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 분석 방법

Ⅲ. 결과

전체 대상자 8,775명 중 남자가 3,575명(40.7%), 여자가 5,200명(59.3%)이 었다. 수면시간에 따른 대상자의 분포는 5시간 이하 17.0%, 6시간에서 8시간 76.9%, 9시간 이상 5.9%였다. 치주질환 유병 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분포는 정상 이 64.3%, 유병이 35.6%였다.

B. 치주질환에 따른 요인별 특성 차이 1.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치주질환

대상자 8,775명 중 치주질환 정상은 여자가 72.1%로 남자 57.9%보다 높 았고, 연령은 30대에서 14.8%, 40대 30.3%, 50대 42.6%, 60대 47.7%, 70대 48.4%, 80대 이상 45.6%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주질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소득수준은 하 45.7%, 중하 38.2%, 중상 30.5%, 상 30.0%로 소득수준이 높을수 록 치주질환 유병률이 감소하였다.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 48.0%, 중졸 44.8%, 고 졸 35.9%, 대졸 이상 23.6%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치주질환 유병률이 감소하였 다.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유배우자 34.6%, 별거·사별·이혼 44.3%, 미혼 20.2%를 나타낸다.

Characteristic NormalPeriodontal DiseaseDiseased p-value

Gender 0.000

Male 1,971 (57.9) 1,604 (42.1)

Female 3,677 (72.1) 1,523 (27.9)

Age(yrs) 0.000

30-39 1,347 (85.2) 223 (14.8)

40-49 1,307 (69.7) 491 (30.3)

50-59 1,196 (57.4) 826 (42.6)

60-69 1,008 (52.3) 861 (47.7)

70-79 676 (51.6) 629 (48.4)

80≤ 114 (54.4) 97 (45.6)

Household income 0.000

Low 898 (54.3) 754 (45.7)

Low-Middle 1,365 (61.8) 868 (38.2) Middle-High 1,657 (69.5) 760 (30.5)

High 1,728 (70.0) 745 (30.0)

Education level 0.000

Less than primary school graduation 1,143 (52.0) 1.013 (48.0) Middle school graduation 593 (55.2) 463 (44.8) High school graduation 1,765 (64.1) 973 (35.9) More than a college diploma 2,147 (76.4) 678 (23.6)

Marital status 0.000

Married 4,520 (65.4) 2,486 (34.6) Divorced, separated, widowed 709 (55.7) 541 (44.3)

Unmarried 419 (79.8) 100 (20.2)

Values are presented as n(%)

Table 1.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치주질환

2. 건강행태에 따른 치주질환

음주 여부에 따른 치주질환 유병률은 음주 시 34.5%, 비음주 시 34.6%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흡연 여부에 따라서는 현재 흡연자 47.3%, 비흡연자 혹은 과거 흡연자 31.2%로 흡연 시 치주질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하루 근로시 간이 하루 8시간 미만 35.2%, 하루 8시간에서 10시간 32.0%, 하루 10시간 초과 39.5%, 무직 33.3%로 권장시간인 하루 8시간에서 10시간 근로 시 치주질환 유병 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군에서 31.1%, 적게 느끼는 군에서 35.7%로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는 군에서 치주질환 유병률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압에서 고혈압 47.9%, 고혈압 전 단계 33.6%. 정상 27%

로 혈압이 정상에 가까울수록 치주질환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54.4%, 공복혈당장애 41.9%, 정상 28.7%로 혈당이 정상에 가까울수록 치주질환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체중(비만) 40.3%, 정상 32.0%, 저체중 22.6%

로 체중이 적을수록 치주질환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혈 증 유병 시 40.4%, 정상 시 33.3%로 정상에서 치주질환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HDL 수치가 유병 45.7%, 정상 32.0%로 정상에서 치주질환 유병률 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중성지방 유병 44.5%, 정상 32.5%로 정상에서 치주 질환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haracteristic NormalPeriodontal DiseaseDiseased p-value

Drinking 0.907

Drinking 2,913 (65.5) 1,619 (34.5) Non-drinking 2,735 (65.4) 1,508 (34.6)

Smoking 0.000

Smoking 755 (52.7) 716 (47.3)

