는 정치이념구간에 포함되는 유권자는 이재정 후보에게 , 3.9 – 라는 정치이념 0 구간에 포함되는 유권자는 남경필 후보에게 투표

각 후보의 득표율에 따라50%의 누적득표율을 포함하는 득표구간은 남경필 후보의

󰠏

득표구간인L = 3.9와H = 10의 사이이며 중위투표자 또한 이 득표구간 안에 존재 중위투표자가 포함된 득표구간의 폭은 W

󰠏 =6.1,득표율은F =50.43,그리고 바로 이 전 구간까지의 누적득표율은 C =49.57이며 이를 수식(4)에 대입

     

  

× 

    

  

×   

(A.1)

경기도 교육감 선거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위투표자 정치이념도 도지사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표 [ A1] 의 박용우 후보와 같이 SBS(2014) 의 설문

조사에 응답하지 않은 후보가 존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