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1. 연구의 요약

1876년부터 1910년까지 부산일본전관거류지의 형성과 변화를 연구한 결 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⑴ 부산일본전관거류지로 유입된 건축은 대부분 일본의 거류지 경영에 필 요한 관공서 및 공공시설에서 비롯되었다. 초기 건축물은 대부분 일본풍의 서구건축 양식이며 그 대부분을 초량왜관시기에 있었던 건물들의 부지 위 에 건립되었다.

⑵ 일본인의 대량 이주는 거류지의 팽창을 유도하였고 이와 더불어 일본식 건축물이 부산지역에서 늘어났다. 초기에 세워진 건물들은 대부분 일본인 의 경제활동에 필요한 건물들이 대다수였으며 경제활동에서 중추적 역할을 맡은 은행업이나 거류민을 위한 공공시설은 당시 일본의 건축변천과 함께 서구식 건물이 설립될 수 있었다.

⑶ 부산일본전관거류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건물은 상업관련 건축이다.

여러 회사와 조합들의 진출로 인해 활발히 건립되었던 것이라고 추측된다.

부산에서 일본인의 경제활동은 무척 활발하였으며 경제적 이익의 추구를 위해 많은 일본인들이 이주하였다. 당시의 지도들을 통해서 일정한 이상의 사세를 가지는 회사들은 독자적인 사옥을 보유하였다고 추측할 수 있다.

⑷ 거류지에서의 건축활동은 크게 영사관 및 이사관 주도의 건축과 거류민 단 중심의 건축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전자는 공공시설물의 설립을 담당하였고 후자는 민생에 관련된 생활시설물의 설립을 분담하였다. 특히 교육시설 부분은 거류민단이 주도적으로 시행하였다.

⑸ 개항 초기 대다수의 건축물은 관공서와 공공시설이 주를 이루었으나 차

츰 거류지의 확장은 교육시설과 종교시설의 필요를 요구하게 되었고 교육 시설은 교사(校舍)의 확장과 이전을 통해 점점 그 수가 증가하였고 종교시 설은 다양한 종파들에 의해 거류지 생활중심지에 설립되었다. 그러나 서구 의 식민지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교육시설과 더불어 유입되는 종교시설이 설립되는 현상은 부산일본거류지에서 찾아볼 수 없는데, 이는 거류민단의 존재 때문으로 생각한다.

⑹ 부산일본거류지에는 다양한 업종별 직업과 함께 각기 다른 용도의 건축 이 설립되었다. 취체영업은 까다로운 건축규정에 의해 그 설립에 어려움이 많았으며 그 중 연극장은 비록 그 수는 적었으나 각광을 받았다. 또한 요 리집과 음식점은 비록 건축적인 면에서 규제는 받지 않았으나 연극장과 갖 는 친연성으로 인해 연극장 주변에 설립되어 나갔다.

⑺ 거의 사라져버린 부산일본거류지에서의 근대건축에 대한 건축적인 세부 표현을 당시 이사청 회계사무장정에서 일부 찾을 수 있었다. 이사청 회계 사무장정에는 특히 지도제작과 건축물 내부구조에 대한 내용이 담겨져 있 었다.

⑻ 매립지의 조성은 부산에 당시로서 획기적인 규모와 외관을 지니는 건축 물을 설립하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랜드마크적인 건축물로서 부산역, 부산 세관, 부산우편국이 설립되었다.

⑼ 도시 개발의 역사 측면에서 초량왜관의 설치시기에 마련된 건물들의 용 도와 위치는 부산일본거류지시기까지 그 이용과 개발에 일정한 영향을 주 었다.

⑽ 부산일본거류지는 시가지의 구성과 형태가 부산항을 토대로 대륙침략을 위한 거점도시로서 만들어졌고 성장해 나갔다.

5-2. 연구의 의미와 한계

건축은 사회상의 표현이다. 1876년 개항 이후 밀려들어오는 서구의 문물 속에서 부산은 일본전관거류지라는 특수한 사정을 통해서 근대건축에 접하 게 되었다.

부산에 있어서 근대건축은 대부분 일본이 그들의 편의에 의해 이 땅에 설립한 건축이 대부분이며 불순한 설립 취지와 역사적 상황에 의해 오늘날 까지 남아있는 건축물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지금으로서는 몇 장의 사진 만이 그 시대를 전해주고 있을 따름이다. 더하여 일본이 주체적으로 활동 한 시기의 근대건축은 과거청산의 차원에서 보존의 여유라는 기회조차 제 공받지 못하고 있다. 이런저런 이유들로 근대건축의 연구과정에는 마치 선 사시대(先史時代)의 ‘기록부재(記錄不在)’라는 현실적 어려움에 부딪히곤 한 다.

근대건축을 연구하는 목적 중의 하나는 현대건축(現代建築)을 이해하고 접목시키는데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개항 이후 부산에서 전개 된 사건들과 그 자료들을 통해서 부산에 유입된 건축을 추적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참 고 문 헌

1. 부산부, 부산부사원고, 도서출판 민족문화, 1987.7.4 2. 통감부, 통감부통계연보, 고도활판소, 1907.12.23 3. 통감부, 통감부통계연보, 동경제본합자회사, 1910.3.12 4.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통계연보, 빈전활판소, 1911.3.25

5.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통계연보, 조선총독부관방인쇄소, 1913.12.10 6. 국회도서관, 통감부법령자료집 上, 서경문화사, 1991.4.4

7. 국회도서관, 통감부법령자료집 中, 서경문화사, 1991.4.4 8. 국회도서관, 통감부법령자료집 下, 서경문화사, 1991.4.4 9. 부산주재일본영사관, 경상도사정, 항도부산 제7호, 1969

10. 도영주․윤일주, 1910년 이전의 부산의 양풍건축, 항도부산 제3호, 1963.12.30

11. 김용욱, 부산축항지, 항도부산 제2호, 1963.6.30

12. 김대상, 개항 직후 부산의 사회문화, 항도부산 제6호, 1967.6.10 13. 부산시사편찬위원회, 부산약사, 1968.3.2

14. 大曲美太郞, 김의환 역, 부산의 고적과 유물에 관한 자료, 항도부산 제7호, 1969.1.31

15. 부산시사편찬위원회, 부록사진, 항도부산 제6호, 1967.6.10

16. 부산시사편찬위원회, 개항직후의 무역상업계 사료초, 항도부산 제6호, 1967.6.10

17. 부산상공회의소․부산경제연구원, 부산경제사, 1989.7.1 18. 손정목, 한국개항기도시변화과정연구, 일지사, 1994.12.30 19. 손정목, 일제강점기도시사회상연구, 일지사, 1996.1.25

20. 김용욱, 일제강점기 부산의 행정조직과 일제의 통치구조, 항도부산 제15호, 1998. 12.30

21. 에드워드 사이덴스티커, 허호 역, 도쿄이야기, 이산, 1997.10.15 22. 아손 그렙스트, 김상열 역, 코레아코레아, 도서출판 미완, 1986.4.5 23. 이종률, 테마로 보는 부산항이야기, 해성, 1997.6.25

24. 이원균, 부산의 역사, 도서출판 늘함께, 2000.2.20

문서에서 나타난 建築的 特性에 關한 硏究 (페이지 130-13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