Non-smoking 4,893 (68.8) 2,411 (31.2)

Working hours 0.000

Less than 8 hours 1,416 (64.8) 802 (35.2) 8-10 hours 1,390 (68.0) 670 (32.0) Over 10 hours 854 (60.5) 592 (39.5) Inoccupation 1,988 (66.7) 1,063 (33.3)

Stress 0.001

A lot 1,373 (68.9) 641 (31.1)

A little 4,275 (64.3) 2,486 (35.7)

Blood pressure level 0.000

Hypertension 1,537 (52.1) 1,352 (47.9) Prehypertension 1,347 (66.4) 724 (33.6) Normal 2,764 (73.0) 1,051 (27.0) Fasting blood glucose level

Diabetes mellitus 508 (45.6) 563 (54.4) 0.000 Impaired fasting glucose 1,193 (58.1) 891 (41.9)

Normal 3,947 (71.3) 1,673 (28.7)

Body mass index 0.000

Underweight 197 (77.4) 62 (22.6) Normal 3,691 (68.0) 1,827 (32.0) Obesity 1,760 (59.7) 1,238 (40.3)

Hypercholesterolemia 0.000

Diseased 1,018 (59.6) 679 (40.4) Normal 4,630 (66.7) 2,448 (33.3)

Low HDL 0.000

Diseased 866 (54.3) 737 (45.7)

Normal 4,782 (68.0) 2,390 (32.0)

Hypertriglyceridemia 0.000

Diseased 780 (55.5) 602 (44.5)

Normal 4,868 (67.5) 2,525 (32.5) Values are presented as n(%)

Table 2. 건강행태에 따른 치주질환

3. 구강관리행태에 따른 치주질환

Characteristic NormalPeriodontal DiseaseDiseased p-value

Tooth brushing 0.000

Less than 2 3,055 (70.0) 1,379 (30.0) Over 3 2,593 (60.5) 1,748 (39.5)

Oral hygiene items 0.000

Use 3,232 (70.7) 1,381 (29.3)

Do not use 2,416 (59.2) 1,746 (40.8) Values are presented as n(%)

Table 3. 구강관리행태에 따른 치주질환

Characteristic NormalPeriodontal DiseaseDiseased p-value

Sleep duration 0.000

Less than 5 hours 917 (61.9) 579 (38.1) 6-8 hours 4,431 (66.6) 2,322 (33.4) Over 9 hours 300 (59.1) 226 (40.9) Values are presented as n(%)

Table 4. 수면시간에 따른 치주질환

C. 수면시간과 치주질환의 연관성

수면시간과 치주질환의 교차비(odds ratio)를 구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 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형 1은 성별, 연령을 보정한 상태에서 수면시간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모형 2는 추가적으로 소득수준, 교육수준, 결 혼 여부, 음주, 흡연, 하루 근로시간, 스트레스, 고혈압, 당뇨병, 비만, 고콜레스테 롤혈증, 저HDL, 고중성지방혈증을 보정한 상태에서 분석하였다. 모형 3은 하루 칫솔질 횟수, 보조 구강용품 사용 여부를 추가하여 보정한 상태에서 분석하였다.

수면시간에 따른 치주질환 유병률을 살펴본 결과, 수면시간 6시간에서 8 시간이 33.4%, 5시간 이하 38.1%, 9시간 이상 40.9% 순으로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수면시간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보았을 때, 수면시간 6시간에 서 8시간을 기준으로 5시간 이하는 모형 1에서는 OR는 1.099, 95% CI는 0.953-1.268, 모형 2에서는 OR는 1.009, 95% CI는 0.873-1.167, 모형 3에서는 OR 는 1.014, 95% CI는 0.877-1.172로 나타났고, 9시간 이상이 모형 1에서는 OR는 1.490, 95% CI는 1.187-1.870, 모형 2에서는 OR는 1.347, 95% CI는 1.063-1.706, 모형 3에서는 OR는 1.331, 95% CI는 1.050-1.686으로 나타났다.

Characteristic Periodontal Disease

Model 1 Model 2 Model 3

Sleep duration

Less than 5 hours 1.099 (0.953-1.268) 1.009 (0.873-1.167) 1.014 (0.877-1.172) 6-8 hours 1.000 (0.000-0.000) 1.000 (0.000-0.000) 1.000 (0.000-0.000) Over 9 hours 1.490 (1.187-1.870)** 1.346 (1.063-1.706)* 1.331 (1.050-1.686)* Gender

Male 2.058 (1.845-2.295)***1.618 (1.391-1.883)***1.580 (1.356-1.841)***

Female 1.000 (0.000-0.000) 1.000 (0.000-0.000) 1.000 (0.000-0.000) Age

30-39 0.206 (0.140-0.302)***0.348 (0.227-0.534)***0.354 (0.231-0.542)***

40-49 0.536 (0.374-0.768)** 0.755 (0.510-1.116) 0.767 (0.519-1.132) 50-59 0.923 (0.653-1.303) 1.154 (0.802-1.662) 1.171 (0.814-1.685) 60-69 1.138 (0.798-1.623) 1.225 (0.859-1.747) 1.244 (0.873-1.772) 70-79 1.188 (0.834-1.694) 1.206 (0.853-1.707) 1.202 (0.850-1.701) 80≤ 1.000 (0.000-0.000) 1.000 (0.000-0.000) 1.000 (0.000-0.000) Household income

Low 1.207 (0.971-1.501) 1.175 (0.944-1.463)

Low-Middle 1.175 (0.984-1.402) 1.157 (0.968-1.381)

Middle-High 0.966 (0.804-1.161) 0.961 (0.799-1.156)

High 1.000 (0.000-0.000) 1.000 (0.000-0.000)

Education level

Less than primary school graduation 1.503 (1.191-1.897)* 1.416 (1.116-1.796)**

Middle school graduation 1.427 (1.144-1.781)* 1.370 (1.093-1.718)**

High school graduation 1.383 (1.179-1.622)***1.359 (1.158-1.596)***

More than a college diploma 1.000 (0.000-0.000) 1.000 (0.000-0.000) Marital status

Married 1.338 (1.013-1.767)* 1.352 (1.023-1.786)*

Divorced, separated, widowed 1.437 (1.045-1.977)* 1.443 (1.048-1.985)*

Unmarried 1.000 (0.000-0.000) 1.000 (0.000-0.000)

Drinking

Drinking 0.871 (0.764-0.992)* 0.868 (0.762-0.990)*

Non-drinking 1.000 (0.000-0.000) 1.000 (0.000-0.000)

Smoking

Smoking 1.924 (1.642-2.256)***1.903 (1.622-2.234)***

Non-smoking 1.000 (0.000-0.000) 1.000 (0.000-0.000)

Working hours

Less than 8 hours 1.140 (0.980-1.327) 1.131 (0.971-1.316)

8-10 hours 1.182 (0.990-1.413) 1.181 (0.989-1.411)

Over 10 hours 1.234 (1.042-1.462)* 1.222 (1.032-1.448)*

Inoccupation 1.000 (0.000-0.000) 1.000 (0.000-0.000)

Stress

A lot 0.862 (0.751-0.989)* 0.857 (0.747-0.983)*

A little 1.000 (0.000-0.000) 1.000 (0.000-0.000)

Table 5. 수면시간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Blood pressure level

Hypertension 1.270 (1.098-1.470)* 1.256 (1.086-1.453)*

Prehypertension 0.903 (0.779-1.045) 0.899 (0.776-1.042)

Normal 1.000 (0.000-0.000) 1.000 (0.000-0.000)

Fasting blood glucose level

Diabetes mellitus 1.577 (1.310-1.898)***1.576 (1.309-1.897)***

Impaired fasting glucose 1.214 (1.061-1.389)**1.216 (1.062-1.392)**

Normal 1.000 (0.000-0.000) 1.000 (0.000-0.000)

Body mass index

Underweight 0.894 (0.613-1.304)* 0.893 (0.612-1.302)

Normal 1.000 (0.000-0.000) 1.000 (0.000-0.000)

Obesity 1.152 (1.018-1.303) 1.145 (1.012-1.296)*

Hypercholesterolemia

Diseased 0.973 (0.853-1.110) 0.981 (0.860-1.119)

Normal 1.000 (0.000-0.000) 1.000 (0.000-0.000)

Low HDL

Diseased 1.179 (1.021-1.362)* 1.174 (1.017-1.357)*

Normal 1.000 (0.000-0.000) 1.000 (0.000-0.000)

Hypertriglyceridemia

Diseased 1.071 (0.909-1.262) 1.072 (0.910-1.263)

Normal 1.000 (0.000-0.000) 1.000 (0.000-0.000)

Tooth brushing

Less than 2 0.927 (0.828-1.037)

Over 3 1.000 (0.000-0.000)

Oral hygiene items

Use 0.858 (0.760-0.968)*

Do not use 1.000 (0.000-0.000)

Values are presented as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p-value<0.05 **p-value<0.01 ***p-value<0.001 Model 1: adjusted for age and gender.

Model 2: further adjusted for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drinking, smoking, working hours, stress, blood pressure level, fasting blood glucose level, body mass index, hypercholesterolemia, low HDL, hypertriglyceridemia plus model 1.

Model 3: further adjusted for tooth brushing, oral hygiene items plus model 2.

Ⅳ. 고 찰

또, 국제수면장애 분류 제3판(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3rd edition)에 따르면 불면증(Insomnia), 수면과 관련된 호흡 장애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수면 과다증(Central disorders of hypersomnolence), 수면-각성장애(Circadian rhythm sleep-wake disorder), 사건 수면(parasomnias), 수면과 관련된 운동장애(Sleep-related movement disorders), 기타 수면장애(Other sleep disorders) 7가지로 분류하였다. 일반적으로 수면장애

있다고 한다. 이런 수면장애로 인한 신체질환, 스트레스, 자살사고, 인지기능 저 하, 우울증 등은 전신건강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구강 건강에도 영향을 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면시간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치주질환 발생 위험은 권장하는 수면시간인 6시간에서 8시간보다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로 적을수록, 치주질환 유병률이 높 게 나왔지만 다른 변수를 보정 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 였고,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으로 많을수록 치주질환 유병률 역시 높게 나왔고, 다른 변수를 보정 한 결과 또한 유의하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순히 수면시간만을 변수로 지정하여 수면의 질 등을 고려하 지 못한 점에서 치주질환과 수면과의 연관성에 부족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단면연구이기 때문에 수면시간과 치주질환간의 인과적 관계를 명확히 알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향후 수면의 질에 대한 깊은 평가와 계속적인 추적 조사를 통한 코호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을 대표하는 대규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연구라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으며, 치의학 영역에서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아 도전한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Ⅴ. 결 론

참고문헌

김나현, 최홍민, 임세원, 오강섭. 불면증의 심각도와 우울, 불안 및 불안 민감성 의 관계.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06:13(2):50-66

김신형, 박철수, 김봉조 등. 일 도시 대학생들의 자살사고와 불안 및 수면의 질 사이의 연관성. Sleep medicine and psychophyysiology. 2017:24(1):55-61

김재민, 김성완, 양수진 등. 노인에서 신체질환과 불면증 간의 전향적 연관성.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8:47(5):488-492

두산백과, doopedia & doopedia.co.kr. http://www.doopedia.co.kr/doopedia/

master/m 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0610

문봉군. 독거노인의 우울과 수면장애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 정대학원 사회복지-노인복지전공 [석사학위논문]. 2015

박영준, 이원철, 임현우 등. 우리나라 성인에서 수면시간과 비만과의 관련성,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7;40(6):454-460, 2007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보고서, 국민건강통계 2009, 2011, 2012, 2013, 2014, 2015

서수교, 김성우. 지역사회 일부 대학생의 수면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07;8(2):61-77,

신경림, 이혜련, 김진영, 신철. 성인에서의 주간 수면과다증의 유병률 및 관련요 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5):829-836

신형식, 곽정숙, 김경미 등. 치주과학, 고문사, 2013, p.26-44

우동협, 유해영, 김민지, 김한나, 김진범, 정승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18-44세 한국 성인의 치주질환 유병 관련 위험요인. Journal of Korean

이상진, 박두흠, 유재학, 유승호, 하지현, 송민규. 일차성 불면증에서 심박동률변 이도와 수면구조 간의 상관관계.,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10:17(1):21-27

이승연. 불면증 환자의 스트레스, 심리적 강인성, 사회적지지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Korean J Str Res. 2016, vol.24, no.3, 137-150

이원준. 여대생의 스트레스, 수면, 타액 코티솔 일중변동연구, 2013

이정형, 김성재, 황현국, 양정희, 이정희. 주간졸음을 호소하는 노인에서 수면변 인과 신경인지기능 세부영역과의 연관성. 신경정신의학., 2007:46(6):552-559

이현예. 수면시간이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정선희, 박종.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2012 정정옥, 전주연, 이경희. 한국 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2010

최수정. 수면시간과 고혈압과의 관계,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3;

13(4):481-489, 2013

최유진. 종합병원간호사의 우울 및 수면의 질이 주간수면과다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2015:56

Academy of Oral Health. 2013:June. 37(2):95-102, 2013

B. Burt, Position paper : epidemiology of periodontal diseases. J Periodontol 76, 2005:1406-19

Bassett SM, Lupis SB, Gianferante D, Rohleder N, Wolf JM. Sleep quality but not sleep quantity effects on cortisol responses to acute psychosocial stress., Stress 2015;18(6):638-44

Cappuccio FP, Miller MA. Sleep and Cardio-Metabolic Disease., Curr Cardiol Rep 2017 Sep 19;19(11):110

Dewald JF, Meijer AM, Oort FJ, Kerkhof GA, Bogels SM. Adolescents’ sleep in low-stress and high-stress (exam) times : a prospective quasi-experiment., Behav Sleep Med 2014:12(6):493-596

Hartmann E, Baekelang F, Zwilling GR.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Long and Short Sleepers., Arch Gen Psychiatry 1972:26(5):463-468

Im E, Kim GS.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Framingham cardiovascular risk score and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s., Medicine(Baltimore) 2017 Sep;96(37)

Jeong MA, Kim JH. Association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preval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1;2(4):47-52

Ju OJ. Impact of oral health behaviors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nd missing toot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1;11(4):511-522

Kim SY, Jang HG. Influence of metabolic on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5;15(3):399-410

Lee YJ, Kin SJ, Cho IH, Ki, JH, Bae SM, Koh SH, Cho S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dea in an urban area of South Korea., Sleep Med Psychophysiol. 2009 Dec;16(2):85-90.

Lee YK, Park JR. The relationship of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 by 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3;13(6):1015-1021

McEwen BS, Karatsoreos IN. Sleep Deprivation and Circadian Disruption:

Stress, Allostasis, and Allostatic Load., Sleep Med Clin 2015 Mar;10(1):1-10

Narisawa Hm Komada Y, Miwa T, Shikuma J, Sakurai M, Odawara M, Inoue Y. Prevalence, symptomatic featur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leep disturbance/insomnia in Japanese patients with type-2 diabetes., Neuropsychiatr Dis Treat 2017 Jul 18;13:1873-1880

Ock SM, Ju SY, Choi WS, Park HM, Jung KI, Song CJ. Association of sleep hours with obesity in adults women. Korean J Obes. 2008 Sep;17(3):110-116.

Korean

Park YJ, Lee WC, Yim HW, Park YM.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 Nov;40(6):454-460.

Phua CS, Jayaram L, Wijeratne T. Rea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Risk Factors for Stroke., Front Neurol 2017 Aug 8;8:392

Piovezan RD, Hirotsu C, Feres MC, Cintra FD, Andersen ML, Tufik S, Poyares D. Obstructive sleep apnea and objective short sleep duration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serum vitamin D deficiency., PLoS One 2017 Jul 2;12(7)

S. goyal, S. jajoo, G. Nagappa, G. rao, Exti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periodontal status using serum cortisol level: a clinico-biochemical study, 2011

Shivashankar R, Kondal D, Ali MK, Gupta R, Pradeepa R, Mohan V, Kadir

Shivashankar R, Kondal D, Ali MK, Gupta R, Pradeepa R, Mohan V, Kadir

관련 문서